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스크랩] 자백 택일법

십장생1 2008. 12. 29. 05:32
자백 택일법 | 풍수자료실
2006.03.29 17:27
 

<년자백(年紫白)>

1. 上元(1864년부터 1923년까지)

九宮圖의 1白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太歲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태세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년자백도가 된다.

(上元 年紫白 中宮數)

坎宮(1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離宮(9紫):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艮宮(8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兌宮(7赤):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乾宮(6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中宮(5黃):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巽宮(4綠):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震宮(3碧):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坤宮(2黑):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상원 1923년의 年紫白圖

1923년은 癸亥년으로 위에서 중궁수가 5黃이다. 5黃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1923년(癸亥)의 년자백도가 된다.

(上元 癸亥年의 年紫白圖)

중궁:5黃, 건궁:6白, 태궁:7赤, 간궁:8白, 이궁:9紫,

감궁:1白, 곤궁:2黑, 진궁:3碧, 손궁:4綠


2. 中元(1924년부터 1983년까지)

九宮圖의 4綠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太歲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태세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년자백도가 된다.

(中元 年紫白 中宮數)

巽宮(4綠):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震宮(3碧):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坤宮(2黑):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坎宮(1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離宮(9紫):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艮宮(8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兌宮(7赤):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乾宮(6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中宮(5黃):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中元 1980년의 年紫白圖

1980년은 庚申년으로 위의 표에서 중궁수가 2黑이다. 2黑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1980년(庚申)의 년자백도가 된다.

(中元 庚申年의 年紫白圖)

중궁:2黑, 건궁:3碧, 태궁:4綠, 간궁:5黃, 이궁:6白,

감궁:7赤, 곤궁:8白, 진궁:9紫, 손궁:1白


3. 下元(1984년부터 2023년까지)

九宮圖의 7赤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각 太歲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태세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년자백도가 된다.


(下元 年紫白 中宮數)

兌宮(7赤):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乾宮(6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中宮(5黃):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巽宮(4綠):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震宮(3碧):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坤宮(2黑):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坎宮(1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離宮(9紫):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艮宮(8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下元 2006년의 年紫白圖

2006년은 丙戌년으로 위의 표에서 중궁수가 3碧이다. 3碧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2006년(丙戌)의 년자백도가 된다.

(中元 庚申年의 年紫白圖)

중궁:3碧, 건궁:4綠, 태궁:5黃, 간궁:6白, 이궁:7赤,

감궁:8白, 곤궁:9紫, 진궁:1白, 손궁:2黑


<월자백(月紫白)>

1. 寅, 申, 巳, 亥년

九宮圖의 2黑에서 起1月하여 逆行으로 각 월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월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월자백도가 된다.

(寅, 申, 巳, 亥년 月紫白 中宮數)

곤궁(2黑):1월,10월, 감궁(1白):2월,11월, 이궁(9紫):3월,12월, 간궁(8白):4월,

태궁(7赤):5월, 건궁(6白):6월, 중궁(5黃):7월, 손궁(4綠):8월, 진궁(3碧):9월


例) 2004年 3月 月紫白圖

2004년은 甲申년으로 3월의 중궁수는 9紫이다. 9紫를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2004년 3월의 월자백도가 된다.

(甲申年 3월의 月紫白圖)

중궁:9紫, 건궁:1白, 태궁:2黑, 간궁:3碧, 이궁:4綠,

감궁:5黃, 곤궁:6白, 진궁:7赤, 손궁:8白


2. 子, 午, 卯, 酉년

九宮圖의 8白에서 起1月하여 逆行으로 각 월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월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월자백도가 된다.

(子, 午, 卯, 酉년 月紫白 中宮數)

간궁(8白):1월,10월, 태궁(7赤):2월,11월 건궁(6白):3월,12월, 중궁(5黃):4월,

손궁(4綠):5월, 진궁(3碧):6월, 곤궁(2黑):7월, 감궁(1白):8월, 이궁(9紫):9월


例) 2005年 3月 月紫白圖

2005년은 乙酉년으로 3월의 중궁수는 6白이다. 6白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2005년 3월의 월자백도가 된다.

(乙酉年 3월의 月紫白圖)

중궁:6白, 건궁:7赤, 태궁:8白, 간궁:9紫, 이궁:1白,

감궁:2黑, 곤궁:3碧, 진궁:4綠, 손궁:5黃


3. 辰, 戌, 丑, 未년: 九宮圖의 5黃에서 起1月하여 逆行으로 각 월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월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월자백도가 된다.

(辰, 戌, 丑, 未년 月紫白 中宮數)

중궁(5黃):1월,10월, 손궁(4綠):2월,11월, 진궁(3碧):3월,12월, 곤궁(2黑):4월,

감궁(1白):5월, 이궁(9紫):6월 간궁(8白):7월, 태궁(7赤):8월 건궁(6白):9월


例) 2006년 3월의 月紫白圖

2006년은 丙戌년으로 3월의 중궁수는 3碧이다. 3碧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2006년 3월의 월자백도가 된다.

