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스크랩] 세궁과 육친

십장생1 2013. 2. 24. 13:33
 

3. 세궁(世宮)과 육친(六親)


다음으로 세궁을 정하는 법과 육친배대(六親配對)의 법을 설명한다. 다음의 도표를 정확히 암기하라.

  九宮과 12支

   巳

  午

   申

 

   酉

   丑

 

  子 

   戌

  坎­子             艮­丑 寅

  震­卯             巽­辰 巳

  離­午             坤­未 申

  兌­酉             乾­戌 亥




1) 세궁정하기

홍국에서 세궁을 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어떤 사람의 사주 명국 네 기둥중에서 일주(日柱)의 지지(地支) 즉, 일지(日支)가 위의 구궁(九宮) 12지도(支圖)에 해당하는 궁(宮)을 세궁으로 정하는 것이다.


∙子日生은 감궁(坎宮)을 세궁(世宮)으로 정하고,

∙축인(丑寅)일생은 간궁(艮宮)을 세궁으로 정하고,

∙묘(卯)일생은 진궁(震宮)을 세궁으로 정하고,

∙진사(辰巳)일에 태어나면 손궁(巽宮)을 세궁으로 정하고,

∙오(午)일에 태어난 자는 리궁(離宮)이 세궁이며,

∙미신(未申)일에 태어나면 곤궁(坤宮)을 세궁으로 정하고,

∙유(酉)일에 탄생한 자는 태궁(兌宮)이 세궁이며,

∙술해(戌亥)일에 탄생한 자는 건궁(乾宮)이 세궁이다.


세궁(世宮)이란 자평사주학(子平四柱學)에서의 일주(日主)와 같으며, 육효(六爻)에서의 세(世)와 비슷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세궁은 앞에서 설명한 홍국수 포국 결과에 덧붙여 활용하는데, 세궁에 배치된 홍국지반수(洪局地盤數)인 世의 오행(五行)을 기준으로 하여 타 궁에 육친(六親)을 배대(配對)한다. 세는 앞으로 계속해서 공부할 홍연국 해석의 주체(主體)가 된다.


다음으로 수리의 오행을 알아야 하겠기에 아래에 설명한다.

암기하기 바란다.

∙一과 六이라는 수는 오행상 水를 의미하고,

∙二와 七이라는 수는 오행상 火를 의미하고,

∙三과 八이라는 수는 오행상 木을 의미하고,

∙四와 九라는 수는 오행상 金을 의미하고,

∙五와 十이라는 수는 오행상 土를 의미한다.



오행수를 陰陽에 배속하면

홀수[奇數]는 양이고, 짝수[偶數]는 음이다.

여기서, 오행 상생(相生)‧상극(相克) 법칙을 한번 더 이해하고 넘어가자.

 

∙상생법칙(相生法則):水[1,6]生木[3,8], 木[3,8]生火[2,7], 火[2,7]生土                             [5,10], 土[5,10]生金[4,9], 金[4,9]生水[1,6]

∙상극법칙(相克法則):水[1,6]克火[2,7], 火[2,7]克金[4,9], 金[4,9]克木[3,8]                         木[3,8]克土[5,10]  土[5,10]克水[1,6]


이상과 같은 수리오행과 상생(相生), 상극(相剋)의 법을 암기하였으면 다음을 정밀히 연구하라.



2) 육친(六親)정하기


世가 水(一, 六)일 때

∙세궁(世宮)의 一이나 六을 생하여 주는 四九金은 육친상(六親上) 부모(父母)를 의미.

∙세궁의 一이나 六과 동일한 一六水는 육친상 형제(兄弟)를 의미.

∙세궁의 一이나 六이 극하는 二七火는 육친상 처(妻)와 재(財)를 의미.

∙세궁의 一이나 六을 극하여 주는 五十土는 육친상 관귀(官鬼)를 의미.

∙세궁의 一이나 六이 생하는 三八木은 육친상 자손(子孫)을 의미.


世가 火(二, 七)일 때

∙세궁의 二나 七을 생하여 주는 三八木은 육친상 부모를 의미.

∙세궁의 二나 七과 동일한 二七火는 육친상 형제를 의미.

∙세궁의 二나 七이 극하는 四九金은 육친상 처와 재를 의미.

∙세궁의 二나 七을 극하여 주는 一六水는 육친상 관귀를 의미.

∙세궁의 二나 七이 생하는 五十土는 육친상 자손을 의미.


世가 木(三, 八)일 때

∙세궁의 三이나 八을 생하여 주는 一六水는 육친상 부모를 의미.

∙세궁의 三이나 八과 동일한 三八木은 육친상 형제를 의미.

∙세궁의 三이나 八이 극하는 五十土는 육친상 처와 재를 의미.

∙세궁의 三이나 八을 극하여 주는 四九金은 육친상 관귀를 의미.

∙세궁의 三이나 八이 생하는 二七火는 육친상 자손을 의미.

世가 金(四, 九)일 때

∙세궁의 四나 九를 생하여 주는 五十土는 육친상 부모를 의미.

∙세궁의 四나 九와 동일한 四九金은 육친상 형제를 의미.

∙세궁의 四나 九가 극하는 三八木은 육친상 처, 재를 의미.

