ꊴ 팔괘법(八卦法)
강논의 편의를 위하여 조견표를 작성하였으니,
아래의 설명과 조견표를 같이 참고하라.
∙팔괘조견표(八卦早見表)∙
生氣 |
絶體 |
絶命 |
|
天宜 |
遊魂 |
歸魂 |
|
絶體 |
生氣 |
禍害 |
|
歸魂 |
福德 |
天宜 |
福德 |
一 |
禍害 |
|
禍害 |
二 |
福德 |
|
歸魂 |
三 |
絶命 |
|
絶體 |
四 |
遊魂 |
天宜 |
歸魂 |
遊魂 |
|
生氣 |
絶命 |
絶體 |
|
遊魂 |
福德 |
天宜 |
|
絶命 |
生氣 |
禍害 |
|
|
|
|
|
|
|
|
|
|
|
|
|
|
|
禍害 |
絶命 |
絶體 |
|
遊魂 |
天宜 |
福德 |
|
絶命 |
禍害 |
生氣 |
|
福德 |
歸魂 |
遊魂 |
天宜 |
六 |
生氣 |
|
絶命 |
七 |
歸魂 |
|
遊魂 |
八 |
絶體 |
|
生氣 |
九 |
天宜 |
福德 |
遊魂 |
歸魂 |
|
絶體 |
禍害 |
生氣 |
|
歸魂 |
天宜 |
福德 |
|
禍害 |
絶體 |
絶命 |
※ 이하는 필히 암기
一 |
二 |
三 |
四 |
五 |
六 |
七 |
八 |
上 |
中 |
下 |
中 |
上 |
中 |
下 |
中 |
生氣 |
天宜 |
絶体 |
遊魂 |
禍害 |
福德 |
絶命 |
歸魂 |
乾 三 連 |
兌 上 絶 |
離 虛 中 |
震 下 連 |
巽 下 絶 |
坎 中 連 |
艮 上 連 |
坤 三 絶 |
☰ |
☱ |
☲ |
☳ |
☴ |
☵ |
☶ |
☷ |
▸ 連[이을 연, 이어질 연], 絶[끊어질 절, 끊을 절]
乾三連 |
兌上絶 |
離虛中 |
震下連 |
巽下絶 |
坎中連 |
艮上連 |
坤三絶 |
|
이상을 암기한 후,
중궁(中宮)의 지반수(地盤數)를 기준으로 하여, 팔괘법과 팔괘의 형태를 손으로 만들어 가면서 진행하면 된다.
다음에서 자세한 설명을 하였다.
8 |
2 |
8 |
7 |
辛 |
乙 |
辛 |
庚 |
巳 |
巳 |
巳 |
寅 |
6 |
6 |
6 |
3 |
干合數 25 |
支合數 21 |
三 絶 七 體 |
八 生 二 氣 |
五 禍 五 害 |
四 歸 六 魂 |
七 三 |
十 絶 十 命 |
九 遊 一 魂 |
六 福 四 德 |
一 天 九 宜 |
∙ 中宮 地盤이 三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三震宮[낙서구궁 후천팔괘배열上, 三震宮]에 歸魂[팔괘법 순서에서 맨 뒤에 오는 歸魂을 始發로 함]을 기입한 후, 震下連의 형상을 손가락으로 만들어 그것을 귀혼으로 삼는다.
∙ 八卦法에 의해 처음부터 순서대로 一上生氣[歸魂의 손가락모양을 기반으로 하여, 두 손가락은 그대로 두고 上단 손가락 하나만을 붙인다]한 후, 손가락 괘의 모양이 가리키는 宮[震괘의 떨어져 있던 상단 손가락 하나를 붙였으니, 虛中의 離卦 즉, 낙서 후천팔괘방위도의 九離宮이 된다]인 九離宮에 生氣를 붙인다.
∙ 다음으로 연이어서 二中天宜[生氣의 손가락 모양인 離卦형태를 그대로 두고, 떨어져 있던 가운데 손가락 하나만 붙여서 三連의 乾卦가 된다]한 후, 손가락 괘가 가리키는 六乾宮에 天宜를 붙인다.
三下絶體[天宜의 손가락 모양인 三連에서 나머지는 그대로 두고, 붙어있던 下단 손가락 하나만 떼니, 下絶인 五巽宮에 絶體 入宮] . . . .
나머지도 이와같이 하면, 八卦가 순환하여 처음 歸魂卦를 거쳐 다시 生氣卦로 순환하게 된다.
팔괘의 포국결과는 위와같다.
※ 주의 : 上‧中‧下가 지정될 때,
떨어져 있던 손가락은 붙이고, 붙어있던 손가락은 떨어뜨린다.
예) 1976년 음력 5월 5일 술시(丙辰년 癸巳월 乙酉일 丙戌시)
3 |
2 |
10 |
3 |
丙 |
乙 |
癸 |
丙 |
戌 |
酉 |
巳 |
辰 |
11 |
10 |
6 |
5 |
干合數 18 |
支合數 32 |
五 歸 九 魂 |
十 福 四 德 |
七 天 七 宜 |
六 絶 八 體 |
九 五 |
二 遊 二 魂 |
一 絶 三 命 |
八 生 六 氣 |
三 禍 一 害 |
∙ 中宮 지반수가 5이므로 5중궁을 기준으로 해야 하나,
5는 4와 동일하게 보아, 四巽宮에 歸魂을 기입한다.
∙ 四巽宮의 巽卦의 下絶의 형상을 손가락으로 만든다.
∙ 八卦法에 의해 一上生氣[귀혼의 손가락 모양은 그대로 두고, 상단 손가락 하나만 떼니, 中連의 坎卦가 됨]한 후, 손가락 괘의 모양이 가리키는 洛書九宮圖의 一坎宮에 生氣를 붙인다.
∙ 연 이어서, 二中天宜[생기의 손가락 모양은 그대로 두고, 가운데 손가락 하나만 떼어 三絶의 坤卦가 됨 ]한 후, 손가락 坤卦의 모양이 가리키는 二坤宮에 天宜를 붙인다.
∙ 三下絶体[천의의 손가락 모양인 坤三絶을 그대로 두고, 떨어져 있던 하단 손가락 하나만 붙여서 震下連卦가 된다]한 후, 손가락 괘의 모양이 가리키는 三震宮에 絶體를 붙인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四中遊魂, 五上禍害, 六中福德, 七下絶命을 모두 붙인 후 八中歸魂으로 종결된다.
▸ 실제 감정에서는 시간의 절약을 위하여 생기(生氣)를 기(氣)라 약기하고, 천의(天宜)를 의(宜)라 하고, 절체(絶體)를 체(體), 유혼(遊魂)을 유(遊), 화해(禍害)를 해(害), 복덕(福德)을 복(福), 절명(絶命)을 명(命), 귀혼(歸魂)을 귀(歸)라고 약칭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팔문의 길흉론 (0) | 2013.02.24 |
---|---|
[스크랩] 팔문 포국법 (0) | 2013.02.24 |
[스크랩] 초신과 접기 (0) | 2013.02.24 |
[스크랩] 홍국포열법 (0) | 2013.02.24 |
[스크랩] 세궁과 육친 (0) | 201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