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는 일차원과 이차원의 공간인 지리의 이치와 공간의 배치학문의 방위와 삼차원의 학문의 시간적 조화의 종합이다. 또한 형기가 공간의 형태에 관한 것이라면 이기는 바로 공간에 대한 배치 철학으로 방위학과 택일을 통한 시간적 철학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形과 方位와 時間의 삼합이 일치해야 바로 구하고자 하는 성정과 기운의 극대화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시간에 대한 철학은 인간만을 판별하는 데 사용한 명리학에 의하여 더욱 구체화되었고, 신묘한 이치에 도달하고 있다.
지리에서는 명리학의 구체성가지는 가지않더라도 기운의 운행의 시간적 적합점을 찾아내어 구함을 원한다. 택일을 배우기 전에 우리는 두어가지 익히고 넘어가야 한다. 그 중하나가 手掌을 돌려 자신의 생년육갑을 찾는 법이요, 또 다른 중요한 것은 生氣法을 찾는 법이다.
◇ 破墓대상 음택 및 新山 좌향법 ◇
윤달이 들면 평소 조상 묘, 개수(改修) 및 이장(移葬) 등, 계획을 추진해온 가문 및 가정에서는 막중한 대사(大事)를 앞두고, 파묘(破墓)가능여부 및, 택일(擇日)등, 궁금한 사항 등의 문의가 늘고있어, 천기대요 등을 참고하여 몇 가지 사항을 열거한다.
○ 動塚法
동총법이란 구묘(舊墓)의 좌(坐)를 보고, 묘의 개장(改葬)이나 이장(移葬), 면례(緬禮) 여부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乙, 辰, 巽, 巳, 辛, 戌, 乾, 亥 좌(坐)는 寅,申,巳,亥年 大利, 辰,戌,丑,未年 小利, 子,午,卯,酉年 重喪
艮, 寅, 甲, 卯, 坤, 申, 庚, 酉 좌(坐)는 子,午,卯,酉年 大利, 寅,申,巳,亥年 小利, 辰,戌,丑,未年 重喪
壬, 子, 癸, 丑, 丙, 午, 丁, 未 좌(坐)는 辰,戌,丑,未年 大利, 子,午,卯,酉年 小利, 寅,申,巳,亥年 重喪
○ 移葬運
이미 써있는 묘를 딴 곳으로 옮기는 것으로 첫째' 動塚法으로 舊墓가 大利, 小利에 해당되는 坐만 쓰고, 重喪運의 坐는 건드리지 않아야 한다. 둘째' 새로 옮긴 陰宅地에서 坐向을 놓을 때, 태세(太歲, 갑신년)의 三煞, 坐殺, 世波 등에 해당하는 坐는 가급적 피해서 놓아야 한다.
예) 2004년 甲申年 太歲納音==水(泉中水)
. 年克: 乙, 午 좌, 三煞: 巳, 午, 未 좌, 坐殺: 丙 좌, 世波: 寅좌 총 7개坐
○ 삼살방(三煞方)
천기대요(天機大要)에, 가능한 삼살(三煞)은 범(犯)하지 않아야 한다고 명시해 놓았다. 그러나 바쁜 세상살이에 적응하다보면 부득이 삼살을 범하는 경우 등이 생겨나게 된다. 그럴 경우, 고인(故人)이나 제주(祭主)의 생년(生年)의 납음오행이 다행이 살을 제압하는 오행이 되거나, 또는 행사 당일의 월, 일, 시 등을 인위적으로 선택하여 삼살을 제압하게 되면 무방하다.
『예를 들어 2004년 갑신년(甲申年)은 사오미(巳午未), 남쪽이 삼살(三煞)이 되어, 남쪽으로 향(向)을 놓는 것은 가능하나 좌(坐)를 범(犯)하면 불길하다.
그러나 망인(亡人)이나 제주의 생년(生年)과, 행사당일 년월일시 등의 납음오행(納音五行)을 수(水)로 맞추어, 수극화(水剋火)로 남쪽 화(火)를 제압하면 제살(制殺)이 가능하다.』
『천기대요(天機大要)에는 삼살(三殺)이란 살(殺) 가운데서 가장 중(重)한 것으로 삼살방(三殺方)으로 향(向)을 놓을 수는 있으나, 좌(坐)를 범(犯)하지는 말라고 하였다. 또한 제(制)하는 방도는 삼살이 쇠절(衰絶)하는 시기를 골라 납음(納音)으로 제하여 길성(吉星)으로 화(化)하면 오히려 흉변위길(凶變爲吉)이 되는데, 오직 납음오행(納音五行)으로 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
○ 년극(年克)
태세(太歲, 2004년-甲申)의 납음(納音)이 산운(山運, 坐)을 극(克)하면 년극 (年克)이라 한다. 그러나 망명(亡命, 고인의 생년)이나 제주(祭主, 양택에서는 家主)의 생년납음(生年納音)및 조장(造葬)하는 월(月), 일(日), 시(時)의 납음(納音)이 태세납음(太歲納音)을 역(逆)으로 극(克)을 하면 제살(制殺)이 된다.
◇ 생년육갑을 아는 법 ◇
○ 금년 태세수를 찾고, 그 태세수에서 네 번째에서 起頭한다. 起頭점이 십세이다.
○ 십단위의 나이에 맞추고 거꾸로 일단위의 나이를 세어나간다.
○ 그 자리가 地支를 가리킨다.
예) 44세의 생년육갑
→2004년은 壬午年이다. 따라서 올 태세수는 午이니 오에서 네 번째수인 酉에서 起頭하여 亥가 십세, 丑이 이십세, 卯가 삽십세, 巳가 사십세
→여기에서 거꾸로 辰 사십일, 卯 사십이, 寅사십삼, 丑사십사이다.
