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스크랩] 장례 때 입관 하관 길일 시와, 정충살 호충살 피하는 조견표

십장생1 2009. 1. 19. 03:32

* 초상(初喪)이 나서 장례일(葬禮日)을 결정할 때

장례식은 흉사(凶事)라 거듭되어서는 안 된다, 중상(重喪)은 상이 거듭난다는 뜻이 있고 중일(重日) 복일(復日)은 무엇이든지 거듭된다는 뜻이 있으므로 이날을 꺼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초상이 나서 장일을 결정할 때 가능하면 중일, 복일을 피하여 날을 정하는 게 바람직하나 요지 음은 3일장, 또는 5일장으로 정해져있어 무의미(無意味)하나 이장(移葬)할 때는 참고하시기 바람

 

※ 중일(重日), 복일(復日) 조견표(早見表)

월지

구 분

1 月

인(寅)

2 月

묘(卯)

3 月

진(辰)

4 月

사(巳)

5 月

오(午)

6 月

미(未)

7 月

신(申)

8 月

유(酉)

9 月

술(戌)

10月

해(亥)

11月

자(子)

12月

축(丑)

중상일

重喪日

갑(甲)

을(乙)

기(己)

병(丙)

정(丁)

기(己)

경(庚)

신(辛)

기(己)

임(壬)

계(癸)

기(己)

복일 復 日

경(庚)

신(辛)

무(戊)

임(壬)

계(癸)

무(戊)

갑(甲)

을(乙)

무(戊)

병(丙)

정(丁)

무(戊)

중 일

重 日

사, 해

巳, 亥

사, 해

사, 해

사, 해

사, 해

사, 해

사, 해

사, 해

사, 해

사, 해

사, 해

사, 해

 

장일(葬日)에 꺼리는 날

“예,,장일(葬日)이 1월의 일진이 천간(天干)이 갑(甲)이 해당이면 (중상일) 지지(地支)가 경(庚)이 해당이면 (복일) 매월(每月) 사일(巳日)(뱀)과 해일 (亥日)(돼지)은 (중일)이다 그 외에는 아무 날이나 좋다

 

@ 1월 일진이 갑(甲),(중상일) 경(庚),(복일) 사(巳), 해(亥)일은(중일)

@ 2월 일진이 을(乙),(중상일) 신(辛),(복일) 기(巳), 해(亥)日은(중일)

@ 3월 일진(日辰)이 기(己),(중상일) 무(戊),(복일) 巳와 亥日(중일)

@ 4월 일진이 병(丙),(중상일) 임(壬),(복일) 巳와 亥日(중일)

@ 5월 일진이 정(丁),(중상일) 계(癸),(복일) 巳와 亥日(중일)

@ 6월 일진이 기(己),(중상일) 무(戊),(복일) 巳와 亥日(중일)

@ 7월 일진이 경(庚),(중상일) 갑(甲),(복일) 巳와 亥日(중일)

@ 8월 일진이 신(辛),(중상일) 을(乙_,(복일) 巳와 亥日(중일)

@ 9월 일진이 기(己),(중상일) 무(戊),(복일) 巳와 亥日(중일)

@ 10월 일진이 임(壬),(중상일) 병(丙),(복일) 巳와 亥日(중일)

@ 11월 일진이 계(癸),(중상일) 정(丁),(복일) 巳와 亥日(중일)

@ 12월 일진이 기(己),(중상일) 무(戊),(복일) 巳와 亥日(중일)

 

② 임관길시(入棺吉時)

대개 입관은 염습(殮襲)을 마치면 즉시 한다, 그러므로 염습은 입관 길시에서 1시간정도 앞서 시작하면 될 것이다, 입관에 길(吉)하다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 일력에서 지지(地支)을 보고 간지(干支)로 시간을 본다,

“예,,자(쥐)일=이며 갑자와 경자시에. 축(소)일=이며 을축과 신축시 해당된다,

 