(丙戌年 3월의 月紫白圖)

중궁:3碧, 건궁:4綠, 태궁:5黃, 간궁:6白, 이궁:7赤,

감궁:8白, 곤궁:9紫, 진궁:1白, 손궁:2黑



<일자백(日紫白)>

1. 陽遁(冬至에서 夏至까지)


1) 冬至, 小寒, 大寒, 立春 4절기: 九宮圖의 1白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冬至, 小寒, 大寒, 立春 4절기 日紫白 中宮數)

坎宮(1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坤宮(2黑):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震宮(3碧):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巽宮(4綠):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中宮(5黃):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乾宮(6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兌宮(7赤):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艮宮(8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離宮(9紫):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冬至, 小寒, 大寒, 立春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甲申일은 중궁수가 3碧이다. 3碧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甲申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冬至, 小寒, 大寒, 立春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중궁:3碧, 건궁:4綠, 태궁:5黃, 간궁:6白, 이궁:7赤,

감궁:8白, 곤궁:9紫, 진궁:1白, 손궁:2黑


2) 雨水, 驚蟄, 春分, 淸明 4절기: 九宮圖의 7赤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雨水, 驚蟄, 春分, 淸明 4절기 日紫白 中宮數)

兌宮(7赤):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艮宮(8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離宮(9紫):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坎宮(1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坤宮(2黑):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震宮(3碧):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巽宮(4綠):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中宮(5黃):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乾宮(6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雨水, 驚蟄, 春分, 淸明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갑신일은 중궁수가 9紫이다. 9紫를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신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雨水, 驚蟄, 春分, 淸明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중궁:9紫, 건궁:1白, 태궁:2黑, 간궁:3碧, 이궁:4綠,

감궁:5黃, 곤궁:6白, 진궁:7赤, 손궁:8白


3) 穀雨, 立夏, 小滿, 芒種 4절기

九宮圖의 4綠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穀雨, 立夏, 小滿, 芒種 4절기 日紫白 中宮數)

巽宮(4綠):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中宮(5黃):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乾宮(6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兌宮(7赤):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艮宮(8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離宮(9紫):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坎宮(1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坤宮(2黑):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震宮(3碧):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穀雨, 立夏, 小滿, 芒種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갑신일은 중궁수가 6白이다. 6白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신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穀雨, 立夏, 小滿, 芒種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중궁:6白, 건궁:7赤, 태궁:8白, 간궁:9紫, 이궁:1白,

감궁:2黑, 곤궁:3碧, 진궁:4綠, 손궁:5黃


2. 陰遁(夏至에서 冬至까지)


1) 夏至, 小暑, 大暑, 立秋 4절기

九宮圖의 9紫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夏至, 小暑, 大暑, 立秋 4절기 日紫白 中宮數)

離宮(9紫):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艮宮(8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兌宮(7赤):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乾宮(6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中宮(5黃):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巽宮(4綠):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震宮(3碧):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坤宮(2黑):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坎宮(1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夏至, 小暑, 大暑, 立秋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甲午일은 중궁수가 6白이다. 6白을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오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夏至, 小暑, 大暑, 立秋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중궁:6白, 손궁:7赤, 진궁:8白, 곤궁:9紫, 감궁:1白,

이궁:2黑, 간궁:3碧, 태궁:4綠, 건궁:5黃


2) 處暑, 白露, 秋分, 寒露 4절기

九宮圖의 3碧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處暑, 白露, 秋分, 寒露 4절기 日紫白 中宮數)

震宮(3碧):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坤宮(2黑):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坎宮(1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離宮(9紫):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艮宮(8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兌宮(7赤):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乾宮(6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中宮(5黃):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巽宮(4綠):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處暑, 白露, 秋分, 寒露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갑오일은 중궁수가 9紫이다. 9紫를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오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處暑, 白露, 秋分, 寒露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중궁:9紫, 손궁:1白, 진궁:2黑, 곤궁:3碧, 감궁:4綠,

이궁:5黃, 간궁:6白, 태궁:7赤, 건궁:8白


3) 霜降, 立冬, 小雪, 大雪 4절기

九宮圖의 6白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霜降, 立冬, 小雪, 大雪 4절기 日紫白 中宮數)

乾宮(6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中宮(5黃):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巽宮(4綠):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震宮(3碧):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坤宮(2黑):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坎宮(1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離宮(9紫):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艮宮(8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兌宮(7赤):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霜降, 立冬, 小雪, 大雪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갑오일은 중궁수가 3碧이다. 3碧을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오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霜降, 立冬, 小雪, 大雪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중궁:3碧, 손궁:4綠, 진궁:5黃, 곤궁:6白, 감궁:7赤,

이궁:8白, 간궁:9紫, 태궁:1白, 건궁:2黑


<시자백(時紫白)>

1. 陽遁(冬至에서 夏至까지)


1) 日辰이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일

九宮圖의 1白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坎宮(1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坤宮(2黑):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震宮(3碧):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巽宮(4綠):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中宮(5黃):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乾宮(6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兌宮(7赤):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艮宮(8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離宮(9紫):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陽遁 丙寅일 寅시의 時紫白圖

丙일의 時頭는 戊子이므로 寅시 간지는 庚寅이다. 위의 표에서 경인은 중궁수가 9紫이다. 9자를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병인일 인시의 시자백도가 된다.