따라서 이 사람은 丑생 소띠이다.
○ 天干은 금년 태세수 천간에서 거꾸로 일단위을 계산한다.
→금년 태세의 천간이 壬이다. 따라서 壬이 일세, 辛이 이, 庚이 삼, 己가 사세이다. ⇒ 44세의 생년육갑은 己丑생이다.
◇ 生氣法을 찾는 법 ◇
○ 구궁을 알아야 한다.
○ 남자는 離 궁이 起頭점이니 그곳이 일 세이다. 다음 坤궁을 건너 兌궁이 이세이고, 삼 세는 乾궁이니 계속 左旋한다.
○ 여자는 일 세를 坎궁에서 起頭하니 그곳이 일 세고 다음 우선하여 역으로 이 세는 乾, 삼 세는 兌이니 계속 돌다가 艮 궁에서는 건너 다시 坎으로 간다.
○ 십일세 이상은 남녀 공히 兌궁에서 起頭하여 男은 順(좌선) 女는 역(우선) 으로 돌리는데 십단위는 한 궁씩 건너고, 일단위는 건너지 않는다.
예) 사십사세의 남자라면
→십세 兌, 이십세 坎, 삽십세 震, 사십세 離, 사십일세 坤, 사십이세 태,
사십삼 건, 사십사 坎이 되니 坎宮이 본궁이 된다.
○ 이렇게 하면 사십사세의 본궁을 坎宮을 얻게 되는 데 이 본궁에서 바로 生氣, 福德日을 찾는 것이다.
○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의 길흉화복
- 생기(生氣) : 탐랑(貪狼)으로 극귀지상(極貴之象)이며 매사 형통의 대길한 일진과 방위다.
- 천의(天醫) : 거문(巨門)으로 부귀지상(富貴之象)이며 매사 형통의 대길한 일진과 방위다.
- 절체(絶體) : 녹존(祿存)으로 병권지상(兵權之象)이며 매사 부진한 일진과 방위다.
- 유혼(遊魂) : 문곡(文曲)으로 준아지상(俊雅之象)이며 이해상반의 별무득실한 일진과 방위
- 화해(禍害) : 염정(廉貞)으로 살벌지상(殺伐之象)이며 매사 부진에 인상손재(人傷損財)한다.
- 복덕(福德) : 무곡(武曲)으로 극귀지상(極貴之象)이며 매사 형통에 대길한 일진과 방위다.
- 절명(絶命) : 파군(破軍)으로 호쟁지상(好爭之象)이며 매사 부진에 인상다재의 대흉이다.
- 귀혼(歸魂) : 보필(輔弼)로 간웅탐공지상(奸雄貪恭之象)이며 무사안일하고 별무득실하다
◇ 생기 복덕일을 찾는 방법 ◇
一上生氣, 二中天宜, 三下絶體, 四中遊魂, 五上禍害, 六中福德, 七下絶命, 八中歸魂
엄지와 검지, 중지와 약지를 통하여, 엄지로 순서대로 검지를 짚고 일상생기하고, 다음중지를 짚으며 이중천의, 다음 약지를 짚고 삼하절체하면서 돌면 된다. 이때 붙은 손가락은 떼고, 떨어진 손가락은 붙이면 된다. 검지와 중지 약지는 각각 엄지와 괘상을 만든다. 예를 들어 엄지와 검지가 붙고, 나머지가 떨어진 상태면 괘의 맨 위쪽이 붙어 있으므로 艮괘가 된다.
여기서 다시 괘상을 외우는 방법을 소개한다.
괘이름 괘상 괘이름 괘상
일건천 ---- 건삼련, 이태택 ---- 태상절,
삼리화 ---- 이중허, 사진뢰 ---- 진하연
오손풍 ---- 손하절, 육감수 ---- 감중연,
칠간산 ---- 간상련, 팔곤지 ---- 곤삼절
예를 들어 위의 사십사세의 본궁이 감궁이었으니 엄지와 중지만 붙어있고 나머지는 떨어진 상태이다. 이상태에서 검지와 엄지를 붙이면서 "일상생기" 하면 괘상 중 위 두효는 붙고 나머지 한 효만 떨어진 괘이니 巽의 괘가 된다. 즉 巽巳 日이 이 사람의 生氣日이 되는 것이다. 또 "이중천의"하고 중지를 떼면 간상련이니 艮이 天宜日이 된고, 다음 삼하절체하고 떨어진 약지를 붙이면 가운데가 떨어진 상태이니 이중허, 丙午가 절체일이 된다. 다음 사중유혼하고 떨어진 중지를 붙이면 건삼련이 되므로 戌亥 일이 유혼일이 된다. 이하는 모두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된다.
이 중 생기, 천의, 복덕은 吉日이요, 절체, 유혼은 무해무득, 화해, 절명, 귀혼은 대 흉이니 피해야 한다. 생기일을 택하면 功名을 주관하고, 천의는 孫을 주관하니 자손이 번성하고 인정이 왕성하다. 복덕일은 재물과 수명을 주관하니 창고에 재물이 가득하고 장수 하게 된다.
◇ 吉日과 凶日을 가려 놓은 要略 ◇
○ 天恩上吉日---- 하늘이 내리는 최상의 吉日로 다음의 공히 15일 이다.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 大明上吉日 ----- 천은상길과 동등하며 웬만한 小殺은 피할 수 있다.