@ 천간(天干)은 아래와 같다,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申) 임(壬) 계(癸)

 

@ 지지(地支)은 아래와 같다

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

 

    

     (입관(入官) 길시(吉時) 六十 갑자일 조견표(早見表)

 

갑자(甲子)日

갑술(甲戌)日

갑신(甲申)日

갑오(甲午)日

갑진(甲辰)日

갑인(甲寅)日

오시 - 술시

오시 - 신시

유시 - 술시

묘시 - 유시

묘시 - 술시

유시 - 해시

을축(乙丑)

을해(乙亥)

을유(乙酉)

을미(乙未)

을사(乙巳)

을묘(乙卯)

사시 - 유시

사시 - 미시

오시 - 해시

사시 - 유시

진시 - 미시

오시 - 술시

병인(丙寅)

병자(丙子)

병술(병술)

병신(丙申)

병오(丙午)

병진(丙辰)

사시 - 미시

인시 - 오시

인시 - 진시

사시 - 오시

사시 - 유시

오시 - 유시

정묘(丁卯)

정축(丁丑)

정해(丁亥)

정유(丁酉)

정미(丁未)

정사(丁巳)

인시- 오시

사시 - 해시

사시 - 해시

인시 - 미시

사시 - 해시

사시 - 술시

무진(戊辰)

무인(戊寅)

무자(戊子)

무술(戊戌)

무신(戊申)

무오(戊午)

인시 - 사시

묘시 - 해시

인시 - 신시

신시 - 술시

술시 - 해시

사시 - 해시

기사(己巳)

기묘(己卯)

기축(己丑)

기해(己亥)

기유(己酉)

기미(己未)

해시 - 오시

인시 - 신시

미시 - 해시

미시 - 해시

묘시 - 신시

미시 - 해시

경오(庚(경)午(오))

경진(庚辰)

경인(庚寅)

경자(庚子)

경술(庚戌)

경신(庚申)

미시 - 해시

해시 - 신시

미시 - 유시

진시 - 신시

진시 - 오시

미시 - 신시

신미(辛未)

신사(辛巳)

신묘(辛卯)

신축(辛丑)

신해(辛亥)

신유(辛酉)

묘시 - 미시

인시 - 미시

진시 - 신시

묘시 - 미시

묘시 - 미시

진시 - 유시

임신(壬申)

임오(壬午)

임진(壬辰)

임인(壬寅)

임자(壬子)

임술(壬戌)

진시 - 묘시

묘시 - 미시

진시 - 미시

묘시 - 해시

진시 - 술시

인시 - 술시

계유(癸酉)

계미(癸未)

계사(癸巳)

계묘(癸卯)

계축(癸丑)

계해(癸亥)

사시 - 술시

묘시 - 유시

묘시 - 신시

진시 - 술시

묘시 - 유시

묘시 - 유시

 

 

지지(地支) 시간(時間) 대조표(對照表)

지지

시부터 - 시까지

지지

시부터 - 시까지

지지

시부터 - 시까지

자(子)

밤 11시 - 새벽 1시

축(丑)

오전 1시 - 오저 3시

인(寅)

오전 3시 - 오전 5시

묘(卯)

오전 5시 - 오전 7시

진(辰)

오전 7시 - 오전 9시

사(巳)

오전 9시 - 오전 11시

오(午)

오전11시 - 오후 1시

미(未)

오후 1시 - 오후 3시

신(申)

오후 3시 - 오후 5시

유(酉)

오후 5시 - 오후 7시

술(戌)

오후 7시 - 오후 9시

해(亥)

오후 9시 - 오후 11시

구분

오행

방향

계절

천간양;천간음

지지양;지지음

색별

지지와 수리

(方向)

(季節)

天干陽;天干陰

地支陽;地支陰

色別

地支와 數理

 

음양오행(陰陽五行) 소속(所屬)

목(木)

東(진震)동북,(간艮)

