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스크랩] 홍국포열법

십장생1 2013. 2. 24. 13:35
 

洪烟局의 例

아래와 같은 四柱를 예로 들어 본론에 들어가기 앞서 여러 포국의 예를 들어 살펴보자.


時 日 月 年

乙 癸 庚 甲      陰遁  夏至  下元  六局

卯 巳 午 子


위의 사주를 바탕으로 모든 홍역국을 포국한다.


① 숫자로 환원한 洪局布列          ② 日主와 時柱로 布局한 烟局

               


③ 中宮의 地盤數를 기준으로        ④ 日柱를 기준으로 포국한 八門

         포국한 八卦 

  

福德

歸魂

遊魂

生氣

天宜

禍害

絶体

絶命

          

驚門

死門

生門

傷門

 

開門

休門

景門

杜門

         


이와같은 방식으로 천봉구성(天蓬九星), 직부(直符), 태을구성(太乙九星)과 더불어 몇가지 신살(神殺)을 종합 포국한다.


홍연국(洪烟局)의 분류


홍연학(洪烟學)으로 연구할 수 있는 분야는 방대(厖大)하지만 홍연촬요(洪烟撮要)에서 소개하는 내용은 그 중 대표적인 先天命을 해석하는 원명국(原命局)과 일년 신수를 보는 신수국(身數局)을 중심으로 월국(月局)‧일국(日局)‧천하국(天下局)등이 있다.















홍국포열법(洪局布列法)


1. 홍국(洪局)이란?

기문둔갑은 풍후(風后)씨가 최초로 연국를 시작하였다. 그 후 여러 대가(大家)들에 의해 연구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지만, 많은 중국의 서적들에는 홍국을 보는 법이 없다. 다만, 우리나라에서 전하는 홍연진결(洪烟眞訣)과 대전기(大全奇)라는 필사본에서만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즉, 우리 선조들의 작품이요. 우리 민족의 학문이라는 것이다. 홍콩은 물론 일본 서적에서도 발견할 수 없는데, 중국의 현공풍수학(玄空風水學)과 관련한 서적에서 비슷한 흔적을 찾을 수가 있다.




2. 홍국 수리 법칙(洪局數理法則)

홍국(洪局)은 數理로 구성된다. 일반 명리학에서와 같이 홍연학(洪烟學)에서도 생․년․월․일․시[四柱]로서 설국(設局)한다. 사주를 설국하면 천간(天干)이 넷이고 지지(地支)가 넷으로 태어날 때 부여받은 운명의 별이 확정된다. 이 확정된 간(干)과 지(支)에는 수리(數理)가 또한 포함되어 있는데, 이 수리를 간은 간의 수끼리, 지는 지의 수끼리 각기 합하여, 그 합수를 9로 제(除)한다. 남은 수로 기본을 삼아 운명(運命)을 추리하게 된다.


홍국(洪局)의 수리법칙은 다음과 같다.


∙천간(天干)

1

2

3

4

5

6

7

8

9

10

∙지지(地支)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중궁의 천지반수(天地盤數) 산출방법

구체적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1) 서기 1953년 음력 3월 10일 유시생(癸巳년 丙辰월 甲辰일 癸酉시)

10

1

3

10

10

5

5

6

       

 

 

 

 

 

 

 

 


이상과 같이 설국된 사주에 앞 도표에 있는 천간과 지지의 수리에 근거하여 수를 배치시킨다.

그 결과 천간합수(天干合數)는 24가 된다. 이것을 9로 제하면 6이라는 수가 남고, 6이 곧 기본수이다. 이를 일러 천반수(天盤數)라 한다.

또한 지지합수(地支合數)는 26이 된다. 9로 제하면 8이라는 수가 남으므로, 8이 지반의 기본수이다. 이를 지반수(地盤數)라 칭한다.

이 기본수를 구궁도(九宮圖) 중궁(中宮)에 배치한다.

[지반수는 아래, 천반수 위에 적는다.]






예2) 서기 1897년 음력 9월 25일 해시생(丁酉년 庚戌월 辛亥일 己亥시)

6

8

7

4

12

12

11

10

                                 

 

 

 

 

 

 

 

 


천간합수(天干合數)는 25이다. 9로 제하면 7이라는 수가 남게 되고, 이 수가 홍국천반(洪局天盤)을 이루는 기본수가 된다.

지지합계수(地支合計數)는 45요, 9로 제하면 0이 된다.

※ 이때에는 제하는 수인 9를 그냥 쓴다. 이 9가 홍국지반(洪局地盤)을 이루는 기본수가 된다. 만약 합계수가 9에 미달되면 미달된 그 수를 기본수로 쓴다.



예3) 1897년 10월 20일 신시생(丁酉년 辛亥월 丙子일 丙申시)

3

3

8

4

9

1

12

10

     

 

 

 

 

 

 

 

 


천간 합수가 18, 9로 제하면 0이 되나, 제하는 수인 9를 취하여 천반(天盤) 기본수는 9가 된다.

지지 합수는 32이고, 9로 제하면 5가 남는다. 그러므로, 지반(地盤) 기본수는 5가 된다.


그럼 이제부터, 홍국수리법칙(洪局數理法則)에서 얻어진 천반과 지반의 기본수를 구궁계 또는 구궁도에 배치하는 법을 설명하겠다.

낙서구궁도를 다시 한번 잘 보라. 이것은 앞으로 홍연학(洪烟學)의 무대(舞台)가 되기 때문에 각궁의 고유번호를 차례대로 정확히 기억해 두어야 하겠다.




2) 중궁 천반수 역포(逆布)

   낙서(洛書)

4巽

9離

2坤

3震

5

7兌

8艮

1坎

6乾

천반의 기본수를 중궁(中宮)에 적는다.