辛未, 壬申, 癸酉, 丁丑, 己卯, 壬午, 甲申, 丁亥, 壬辰, 己未, 壬寅, 甲辰, 乙巳, 丙午, 己酉, 庚戌, 辛亥,
○ 偸修日---- 이날은 모든 흉신이 천상으로 조회하러 가는 날로 壬子, 癸丑,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 旬中空亡
空亡이란 凶殺日로 空虛하고 亡日로 만사에 해로운 일이다. 특히 혼사에는 피해야 하는 날이다. 혹은 생기 복덕일로 避殺할 수도 있다. 공망일을 아래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甲子旬中에는 戌亥가 공망이요, (甲子生에서 癸酉生까지)
甲戌旬中에는 申酉가 공망이요, (甲戌生에서 癸未生까지)
甲申旬中에는 午未가 공망이요, (甲申生에서 癸巳生까지)
甲午旬中에는 辰巳가 공망이요, (甲午生에서 癸卯生까지)
甲辰旬中에는 寅卯가 공망이요, (甲辰生에서 癸丑生까지)
甲寅旬中에는 子丑이 공망이다. (甲寅生에서 癸亥生까지)
○ 白虎대살 ---- 맹호처럼 사나운 살이다. 부득이 써야한다면 하관 직전에 수탉의 頸血을 내광에 뿌리고 바로 하관한다는 설이 이 있으나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다. 일진르로 본다.
戊辰, 丁丑, 丙戌, 乙未, 甲辰, 癸丑, 壬戌, 이상 7 일.
○ 雷霆백호 ----- 뇌정 대살은 월건별로 일진을 본다.
○ 대장군살 ---- 대장군 살은 3 년마다 左旋하는 살이다. 악살은 아니나 건축이나 동토는 흉하여 시골 어머니들은 삼살과 함께 이것의 증험을 무서워 한다.
寅卯辰 年 --- 子方 (北方), 巳午未 年 --- 卯方 (東方)
申酉戌 년 --- 午方 (南方), 亥子丑 年 --- 酉方 (西方)
○ 삼살방 ---- 삼살은 매년 右旋하는 대살이다. 지지 세 방위와 천간 두 방위인 모두 다섯 방위를 맡고 있다. 장례나 건축은 坐를 말하고, 혼인이나 改修는 방향을 말한다.
申子辰 년 ---- 巳午未 방, 亥卯未 년 ---- 申酉戌 방
寅午戌 年 ---- 亥子丑 방, 巳酉丑 年 ---- 寅卯辰 방
○ 大月建殺 ---- 이 살은 특히 여자들에게 적용되는 殺로 辰戌丑未년에 禍가 발한다. 이 살은 태세수에 따라 월별로 들어오는 좌향 살이다
○ 小兒殺 ---- 미혼이면 모두 소아로 간주하고 장례나 건축은 坐로 극하는 大殺로서 陽年에는 남, 陰年에는 女가 당하는 살이다.
○ 四旺大殺 ---- 장사, 건축 시 이 좌를 범하면 여자들에게 낙태 등 액이 따르고 특히 地師殺이기 더 하다.
申子辰 年 --- 子 방, 亥卯未 年 --- 卯 방
寅午戌 年 --- 午 방, 巳酉丑 年 --- 酉 방
○ 陰符殺 ----- 이 좌를 범하면 정신병을 발하는 殺이다. 정음부는 양택에, 傍음부는 음택에 피해야 한다.
○ 重喪 ---- 거듭해서 상을 당한다는 뜻의 중상이나 그리 큰 살은 아니나 아직도 가정이나 지사들에게는 매우 중하게 여기는 살이므로 피해 주는 것이 좋다. 특히 대길일 들어오는 날은 反爲我奴라 상관이 없는 살이다.
孟月 --- 正月. 四月. 七月. 十月 ---- 寅, 申, 巳, 亥 日
中月 --- 二月. 五月. 八月. 十一月 ---- 子, 午, 卯, 酉 日
季月 --- 三月. 六月. 九月. 十二月 ---- 辰, 戌, 丑, 未 日
○ 망인의 생년월에 따른 太歲凶運 ---- 이장 시 망인에게 불리한 년운이다.
子午卯酉 망명인 --- 辰戌丑未 년 凶
寅申巳亥 망명인 --- 子午卯酉 년 凶
辰戌丑未 망명인 --- 寅申巳亥 년 凶
○ 당년 태세수에 따른 不移葬 坐
- 대장군살 --- 대장군 살은 3 년마다 左旋하는 살이다. 악살은 아니나 건축이나 동토는 흉하여 시골 어머니들은 삼살과 함께 이것의 증험을 무서워 한다.
寅卯辰 年 --- 子方 (北方), 巳午未 年 --- 卯方 (東方)
申酉戌 년 --- 午方 (南方), 亥子丑 年 --- 酉方 (西方)
- 舊墓不開 ---- 이장시에 참고하는 구묘의 좌이다. 특히 시골 시사들이 그 해운에 해당하느냐, 해운에 맞지 않으니 이장을 못한다는얘기를 하는 근거 중의 하나이다.
子丑寅 年 --- 不開 甲乙 塚, 午未申 年 --- 不開 庚辛 塚
卯辰巳 年 --- 不開 丙丁 塚, 酉戌亥 年 --- 不開 壬癸 塚
- 九狼星在墓 ---- 년운으로 좌를 본다. 改墓나 莎草에 中凶이다. 자손이 害당한다.
丑寅卯 年 --- 寅 申 卯 乙 좌, 辰巳午 年 --- 巳 丙 午 丁 좌
未申酉 年 --- 申 庚 酉 辛 좌, 戌亥子 年 --- 亥 壬 子 季 좌
- 動塚運 ---- 년 운으로 좌를 본다.