춘(春)

갑(甲);을(乙)

자(子);축(丑)

청(靑)

인(寅),묘(卯),38

화(火)

南(리離)동남,(손巽)

하(夏)

병(丙);정(丁)

인(寅);묘(卯)

적(赤)

사(巳),오(午),27

토(土)

무(戊);기(己)

진(辰);사(巳)

황(黃)

진(辰),술(戌),50

오(午);미(未)

금(金)

西(태兌)서남(곤坤)

추(秋)

경(庚);신(辛)

신(申);유(酉)

백(白)

신(申),유(酉),49

수(水)

北(감坎)서북(건乾)

동(冬)

임(壬);계(癸)

술(戌);해(亥)

흑(黑)

해(亥),자(子).16

 

③ 하관(下棺) 길시(吉時)

이는 시신(屍身)을 하관 할 때 보는 시간으로서 황도시(黃道時)에서 귀인시(貴人時)를 겸하면 좋고 마땅치 않으면 그냥 황도시만 가려 써도 좋다,

 

@ 황도시는 12지지를 사용한다, 가령 일진(日辰)이 자일(子日)과 오일(午日)이면, 오시와 신시가 해당이 되무로 오전 11시부터 1시까지 또는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그중 시간을 택하면 된다,

 

 

 황도시 조견표

자일과 오일은 오시 - 신시

축일과 미일은 사시 - 신시

인일과 신일은 진시 - 미시

묘일과 유일은 오시 - 미시

진일과 술일은 진시-사시-신시

사일과 해일은 진시-오시-미시

 

@ 귀인시는 일진의 천간을 12지지 시로 사용한다, 가령 일진이 갑자, 갑술, 갑신 갑오, 갑진, 갑인, 무진, 무인, 무자, 무술, 무신, 무오, 경오, 경진, 경인, 경자, 경술, 경신일은 미시)가 되무로 오후 1시부터 3시까지가 하관 길시임

 

귀인시 조견표

甲, 戊, 庚日에 해당일진이 오후 1시 - 3시

乙, 己日에 해당 일진이 오후 3시 - 5시

丙, 丁日에 해당일진이 오후 5시 - 7시

辛日 11시 - 1시

壬, 癸日에 해당일지인 오전 9시 - 11시

 

④ 꺼리는 방향 정상기방(停喪忌方)

정상기방 이란 시신을 묘지로 운반하기 위하여 상여나 영구차를 대기시킨 경우 도시나 병원에서는 불필요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직도 농촌에서는 안방을 기준 상여나 영구차를 세워두는 것을 꺼리는 방향이다, 또 묘지에서는 광중(壙中)(묘구멍)을 기준으로 상여나 관을 안치하지 않는 방향이다,

 

@ 상여나 관을 안치하지 않는 방은 아래와 같다,

초상년도가 사(뱀해), 유(닭해), 축(소해)에는 간방(艮方)이라 하여 (동북쪽)

,, 신(원숭이해),자(쥐해), 진(용해)에는 손방(巽方)이라 하여(동남쪽)

,, 인(범해), 오(말해), 술(개해)에는 건방(乾方)이라 하여 (서북쪽)

,, 해(되지해),묘(토끼해), 미(양해)에는 곤방(坤方)이라하여(서남쪽)

 

⑤ 제주불복방(祭主不伏方)

제주가 영좌나 상청(喪廳)앞에 불복(不伏)(절을 하지않는)방향이 있다, 요즈음은 거의 살아졌지만 참고로 조견표를 기재한다,

 

@ 영좌(靈座)를 설치(設置)하지 않는 방위(方位)

㉮ 삼살방(三殺方) 조견표(早見表)