∙세궁의 四나 九를 극하여 주는 二七火는 육친상 관귀를 의미.

∙세궁의 四나 九가 생하여 주는 一六水는 육친상 자손을 의미.


世가 土(五, 十)일 때

∙세궁의 五나 十을 생하여 주는 二七火는 육친상 부모를 의미.

∙세궁의 五나 十과 동일한 五十土는 육친상 형제를 의미.

∙세궁의 五나 十이 극하는 一六水는 육친상 처, 재를 의미.

∙세궁의 五나 十을 극하여 주는 三八木은 육친상 관귀를 의미.

∙세궁의 五나 十이 생한 四九金은 육친상 자손을 의미.




예1) 三震宮을 世궁이라 가정할 때

< 1도 >                          < 2도 >

二 財

七財

十 官

 

七 財

二 財

五 官

世○

八 孫

五 鬼

 

世○

三 孫

十 鬼

六 兄

九 父

四 父

 

一 兄

四 父

九 父






예2) 서기 1934년 음력 2월 30일 戌時生

1

1

5

1

11

3

5

11

干合數 8

支合數 30

七 財

二 財

五 鬼

六 兄

三 孫

十 官

一 世

四 父

九 父


寅日生이므로, 간궁(艮宮)이 세궁(世宮)이 된다. 세(世)에 배속되어 있는 홍국지반수(洪局地盤一數) 一을 기준하여 육친을 정한다.

震宮 六水는 동일한 오행이므로 형제가 되고(줄여 兄이라고 표기함), 巽宮七火는 세가 극하는 오행이므로 처재(妻財)가 된다(줄여 財라 표기함).

坎宮四金과 乾宮九金은 세를 생하여 주는 오행이므로 부모궁(父母宮)이 된다(줄여 父라 표기함).

兌宮十土와 坤宮五土는 세수(世數)를 극하므로 관귀(官鬼)가 된다. 단, 관귀에 한하여서는 다음과 같이 구별(區別)하는 법이 있다.

기수(奇數)가 기수를 만나는 경우와 우수(偶數)와 우수가 만나는 경우에는 귀(鬼)라하고 기수대 우수, 또는 우수대 기수일 때에는 관(官)이라 칭한다.

그러므로, 兌宮十土는 세수를 극하기는 坤宮 五土와 같으나 기수대 우수이므로 관(官)이라 표기하였다.


예3) 서기 1976년 음력 5월 5일 戌時生

3

2

10

3

11

10

6

5

干合數 18

支合數 32

 

九 財

四 財

七 兄

八 父

五 孫

二 世

三 父

六 鬼

一 官


酉日生이니, 태궁(兌宮)에 세가 붙고, 세궁의 二수를 기준하여 육친이 배정된다.

坤宮七火는 오행이 동일하므로 형제궁이 되고 리궁(離宮)‧손궁(巽宮)의 四九金은 세가 극하는 오행이므로 처재(妻財)의 궁이 되고, 진궁(震宮)‧간궁(艮宮)의 三八 木은 세수를 생하는 오행이므로 부모에 해당된다.

감궁(坎宮)과 건궁(乾宮)의 一 六 水는 세수를 극하므로 官鬼(관귀)가 되는데, 감궁은 우수(偶數)대 우수이므로 鬼가 되고, 건궁은 우수 대 기수(奇數)이므로 官이된다.


예4) 1977년 음력 11월 16일 신시생(丁巳年 壬子月 丁巳日 戊申生 )

5

4

9

4

9

6

1

6

干合數 22

支合數 22

 

八 世

三 兄

六 父

七 孫

四 鬼

一 父

二 孫

五 財

十 財

巳日生이므로 손궁(巽宮)이 세궁(世宮)이 된다. 세에 배치되어 있는 홍국지반수인 八木을 기준으로 육친(六親)을 정한다.

리궁(離宮) 三木은 동일한 오행이니 형제요, 곤궁(坤宮)‧태궁(兌宮)의 一六水는 세를 생하여 주는 오행이므로 부모에 해당된다.

감궁(坎宮)‧건궁(乾宮)의 五十土는 세수가 극하는 오행인 처재(妻財)가 된다. 간궁(艮宮)‧진궁(震宮)의 二七火는 세가 생하여 주는 오행이므로 자손(子孫)이 된다. 중궁(中宮)의 四金은 세를 극하여 주는 오행이므로 관귀(官鬼)에 해당된다.[우수대 우수이므로 鬼]








예5) 서기 1977년 음력 4월 10일 亥時生

2

1

2

4

12

9

6

6

干合數 9

支合數 33

十 財

五 財

八 世

九 官

六 父

三 兄

四 鬼

七 孫

二 孫

申日生이므로 곤궁(坤宮)이 세(世)가 된다. 세에 배치되어 있는 홍국지반수(洪局地盤數) 팔목(八木)을 기준하여 육친(六親)을 배치한다. 육친을 배치하는 법에서는 천반(天盤)을 사용하지 않고 지반(地盤)을 기준한다.

이것은 천반을 객(客)으로 보고 지반을 주(主)로 보는 것이 홍연학(洪烟學)의 정법이기 때문이다.

출처 : 아산 철학원(기문둔갑 이야기)
글쓴이 : 유달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