寅 申 巳 亥 년 --- 壬子, 癸丑, 丙午, 丁未 좌
辰 戌 丑 未 년 --- 艮寅, 甲卯, 坤申, 庚酉 좌
子 午 卯 酉 년 --- 乙辰, 巽巳, 辛戌, 乾亥 좌
- 蜜日--- 喪主의 本命을 충극하는 극흉일이다. 책력에 자세히 나와 있다.
角木沖克戌土生. 井木沖克丑土生. 奎木沖克眞土生. 斗木沖克未土生.
柳土沖克子水生. 尾火沖克申金生. 壁水沖克巳火生 등 월력에서 위의
것을 제외한 餘生은 무해하다.
○ 망인의 생년으로 본 흉한 일진
- 冷地 공망 --- 亡人의 생년으로 본다.
甲生 : 戊子 일, 己生 : 壬午 일, 乙生 : 戊寅 일, 庚生 : 甲申 일
丙生 : 辛酉 일, 辛生 : 乙卯 일, 丁生 : 癸丑 일, 壬生 : 辛未 일
戊生 : 丙辰 일, 癸生 : 丙戌 일
- 入地공망
甲己生亡命 --- 忌 庚午 일 乙庚生亡命 --- 忌 庚辰 일
丙辛生亡命 --- 忌 庚寅 일 丁壬生亡命 --- 忌 庚戌 일
戊癸生亡命 --- 忌 庚申 일
- 落壙공망 --- 이는 時에도 적용된다.
亥戌未생 --- 卯 辰 日時殃, 辰子巳생 --- 丑 未 災殃起
丑酉申생 --- 酉 戌 正當頭, 寅午卯생 --- 子 丑 納音妬
- 뇌정백호대살 --- 백호대살과 동일하고 월건으로 일진을 본다.
- 戊己殺 ---- 월건에 따라 들어오는 흉한 일진으로 이 무기살에 걸리면 浮症이 발한다. 찾는 방법은 그 달의 月建을 중궁에 넣고 九宮을 수장으로 돌린다.
- 八殺日---- 坐를 극하는 일진이다. 官鬼殺이다.
子坐 戊辰일 艮坐 丙寅일 卯坐 庚申, 壬申일
巽坐 辛酉일 午坐 己亥일 坤坐 乙卯일
酉坐 丁巳일 乾坐 壬午일
- 伏斷日 --- 책력에 자세히 나와 있는 날로 伏敗斷絶이라는 뜻이다. 보는 방법은 앞의 자는 일진의 地支자이고 뒤의 자는 28수의 하 나이다. 즉 子虛이면 子일에 虛宿가 들어오면 흉일이라는 뜻이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子虛丑斗 寅 室, 卯女辰箕 巳 房, 牛角未張 申値鬼, 酉 戌胃亥壁當
○ 陰宅起胞法 (구묘 참파방 판별법)
이는 쌍분이나 이장할 경우 구묘의 참파시 구묘의 생방이나 왕방을 건드리거나 쌍분의 경우 참파할 경우 범해서는 안되는 방위다. 생방을 건드릴 경우 자손의 수명의 피해를 보고, 왕방을 건드리면 자손의 재산의 해를 본다.구묘의 坐를 기준으로 본다. 단 12포태의 생왕기포와는 전혀 다름을 명심.
乾甲丁巽庚癸 坐는 金으로 起胞於寅하니 巳生酉旺이다.
坤壬乙艮丙辛 坐는 木으로 起胞於申하니 亥生卯旺이다.
寅午戌申子辰 坐는 火로서 起胞於亥하니 寅生午旺이다.
巳酉丑亥卯未 坐는 水로서 起胞於巳하니 申生子旺이다.
○ 移葬時 吉日
- 眞太陰 定局
이날의 吉日은 어지간한 살은 反爲我奴할 수 있으니 대길일 이다.백호대살(戊辰, 丁丑, 丙戌, 乙未, 甲辰, 癸丑, 壬戌)이나 특히 피해야할 몆가지 대살을 제외하곤 상관이 없는 날이니 쓰기에 용이하며 대길일이다.
○ 택일시 고려사항
- 망자(묘에 묻힌 사람)의 생년월일
- 사손(嗣孫 : 장자나 장손)의 생년월일
- 기존 묘(구묘)의 좌향
- 이장하고자 하는 묘(신묘)의 좌향
○ 장택론
장사(葬事)를 지내기 전 1년에서 3년 전에 묘지 좌향, 산운, 망인(亡人)의 본명(本命)을 대조하여 길한 날을 가리어 장사(移葬, 新葬, 改葬, 合葬)의 년, 월, 일, 시를 예정하는 것을 장택이라 한다.
장택은 그 집안의 흥패존망의 관건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만약 이를 소홀히 하면 지하영백(地下靈魄)과 그 자손이 다같이 큰 재앙을 입게 된다. 옛 글에서는「穴吉葬凶與棄屍同」이라 하였으며 사인(死人)의 장택을 마치 생인(生人)의 출생사주(出生四柱)와 같으므로 장택여하(葬擇如何)는 용혈묘지(龍穴墓地)의 명기화복(明氣禍福)에 적지 않은 가감작용(加減作用)이 있다고 말한 바도 있다. 아래와 같은 요령과 방법으로 철저하게 장택(葬擇)하면 조금도 이로 인한 후환과 허물이 없을 것이며 나아가 체백(體魄)은 안정되고 그 자손(子孫)은 영복(迎福)할 것이다.