申(원숭이)년 ,子(쥐)년, 辰(용)년은= 사(뱀)일, 오(말)일, 미(양)일은 남(南)쪽

巳(뱀)해, 酉(닭)해, 丑(소)해는= 寅(범날), 卯(토끼날), 辰(용날)은 동(東)쪽

寅(범해), 午(말해). 戌(개해)는= 亥(되지날), 子(쥐날), 축(소날)은 북(北)쪽

亥(되지해),卯(토끼해),미(양해)는= 申(원숭이날),酉(닭날),戌(개날)은 서(西)쪽

※ 여기의 해당 대는 쪽만 피하면 된다, 그 외에는 아무 대나 좋다

 

㉯ 양인방(羊刃方) 조견표 칼날인(刃)자라 살(殺)이 있다는 것이다,

천간(天干) 꺼리는 방 방향 천간(天干) 꺼리는 방 방향

갑년(甲年)이면 묘방(卯方) 남(南)쪽 을년(乙年)이면 진방(辰方) 동(東)쪽

병년(丙年)이면 오방(午方) 북(北)쪽 정년(丁年)이면 미방(未方) 서(西)쪽

무년(戊年)이면 오방(午方) 북(北)쪽 기년(己年)이면 미방(未方) 남(南)쪽

경년(庚年)이면 유방(酉方) 서(西)쪽 신년(辛年)이면 술방(戌方) 북(北)쪽

임년(壬年)이면 자방(子方) 북(北)쪽 술년(戌年)이면 축방(丑方) 북(北)쪽

※ 대한민력(大韓民曆)에 의거 하였으나 택일대요(擇日大要)에는 간(艮),

손(巽),곤(坤),건(乾)으로 기록되어 있음

 

⑥ 입관(入官) 하관(下官) 파묘(破墓)할 때 피하는 법()

옛날에는 초상이 나면 상가 집에 가는 것을 꺼리어한다 정충살(正冲殺), 순충살(旬冲殺), 호충살(呼冲殺), 주상압살(主喪壓殺)등 때문이다, 그래서 어는 집에서는 오는 손님들이 무사하도록 하기 위해 중복살풀이(상이 거듭 난다는 뜻)라 하여 장님 집에서는 경(經)을 읽고 또는 무당집에서는 신께 빌면서 장사가 끝날 때까지 중복살풀이(살 풀이)를 하는데 경비가 만만치가 않다, 또한 예방 차원에서 게장을 조금 마시고 게발을 몸에 지니고 가서 다녀와서는 버리는 풍습(風習)도 있다, 요즈음 별 문제를 삼지 안치만 일부 개층에서는 꺼리는 분이 있어 참고로 조견표를 작성하니 참고하시기 바람

 

@ 아래에 해당하는 사람은 시신(屍身)을 광중(壙中)에 안치(安置)하는 순간을 보지 않아야 한다, (3분 정도만 피하면 된다,)

 

㉮ 정충살(正冲殺)

일간(日干)과 일지(日支)와 충(冲)하는 사람 가령 갑자일이면 갑오생, 을축일이면 을미생 무인일이면 무신생이 잠간 피(避)한다,

 

 

정충살(正冲殺 조견표(早見表)

장사

피하는

장사 일

피하는 생

장사 일

피하는 생

장사 일

피하는 생

갑자(甲子)

갑오(生)

기묘(己卯)

기유 (生)

갑오(甲午)

갑자 (生)

기유(己酉)

기묘 (生)

을축(乙丑)

을미 생

경진(庚辰)

경술 생

을미(乙未)

을축 생

경술(庚戌)

경진 생

병인(丙寅)

병신 생

신사(辛巳)

신해 생

병신(丙申)

병인 생

신해(辛亥)

신사 생

정묘(丁卯)

정유 생

임오(壬午)

임자 생

정유(丁酉)

정묘 생

임자(壬子)

임오 생

무진(戊辰)

무술 생

계미(癸未)

계축 생

무술(戊戌)

무진 생

계축(癸丑)

계미 생

기사(己巳)

기해 생

갑신(甲申)

갑인 생

기해(己亥)

기사 생

갑인(甲寅)

갑신 생

경오(庚午)