(陽遁 丙寅일 寅시의 時紫白圖)

중궁:9紫, 건궁:1白, 태궁:2黑, 간궁:3碧, 이궁:4綠,

감궁:5黃, 곤궁:6白, 진궁:7赤, 손궁:8白


2) 日辰이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일

九宮圖의 7赤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兌宮(7赤):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艮宮(8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離宮(9紫):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坎宮(1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坤宮(2黑):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震宮(3碧):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巽宮(4綠):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中宮(5黃):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乾宮(6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陽遁 甲申일 卯시의 時紫白圖

甲일의 時頭는 甲子이므로 卯시 간지는 丁卯이다. 위의 표에서 정묘는 중궁수가 1白이다. 1백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갑신일 묘시의 시자백도가 된다.

(陽遁 甲申일 卯시의 時紫白圖)

중궁:1白, 건궁:2黑, 태궁:3碧, 간궁:4綠, 이궁:5黃,

감궁:6白, 곤궁:7赤, 진궁:8白, 손궁:9紫


3) 日辰이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일

九宮圖의 4綠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巽宮(4綠):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中宮(5黃):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乾宮(6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兌宮(7赤):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艮宮(8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離宮(9紫):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坎宮(1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坤宮(2黑):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震宮(3碧):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陽遁 戊寅일 丑시의 時紫白圖

戊일의 時頭는 壬子이므로 丑시 간지는 癸丑이다. 위의 표에서 계축은 중궁수가 8白이다. 8백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무인일 축시의 시자백도가 된다.

(陽遁 戊寅일 丑시의 時紫白圖)

중궁:8白, 건궁:9紫, 태궁:1白, 간궁:2黑, 이궁:3碧,

감궁:4綠, 곤궁:5黃, 진궁:6白, 손궁:7赤



2. 陰遁(夏至에서 冬至까지)


1) 日辰이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일

九宮圖의 9紫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離宮(9紫):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艮宮(8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兌宮(7赤):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乾宮(6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中宮(5黃):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巽宮(4綠):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震宮(3碧):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坤宮(2黑):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坎宮(1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陰遁 戊辰일 丑시의 時紫白圖

戊일의 時頭는 壬子이므로 丑시 간지는 癸丑이다. 위의 표에서 계축은 중궁수가 5黃이다. 5황을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무진일 축시의 시자백도가 된다.

(陰遁 戊辰일 丑시의 時紫白圖)

중궁:5黃, 손궁:6白, 진궁:7赤, 곤궁:8白, 감궁:9紫,

이궁:1白, 간궁:2黑, 태궁:3碧, 건궁:4綠


2) 日辰이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일

九宮圖의 3碧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震宮(3碧):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坤宮(2黑):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坎宮(1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離宮(9紫):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艮宮(8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兌宮(7赤):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乾宮(6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中宮(5黃):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巽宮(4綠):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陰遁 丙戌일 寅시의 時紫白圖

丙일의 時頭는 戊子이므로 寅시 간지는 庚寅이다. 위의 표에서 경인은 중궁수가 4綠이다. 4록을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병술일 인시의 시자백도가 된다.

(陰遁 丙戌일 寅시의 時紫白圖)

중궁:4綠, 손궁:5黃, 진궁:6白, 곤궁:7赤, 감궁:8白,

이궁:9紫, 간궁:1白, 태궁:2黑, 건궁:3碧


3) 日辰이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일

九宮圖의 6白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乾宮(6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中宮(5黃):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巽宮(4綠):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震宮(3碧):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坤宮(2黑):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坎宮(1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離宮(9紫):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艮宮(8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兌宮(7赤):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陰遁 甲戌일 卯시의 時紫白圖

甲일의 時頭는 甲子이므로 卯시 간지는 丁卯이다. 위의 표에서 정묘는 중궁수가 3碧이다. 3벽을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갑술일 묘시의 시자백도가 된다.

(陰遁 甲戌일 卯시의 時紫白圖)

중궁:3碧, 손궁:4綠, 진궁:5黃, 곤궁:6白, 감궁:7赤,

이궁:8白, 간궁:9紫, 태궁:1白, 건궁:2黑

 

                      퍼옴(출처: 한국풍수지리 류재백님 글)

 

 


자백으로 택일을 하는법.

위와 같이 연월일시의 자백도를 뽑은 후 좌향에 따라 향궁에 생기나 왕기성이 비도하는 년월일시를 정하면 되며 특히 3길성(1,6,8)은 항상 무방하다.

이장시는 일자백이 좋으면 되고 주택등의 건축은 월자백이 좋을 때를 정하는 등 그 일을 이루는 기간에 따라 년, 월, 일, 시의 기운이 좋은 때를 택하면 된다.


출처 : 한림풍수학회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