○ 산운과 망인의 본명(출생년)대조
장택(葬擇)에는 먼저 회두살(回頭煞), 년무기살(年戊己煞,) 월무기살(月戊己煞)의 기타 십여종목(十餘種目)의 살 을 살피고 본 다음 제살피흉(制煞避凶)과 보백취길(補魄趨吉)에 목적이 있다.
○ 구복법(求福法)
구복(求福)은 오산년운(五山年運), 금화정국(金華定局), 통천규(通天竅), 주마육임(走馬六壬), 녹마귀인(祿馬貴人), 기타 황도법(黃道法)으로 구복(求福)한다.
○ 제살법(制煞法)
제살(制煞)은 망인(亡人)의 본명(本命), 진태양(眞太陽), 진태음(眞太陰), 칠군하림(七君下臨), 삼원자백(三元紫白), 존제성(尊帝星), 삼기제성(三奇帝星), 사리제성(四利帝星), 자미제성(紫微帝星)등 여러법으로 각종 흉살(凶煞)을 제어하는 것이다. 특히 유의할 것은 겁살(劫煞). 재살(災煞). 세살(歲煞). 향살(向煞).등은 중살(重煞)인바 제살법 (制煞法)으로 이를 쉽게 제어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이의 제어보다는 이를 피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된다.
○ 홍범오행법(洪範五行)
甲寅辰巽 戌坎辛申 震艮巳 離壬丙乙 兌丁乾亥 癸丑坤庚未
大江水 摠一同水 元屬木 火爲宗 金山處 土而窮
○ 납음오행법(納音五行)
甲子乙丑-海中金 丙寅丁卯-爐中火 戊辰己巳-大林木 庚午辛未- 路傍土
壬申癸酉-劍鋒金 甲戌乙亥-山頭火 丙子丁丑-澗何水 戊寅己卯-城頭土
庚辰辛巳-白蠟金 壬午癸未-楊柳木 甲申乙酉-泉中水 丙戌丁亥-屋上土
戊子己丑-霹靂火 庚寅辛卯-松栢木 壬辰癸巳-長流水 甲午乙未-砂中金
丙申丁酉-山下火 戊戌己亥-平地木 庚子辛丑-壁上土 壬寅癸卯-金箔金
甲辰乙巳-覆燈火 丙午丁未-天河水 戊申己酉-大驛土 庚戌辛亥-釧金
壬子癸丑-桑木 甲寅乙卯-大溪水 丙辰丁巳-砂中土 戊午己未-天上火
庚申辛酉-石榴木 壬戌癸亥-大海水
○ 장택법
장사(葬事)로 인한 길흉(吉凶)에는 보길작용(補吉作用) 보다는 흉살작용(凶煞作用)이 더욱 많고 크다. 살(煞)에는 이백여(二百餘)의 각종 흉살(凶煞)이 있어 생영(生靈)과 사백(死魄)을 괴롭히는 것이다. 그러나 그 많은 모든 살(煞)을 다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천지자연의 이치는 이를 피하고 막아내는
힘과 방법이 있기 마련이다. 다시 말하거니와 각종 장사(葬事)에서 장택(葬擇)이란 참으로 막중한 일이다. 신장(新葬), 초상(初喪)은 칠일내 불택길일(七日內不擇吉日)이라 하여 다만 중상일(重喪日)과 중복일(重復日)을 피하고 하관길시(下棺吉時)만을 가리는 것이다.
- 택년(擇年)
장사길년(葬事吉年)을 가린다. 오산년운(五山年運), 만년도(萬年圖), 육기응후(六氣應候), 금정명암기정국(金精明暗 氣定局), 진태양전차(眞太陽次), 진태음두모정국(眞太陰斗母定局), 삼원자백(三元紫白), 존제성정국(尊帝星定局), 삼기제성정국(三奇帝星定局), 활녹마정국(活祿馬定局), 개산정국(蓋山 定局), 도천전운(都天轉運), 통천규(通天竅), 주마육임정국(走馬六壬定局)등 절목(節目)에서 장사길년(葬事吉年)을 가리되 이중에서 칠(七), 팔(八), 개 (個)만이 라도 합국(合局)하면 썩 잘된 택년(擇年)이다.
- 택월(擇月)
장사(葬事)에 좋은 달을 가린다. 육기응후(六氣應候), 진태음두모정국(眞太陰斗母定局), 삼원자백(三元紫白), 존제 성국 (尊帝星定局), 삼기제성정국 (三奇帝星定局), 성마귀인정국(星馬貴人定局), 개산황도정국(蓋山黃道定局), 도천 전운(都天轉運), 통천규(通天竅), 주마육임정국(走馬六臨定局), 운박영 정국(運泊永定局), 팔산역마임관(八山驛馬臨 官)등 여러 절목(節目)에서 장사에 좋은 달을 가리되 이중에서 육(六), 칠(七), 개(個)만이라도 합국(合局)하면 썩 잘된 택월(擇月)이다.
- 택일(擇日)
장사(葬事)에 좋은 날을 가린다. 금정명암정국(金精明暗定局), 칠군하림(七君下臨), 진태양정국(眞太陽定局), 진태 음두모정국(眞太陰斗母定局), 삼원자백(三元紫白), 존제성정국(尊帝星定局), 사리제성정국(四利帝星定局), 개산황도 정국(蓋山黃道定局), 도천전운(都天轉運), 통천규첩법(通天竅捷法), 주마육임정국(走馬六壬定局), 황흑도정국(黃黑 道定局), 중상중복일(重喪重復日)등 절목(節目)에서 동총(動塚)에 좋은날을 가리되 이중에서 칠(七), 팔(八), 개 (個), 항목(項目)만 이라도 합국(合局)하면 썩 잘된 장택일(葬擇日)이다.