[천간을 합수한 후 9로 제하고 남은 수]  -入中宮-

그리고 다음 수를 구이궁(九離宮)에 적는다.

또 다음 수를 팔간궁(八艮宮)에 적는다.

다음수는 칠태궁(七兌宮)에,

다음수는 육건궁(六乾宮)에 다음수는 빼고 중앙을 건너뛴다.

다음 다음수를 사손궁(四巽宮)에 기록하고

다음수를 삼진궁(三震宮)에 적고,

다음수를 이곤궁(二坤宮)에 적고,

다음수를 일감궁(一坎宮)에 적는다. 이렇게 천반(天盤)은 역포(逆布)한다.



3)중궁 지반수 순포(順布)

지반(地盤)의 기본수도 중앙에 적는다.

[地支合數를 9로 제하고 남은 수] -入中宮- 

그리고 지반 기본수의 다음수를 一坎宮에 적는다.

그다음 수를 二坤宮에 적고

다시 三震宮에 四巽宮에 계속된 수를 이어서 적는다. 오중앙(五中央)은 한 수 빼고

천지반(天地盤)

건너뛰어 육건궁(六乾宮)으로 가며, 七兌․八艮․九離로 지반은 순포(順布)한다.


여기서 우리가 주의해야 할 문제가 있다. 그것은  10이되면 다시 1로 돈다[回歸]는 사실이다. 11‧12‧13‧14 등으로 나가지 않고 수리철학의 기본인 10수 안에서만 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하겠다.





홍국 수리법칙을 다시 한번 요약해 보면

① 천반수(天盤數)‧지반수(地盤數)를 입중궁(入中宮) 시킨다.

② 천반수는 出離宮하여 逆布

  [궁 번호를 거꾸로 세어가고, 천반수는 1씩 증가]

③ 지반수는 出坎宮하여 順布

  [궁 번호를 앞으로 세어가고, 지반수는 1씩 증가]


홍국수리 포국의 실제 예를 보자.


예1) 서기 1950년 음력 3월 24일 사시생(庚寅년 辛巳월 乙巳일 辛巳시)

8

2

8

7

6

6

6

3

天干合數 25

地支合數 21

천반(天盤)

      

지반(地盤)

        


천간합수가 25이니, 9로 제하면 7이 남는다.

中宮에 七, 九離에 八, 八艮에 九, 七兌에 十, 六乾에 一, 五中宮은 한 수 빼고 건너뛴다. 四巽에 三, 三震에 四, 二坤에 五, 一坎에 六,

이렇게 기본수가 입중궁(入中宮)한 후, 리궁(離宮)으로 나와 역포(逆布)하여 천반국(天盤局)이 완성된다. [도표참고]

지지합수가 21이니, 9로 제하면 3이 남는다.

中宮에 三, 一坎宮에 四, 二坤宮에 五, 三震에 六, 四巽에 七, 五中宮은 한 수 빼고 건너뛰며 六乾에 九, 七兌에 十, 八艮에 一, 九離에 二,

이렇게 기본수가 입중궁한 후 감궁(坎宮)으로 나와 순포(順布)하여 지반국(地盤局)이 완성된다[도표참고]


예2) 서기 1951년 음력 4월 29일 묘시생(辛卯년 癸巳월 甲戌일 丁卯시)

4

1

10

8

4

11

6

4

天干合數 23

地支合數 25

천반(天盤)

지반(地盤)

천지반(天地盤)


천간합수가 23이니, 9로 제하면 남는 수는 5이다.

中宮에 五, 九離에 六, 八艮에 七, 七兌에 八, 六乾에 九, 중앙은 건너뛴다. 四巽에 一, 三震에 二, 二坤에 三, 一坎에 四 이상과 같이 기본수가 입중궁(入中宮) 한 후, 출리궁(出離宮)하여 역포(逆布)하는 것이 천반(天盤)의 포국법(布局法)이다.

지지합계수(地支合計數)가 25이니, 9로 제하면 7이 남는다.

中宮에 七, 一坎에 八, 二坤에 九, 三震에 十, 四巽에 一, 중궁은 건너뛰고 六乾에 三, 七兌에 四, 八艮에 五, 九離에 六 이상과 같이 포국(布局)되었다. 지반(地盤)은 입중궁(入中宮)한 후, 출감하여 순포(順布)한다.


예3) 서기 1968년 음력 1월 21일 해시생(戊申년 甲寅월 己未일 乙亥시)

2

6

1

5

12

8

3

9

天干合數 14

地支合數 32

  천지반(天地盤)

천반(天盤)

지반(地盤)

천간합수가 14이고, 9로 제하면 5가 남는다.

中宮에 五, 離宮에 六, 艮宮에 七, 兌宮에 八, 乾宮에 九, 巽宮에 一, 震宮에 二, 坤宮에 三, 坎宮에 四로서 천반이(天盤) 완결된다.

지지(地支)합수가 32이다. 9로 제하면 5가 남는다.

中宮에 五, 坎宮에 六, 坤宮에 七, 震宮에 八, 巽宮에 九, 乾宮에 一, 兌宮에 二, 艮宮에 三, 離宮에 四로서 지반국(地盤局)이 완성된다.






∙천반역포표(天盤逆布表)∙



    

   


    

   

∙지반순포표(地盤順布表)

    

    


    

    


    

    



출처 : 아산 철학원(기문둔갑 이야기)
글쓴이 : 유달산 원글보기
메모 :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팔괘 포국법  (0) 2013.02.24
[스크랩] 초신과 접기  (0) 2013.02.24
[스크랩] 세궁과 육친  (0) 2013.02.24
[스크랩] 주역64괘 풀이  (0) 2013.02.17
[스크랩] 묘지 이장, 개장 택일 하는 법  (0) 2013.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