경자 생

을유(乙酉)

을묘 생

경자(庚子)

경오 생

을묘(乙卯)

을유 생

신미(辛未)

신축 생

병술(丙戌)

변진 생

신축(辛丑)

신미 생

병진(丙辰)

병술 생

임신(壬申)

임인 생

정해(丁亥)

정사 생

임인(壬寅)

임신 생

정사(丁巳)

정해 생

계유(癸酉)

계묘 생

무자(戊子)

무오 생

계묘(癸卯)

계유 생

무오(戊午)

무자 생

갑술(甲戌)

갑진 생

기축(己丑)

기미 생

갑진(甲辰)

갑술 생

기미(己未)

기축 생

을해(乙亥)

을사 생

경인(庚寅)

경신 생

을사(乙巳)

을해 생

경신(庚申)

경인 생

병자(丙子)

벙오 생

신묘(辛卯)

신유 생

병오(丙午)

병자 생

신유(辛酉)

신묘 생

정축(丁丑)

정미 생

임진(壬辰)

임술 생

정미(丁未)

정축 생

임술(壬戌)

임진 생

무인(戊寅)

무신 생

계사(癸巳)

계해 생

무신(戊申)

무인 생

계해(癸亥)

계사 생

 

㉯ 순충살(旬冲殺)

장일(葬日)과 동순중(同旬中)에 해당 생년(生年)과 일지(日支)가 충(冲)하는 사람(가령 갑자일이면 경오생, 병자일이면 임오생.) 간단한 법(法)은 장일부터 육십갑자 순행으로 7번째가 순충살이 되니 잠시만 피하면 된다,

 

순충살(旬冲殺) 조견표(早見表)

장사일

순충해당생

장사일

순충해당생

장사일

순충해당생

장사일

순충해당생

갑자(甲子)

경오 생

기묘(己卯)

을유 생

갑오(甲午)

경자 생

기유(己酉)

을묘 생

을축(乙丑)

신미 생

경진(庚辰)

병술 생

을미(乙未)

신축 생

경술(庚戌)

병진 생

병인(丙寅)

임신 생

신사(辛巳)

정해 생

병신(丙申)

임인 생

신해(辛亥)

정사 생

정묘(丁卯)

계유 생

임오(壬午)

무자 생

정유(丁酉)

계묘 생

임자(壬子)

무오 생

무진(戊辰)

갑술 생

계미(癸未)

기축 생

무술(戊戌)

갑진 생

계축(癸丑)

기미 생

기사(己巳)

을해 생

갑신(甲申)

경인 생

기해(己亥)

을사 생

갑인(甲寅)

경신 생

경오(庚午)

병자 생

을유(乙酉)

신묘 생

경자(庚子)

병오 생

을묘(乙卯)

신유 생

신미(辛未)

정축 생

병술(丙戌)

임진 생

신축(辛丑)

정미 생

병진(丙辰)

임술 생

임신(壬申)

무인 생

정해(丁亥)

계사 생

임인(壬寅)

무신 생

정사(丁巳)

계해 생

계유(癸酉)

기묘 생

무자(戊子)

갑오 생

계묘(癸卯)

기유 생

무오(戊午)

갑자 생

갑술(甲戌)

경진 생

기축(己丑)

을미 생

갑진(甲辰)

경술 생

기미(己未)

을축 생

을해(乙亥)

신사 생

경인(庚寅)

병신 생

을사(乙巳)

신해 생

경신(庚申)

병인 생

병자(丙子)

임오 생

신묘(辛卯)

정유 생

병오(丙午)

임자 생

신유(辛酉)

정묘 생

정축(丁丑)

계미 생

임진(壬辰)

무술 생

정미(丁未)

계축 생

임술(壬戌)

무진 생

무인(戊寅)

갑신 생

계사(癸巳)

기해 생

무신(戊申)

갑인 생

계해(癸亥)

기사 생

 