- 택시(擇時)
하관(下棺)에 좋은 시를 가린다. 삼원자백(三元紫白), 존제성정국(尊帝星定局), 사리제성정국(四利帝星定局), 개산황도정국(蓋山黃道定局), 도천전운(都天轉運), 통천규법(通天竅法), 주마육임정국(走馬六壬定局), 황흑도정국(黃黑 道定局)등 각 절목(節目)에서 하관시(下棺時)만을 가리되 이중에서 오(五), 육(六), 개(個)항목(項目)만이라도 합국 (合局)하면 썩 잘된 하관택시(下棺擇時)이다.
- 중상일(重喪日), 복일(復日), 중일(重日) ------ 중상일(重喪日)은 상(喪)이 거듭 된다는 뜻으로 장사(葬事)는 절대 불가하여 3일장 예정이라도 5일장으로 해야한다. 복일(復日)과 중일(重日)은 흉사(凶事)에는 더욱 흉하고 길사(吉事)에는 더욱 길하다 는 날로 가능하다면 꺼리는 것이 좋다.
- 하관길시(下棺吉時) ----- 황도시(黃道時)에 귀인시(貴人時)를 겸하면 좋고 마땅치 않으면 그냥 황도시(黃道時)만 가 려 쓴다.
- 황도시(黃道時) 일진(日辰)의 지지를 기준
- 귀인시(貴人時) 일진(日辰)의 천간을 기준
- 취토방(取土方) ---- 하관 때에 광중에 처음 넣을 몇 줌의 흙을 떠는 생토방과 성분(成墳)할 때의 사토방
◇ 紫白法 運用方法 ◇ ---일원 류재백님 정리(펌)
○ 년자백(年紫白)
1. 上元(1864년부터 1923년까지)
九宮圖의 1白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太歲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태세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년자백도가 된다.
(上元 年紫白 中宮數)
坎宮(1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離宮(9紫):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艮宮(8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兌宮(7赤):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乾宮(6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中宮(5黃):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巽宮(4綠):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震宮(3碧):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坤宮(2黑):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상원 1923년의 年紫白圖
1923년은 癸亥년으로 위에서 중궁수가 5黃이다. 5黃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1923년(癸亥)의 년자백도가 된다.
(上元 癸亥年의 年紫白圖)
중궁:5黃, 건궁:6白, 태궁:7赤, 간궁:8白, 이궁:9紫, 감궁:1白, 곤궁:2黑, 진궁:3碧, 손궁:4綠
2. 中元(1924년부터 1983년까지)
九宮圖의 4綠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太歲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태세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년자백도가 된다.
(中元 年紫白 中宮數)
巽宮(4綠):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震宮(3碧):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坤宮(2黑):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坎宮(1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離宮(9紫):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艮宮(8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兌宮(7赤):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乾宮(6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中宮(5黃):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中元 1980년의 年紫白圖
1980년은 庚申년으로 위의 표에서 중궁수가 2黑이다. 2黑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1980년(庚申)의 년자백도가 된다.
(中元 庚申年의 年紫白圖)
중궁:2黑, 건궁:3碧, 태궁:4綠, 간궁:5黃, 이궁:6白, 감궁:7赤, 곤궁:8白, 진궁:9紫, 손궁:1白
3. 下元(1984년부터 2023년까지)
九宮圖의 7赤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각 太歲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태세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년자백도가 된다.
(下元 年紫白 中宮數)
兌宮(7赤):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乾宮(6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中宮(5黃):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巽宮(4綠):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震宮(3碧):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坤宮(2黑):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坎宮(1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離宮(9紫):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艮宮(8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下元 2006년의 年紫白圖
2006년은 丙戌년으로 위의 표에서 중궁수가 3碧이다. 3碧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2006년(丙戌)의 년자백도가 된다.
(中元 庚申年의 年紫白圖)
중궁:3碧, 건궁:4綠, 태궁:5黃, 간궁:6白, 이궁:7赤, 감궁:8白, 곤궁:9紫, 진궁:1白, 손궁:2黑
○ 월자백(月紫白)
1. 寅, 申, 巳, 亥년
九宮圖의 2黑에서 起1月하여 逆行으로 각 월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월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월자백도가 된다.
(寅, 申, 巳, 亥년 月紫白 中宮數)
곤궁(2黑):1월,10월, 감궁(1白):2월,11월, 이궁(9紫):3월,12월, 간궁(8白):4월,
태궁(7赤):5월, 건궁(6白):6월, 중궁(5黃):7월, 손궁(4綠):8월, 진궁(3碧):9월
例) 2004年 3月 月紫白圖
2004년은 甲申년으로 3월의 중궁수는 9紫이다. 9紫를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2004년 3월의 월자백도가 된다.
(甲申年 3월의 月紫白圖)
중궁:9紫, 건궁:1白, 태궁:2黑, 간궁:3碧, 이궁:4綠, 감궁:5黃, 곤궁:6白, 진궁:7赤, 손궁:8白
2. 子, 午, 卯, 酉년
九宮圖의 8白에서 起1月하여 逆行으로 각 월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월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월자백도가 된다.
(子, 午, 卯, 酉년 月紫白 中宮數)
간궁(8白):1월,10월, 태궁(7赤):2월,11월 건궁(6白):3월,12월, 중궁(5黃):4월,
손궁(4綠):5월, 진궁(3碧):6월, 곤궁(2黑):7월, 감궁(1白):8월, 이궁(9紫):9월
例) 2005年 3月 月紫白圖
2005년은 乙酉년으로 3월의 중궁수는 6白이다. 6白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2005년 3월의 월자백도가 된다.
(乙酉年 3월의 月紫白圖)
중궁:6白, 건궁:7赤, 태궁:8白, 간궁:9紫, 이궁:1白, 감궁:2黑, 곤궁:3碧, 진궁:4綠, 손궁:5黃
3. 辰, 戌, 丑, 未년: 九宮圖의 5黃에서 起1月하여 逆行으로 각 월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월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월자백도가 된다.
(辰, 戌, 丑, 未년 月紫白 中宮數)
중궁(5黃):1월,10월, 손궁(4綠):2월,11월, 진궁(3碧):3월,12월, 곤궁(2黑):4월,
감궁(1白):5월, 이궁(9紫):6월 간궁(8白):7월, 태궁(7赤):8월 건궁(6白):9월
例) 2006년 3월의 月紫白圖
2006년은 丙戌년으로 3월의 중궁수는 3碧이다. 3碧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2006년 3월의 월자백도가 된다.
(丙戌年 3월의 月紫白圖)
중궁:3碧, 건궁:4綠, 태궁:5黃, 간궁:6白, 이궁:7赤, 감궁:8白, 곤궁:9紫, 진궁:1白, 손궁:2黑
○ 일자백(日紫白)
1. 陽遁(冬至에서 夏至까지)
1) 冬至, 小寒, 大寒, 立春 4절기: 九宮圖의 1白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冬至, 小寒, 大寒, 立春 4절기 日紫白 中宮數)
坎宮(1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坤宮(2黑):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震宮(3碧):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巽宮(4綠):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中宮(5黃):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乾宮(6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兌宮(7赤):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艮宮(8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離宮(9紫):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冬至, 小寒, 大寒, 立春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甲申일은 중궁수가 3碧이다. 3碧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甲申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冬至, 小寒, 大寒, 立春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중궁:3碧, 건궁:4綠, 태궁:5黃, 간궁:6白, 이궁:7赤, 감궁:8白, 곤궁:9紫, 진궁:1白, 손궁:2黑
2) 雨水, 驚蟄, 春分, 淸明 4절기: 九宮圖의 7赤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雨水, 驚蟄, 春分, 淸明 4절기 日紫白 中宮數)
兌宮(7赤):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艮宮(8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離宮(9紫):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坎宮(1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坤宮(2黑):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震宮(3碧):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巽宮(4綠):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中宮(5黃):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乾宮(6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雨水, 驚蟄, 春分, 淸明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갑신일은 중궁수가 9紫이다. 9紫를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신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雨水, 驚蟄, 春分, 淸明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중궁:9紫, 건궁:1白, 태궁:2黑, 간궁:3碧, 이궁:4綠, 감궁:5黃, 곤궁:6白, 진궁:7赤, 손궁:8白
3) 穀雨, 立夏, 小滿, 芒種 4절기
九宮圖의 4綠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穀雨, 立夏, 小滿, 芒種 4절기 日紫白 中宮數)
巽宮(4綠):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中宮(5黃):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乾宮(6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兌宮(7赤):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艮宮(8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離宮(9紫):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坎宮(1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坤宮(2黑):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震宮(3碧):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穀雨, 立夏, 小滿, 芒種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갑신일은 중궁수가 6白이다. 6白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신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穀雨, 立夏, 小滿, 芒種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중궁:6白, 건궁:7赤, 태궁:8白, 간궁:9紫, 이궁:1白, 감궁:2黑, 곤궁:3碧, 진궁:4綠, 손궁:5黃
2. 陰遁(夏至에서 冬至까지)
1) 夏至, 小暑, 大暑, 立秋 4절기
九宮圖의 9紫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夏至, 小暑, 大暑, 立秋 4절기 日紫白 中宮數)
離宮(9紫):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艮宮(8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兌宮(7赤):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乾宮(6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中宮(5黃):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巽宮(4綠):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震宮(3碧):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坤宮(2黑):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坎宮(1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夏至, 小暑, 大暑, 立秋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甲午일은 중궁수가 6白이다. 6白을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오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夏至, 小暑, 大暑, 立秋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중궁:6白, 손궁:7赤, 진궁:8白, 곤궁:9紫, 감궁:1白, 이궁:2黑, 간궁:3碧, 태궁:4綠, 건궁:5黃
2) 處暑, 白露, 秋分, 寒露 4절기
九宮圖의 3碧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處暑, 白露, 秋分, 寒露 4절기 日紫白 中宮數)
震宮(3碧):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坤宮(2黑):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坎宮(1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離宮(9紫):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艮宮(8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兌宮(7赤):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乾宮(6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中宮(5黃):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巽宮(4綠):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處暑, 白露, 秋分, 寒露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갑오일은 중궁수가 9紫이다. 9紫를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오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處暑, 白露, 秋分, 寒露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중궁:9紫, 손궁:1白, 진궁:2黑, 곤궁:3碧, 감궁:4綠, 이궁:5黃, 간궁:6白, 태궁:7赤, 건궁:8白
3) 霜降, 立冬, 小雪, 大雪 4절기
九宮圖의 6白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霜降, 立冬, 小雪, 大雪 4절기 日紫白 中宮數)
乾宮(6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中宮(5黃):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巽宮(4綠):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震宮(3碧):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坤宮(2黑):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坎宮(1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離宮(9紫):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艮宮(8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兌宮(7赤):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霜降, 立冬, 小雪, 大雪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갑오일은 중궁수가 3碧이다. 3碧을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오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霜降, 立冬, 小雪, 大雪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중궁:3碧, 손궁:4綠, 진궁:5黃, 곤궁:6白, 감궁:7赤, 이궁:8白, 간궁:9紫, 태궁:1白, 건궁:2黑
○시자백(時紫白)
1. 陽遁(冬至에서 夏至까지)
1) 日辰이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일
九宮圖의 1白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坎宮(1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坤宮(2黑):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震宮(3碧):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巽宮(4綠):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中宮(5黃):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乾宮(6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兌宮(7赤):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艮宮(8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離宮(9紫):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陽遁 丙寅일 寅시의 時紫白圖
丙일의 時頭는 戊子이므로 寅시 간지는 庚寅이다. 위의 표에서 경인은 중궁수가 9紫이다. 9자를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병인일 인시의 시자백도가 된다.