㉰주상압견법(主喪壓見法) (태세압본명 太歲壓本命) 일명 호충살(呼冲殺)

행사년(行事年) 태세(太歲)을 중궁(中宮)에 넣고 육십갑자로 구궁(九宮)을 순행(順行)하여 중궁에 드는 사람이 주상압살이다, (:예,, 중궁이 행사일이 갑자년이며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가 중궁이 되무로 계유생이 주상압살이다, 장종손(長宗孫) 주상(主喪)이 압살을 만나면 이장일 경우 당년(當年)에 행사하지 못한다, 단(但) 주상이 서인(庶人)인 경우면 압살 해당자만 불참하면 무관하다,

 

@ 구궁(九宮) 순행도(順行圖)

건(乾)=(서북)                                  감(坎)=(북)                           간(艮)=(동북)

신미                                                임신                                    ↙ 계유

경오 ↑                                       갑술생이 호충살이다 

 태(兌)=(서)                           중궁(中宮) 장사년이 을축↘               진(震)=(동)

↑                                                                                          ↘      󰀣 병인↘ 

기사                                                     ← 무진                                       ← 정묘

곤(坤)=(서남)                                       리(離)=(남)                             손(巽)=(동남)

 

가령 장사년이 갑자년이라면 갑자생, 계유생, 임오생, 신묘생, 경자생, 기유생, 무오생들이 호충살의 해당 되무로 하관할 때 잠시 피(避)해야 한다

 

호충살(呼冲殺) 조견표(早見表) ( 1 )

장사년

태세년

太歲年

태세년

太歲年

태세년

太歲年

태세년

갑자년

갑자생

계유생

임오생

신묘생

경자생

기유생

무오생

을축년

을축생

갑술생

계미생

임진생

신축생

경술생

기미생

병인년

병인생

을해생

갑신생

계사생

임인생

신해생

경신생

정묘년

정묘생

병자생

을유생

갑오생

계묘생

임자생

신유생

무진년

무진생

정축생

병술생

을미생

갑진생

계축생

임술생

기사년

기사생

무인생

정해생

병신생

을사생

갑인생

계해생

경오년

경오생

기묘생

무자생

정유생

병오생

을묘생

갑자생

신미년

신미생

경진생

기축생

무술생

정미생

병진생

을축생

임신년

임신생

신사생

경인생

기해생

무신생

정사생

병인생

계유년

계유생

임오생

신묘생

경자생

기유생

무오생

정묘생

갑술년

갑술생

계미생

임진생

신축생

경술생

기미생

무진생

을해년

을해생

갑신생

계사생

임인생

신해생

경신생

기사생

병자년

병자생

을유생

갑오생

계묘생

임자생

신유생

경오생

정축년

정축생

병술생

을미생

갑진생

계축생

임술생

신미생

무인년

무인생

정해생

병신생

을사생

갑인생

계해생

임신생

기묘년

기묘생

무자생

정유생

병오생

을묘생

갑자생

계유생

경진년

경진생

기축생

무술생

정미생

병진생

을축생

갑술생

신사년

신사생

경인생

기해생

무신생

정사생

병인생

을해생

임오년

임오생

신묘생

경자생

기유생

무오생

정묘생

병자생

계미년

계미생

임진생

신축생

경술생

기미생

무진생

정축생

갑신년

갑신생

계사생

임인생

신해생

경신생

기사생

무인생

을유년

을유생

갑오생

계묘생

임자생

신유생

경오생

기묘생

병술년

병술생

을미생

갑진생

계축생

임술생

신미생

경진생

정해년

정해생

병신생

을사생

갑인생

계해생

임신생

신사생

무자년

무자생

정유생

병오생

을묘생

갑자생

계유생

임오생

기축년

기축생

무술생

정미생

병진생

을축생

갑술생

계미생

경인년

경인생

기해생

무신생

정사생

병인생

을해생

갑신생

신묘년

신묘생

경자생

기유생

무오생

정묘생

병자생

을유생

임진년

임진생

신축생

경술생

기미생

무진생

정축생

병술생

계사년

계사생

임인생

신해생

경신생

기사생

무인생

정해생

 