(陽遁 丙寅일 寅시의 時紫白圖)
중궁:9紫, 건궁:1白, 태궁:2黑, 간궁:3碧, 이궁:4綠, 감궁:5黃, 곤궁:6白, 진궁:7赤, 손궁:8白
2) 日辰이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일
九宮圖의 7赤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兌宮(7赤):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艮宮(8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離宮(9紫):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坎宮(1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坤宮(2黑):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震宮(3碧):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巽宮(4綠):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中宮(5黃):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乾宮(6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陽遁 甲申일 卯시의 時紫白圖
甲일의 時頭는 甲子이므로 卯시 간지는 丁卯이다. 위의 표에서 정묘는 중궁수가 1白이다. 1백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갑신일 묘시의 시자백도가 된다.
(陽遁 甲申일 卯시의 時紫白圖)
중궁:1白, 건궁:2黑, 태궁:3碧, 간궁:4綠, 이궁:5黃, 감궁:6白, 곤궁:7赤, 진궁:8白, 손궁:9紫
3) 日辰이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일
九宮圖의 4綠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巽宮(4綠):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中宮(5黃):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乾宮(6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兌宮(7赤):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艮宮(8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離宮(9紫):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坎宮(1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坤宮(2黑):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震宮(3碧):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陽遁 戊寅일 丑시의 時紫白圖
戊일의 時頭는 壬子이므로 丑시 간지는 癸丑이다. 위의 표에서 계축은 중궁수가 8白이다. 8백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무인일 축시의 시자백도가 된다.
(陽遁 戊寅일 丑시의 時紫白圖)
중궁:8白, 건궁:9紫, 태궁:1白, 간궁:2黑, 이궁:3碧, 감궁:4綠, 곤궁:5黃, 진궁:6白, 손궁:7赤
2. 陰遁(夏至에서 冬至까지)
1) 日辰이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일
九宮圖의 9紫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離宮(9紫):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艮宮(8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兌宮(7赤):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乾宮(6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中宮(5黃):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巽宮(4綠):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震宮(3碧):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坤宮(2黑):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坎宮(1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陰遁 戊辰일 丑시의 時紫白圖
戊일의 時頭는 壬子이므로 丑시 간지는 癸丑이다. 위의 표에서 계축은 중궁수가 5黃이다. 5황을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무진일 축시의 시자백도가 된다.
(陰遁 戊辰일 丑시의 時紫白圖)
중궁:5黃, 손궁:6白, 진궁:7赤, 곤궁:8白, 감궁:9紫, 이궁:1白, 간궁:2黑, 태궁:3碧, 건궁:4綠
2) 日辰이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일
九宮圖의 3碧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震宮(3碧):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坤宮(2黑):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坎宮(1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離宮(9紫):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艮宮(8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兌宮(7赤):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乾宮(6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中宮(5黃):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巽宮(4綠):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陰遁 丙戌일 寅시의 時紫白圖
丙일의 時頭는 戊子이므로 寅시 간지는 庚寅이다. 위의 표에서 경인은 중궁수가 4綠이다. 4록을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병술일 인시의 시자백도가 된다.
(陰遁 丙戌일 寅시의 時紫白圖)
중궁:4綠, 손궁:5黃, 진궁:6白, 곤궁:7赤, 감궁:8白, 이궁:9紫, 간궁:1白, 태궁:2黑, 건궁:3碧
3) 日辰이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일
九宮圖의 6白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乾宮(6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中宮(5黃):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巽宮(4綠):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震宮(3碧):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坤宮(2黑):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坎宮(1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離宮(9紫):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艮宮(8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兌宮(7赤):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陰遁 甲戌일 卯시의 時紫白圖
甲일의 時頭는 甲子이므로 卯시 간지는 丁卯이다. 위의 표에서 정묘는 중궁수가 3碧이다. 3벽을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갑술일 묘시의 시자백도가 된다.
(陰遁 甲戌일 卯시의 時紫白圖)
중궁:3碧, 손궁:4綠, 진궁:5黃, 곤궁:6白, 감궁:7赤, 이궁:8白, 간궁:9紫, 태궁:1白, 건궁:2黑
◇ 손없는 날 ◇
○ 손 있는 날
東 방위에 손이 있는 날 -1. 2. 11. 12. 21. 22 일
西 방위에 손이있는 날 - 5. 6. 15. 16, 25. 26
南 방위에 손이 있는 날 -3. 4. 13. 14. 23. 24 일
北 방위에 손이 있는 날 -7. 8. 17. 18. 27. 28 일
○ 손 없는 날 --- 음력 그믐날 및 9, 10, 19, 20, 29, 30 날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주역64괘 풀이 (0) | 2013.02.17 |
---|---|
[스크랩] 묘지 이장, 개장 택일 하는 법 (0) | 2013.01.29 |
[스크랩] 음양오행 (0) | 2013.01.22 |
[스크랩] [명리강론] 십이신살(十二神殺) (0) | 2013.01.19 |
[스크랩] 運泊永定局(운박영정국) - 이장시 坐로서 달(月)을 정하는 방법이다. (0) | 201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