 

가령 장사년이 갑오년이라면 갑오생. 계묘생. 임자생, 신유생, 경오생,

기묘생, 무자생들이 호충살이 되무로 하관 할 때 잠시 피하면 된다,

 

호충살(呼冲殺) 조견표(早見表) ( 2 )

장사년

太歲年

태세년

太歲年

태세년

太歲年

태세년

太歲年

갑오년

갑오생

계묘생

임자생

신유생

경오생

기묘생

무자생

을미년

을미생

갑진생

계축생

임술생

신미생

경진생

기축생

병신년

병신생

을사생

갑인생

계해생

임신생

신사생

경인생

정유년

정유생

병오생

을묘생

갑자생

계유생

임오생

신묘생

무술년

무술생

정미생

병진생

을축생

갑술생

계미생

임진생

기해년

기해생

무신생

정사생

병인생

을해생

갑신생

계사생

경자년

경자생

기유생

무오생

정묘생

병자생

을유생

갑오생

신축년

신축생

경술생

기미생

무진생

정축생

병술생

을미생

임인년

임인생

신해생

경신생

기사생

무인생

정해생

병신생

계묘년

계묘생

임자생

신유생

경오생

기묘생

무자생

정유생

갑진년

갑진생

계축생

임술생

신미생

경진생

기축생

무술생

을사년

을사생

갑인생

계해생

임신생

신사생

경인생

기해생

병오년

병오생

을묘생

갑자생

계유생

임오생

신묘생

경자생

정미년

정미생

병진생

을축생

갑술생

계미생

임진생

신축생

무신년

무신생

정사생

병인생

을해생

갑신생

계사생

임인생

기유년

기유생

무오생

정묘생

병자생

을유생

갑오생

계묘생

경술년

경술생

기미생

무진생

정축생

병술생

을미생

갑진생

신해년

신해생

경신생

기사생

무인생

정해생

병신생

을사생

임자년

임자생

신유생

경오생

기묘생

무자생

정유생

병오생

계축년

계축생

임술생

신미생

경진생

기축생

무술생

정미생

갑인년

갑인생

계해생

임신생

신사생

경인생

기해생

무신생

을묘년

을묘생

갑자생

계유생

임오생

신묘생

경자생

기유생

병진년

병진생

을축생

갑술생

계미생

임진생

신축생

경술생

정사년

정사생

병인생

을해생

갑신생

계사생

임인생

신해생

무오년

무오생

정묘생

병자생

을유생

갑오생

계묘생

임자생

기미년

기미생

무진생

정축생

병술생

을미생

갑진생

계축생

경신년

경신생

기사생

무인생

정해생

병신생

을사생

갑인생

신유년

신유생

경오생

기묘생

무자생

정유생

병오생

을묘생

임술년

임술생

신미생

경진생

기축생

무술생

정미생

병진생

계해년

계해생

임신생

신사생

경인생

기해생

무신생

정사생

 

※ 장일에 꺼리는 날, @ 입관 길시, @ 하관 길시, @ 상여나 영구차를 대기 시킬 때 꺼리는 방향 @ 제주 불복방, @ 입관 하관 파묘 할 때 피하는 법을 대한민력(大韓民曆)의 의거 하여 조견표로 작성(作成)하였음

출처 : 대한장례지도사협회
글쓴이 : 차칸남자 원글보기
메모 : 대한장례지도사협회에서 스크랩 함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제반대살론  (0) 2009.01.29
[스크랩] 하괘 산출법  (0) 2009.01.27
[스크랩] 택일법  (0) 2009.01.02
[스크랩] 자백 택일법  (0) 2008.12.29
[스크랩] 八十八 向  (0) 2008.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