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스크랩] 택일법

십장생1 2009. 1. 2. 21:30

택 일 법 해 설

택일(擇日)이란 가정사(家政事) 등을 행함에 있어 가주(家主)나 택일 당사자(當事者)를 기준으로 사주(四柱)에 좋은 날을 가리고 택일의 기본인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이나 황흑도일(黃黑道日)이 길일(吉日)에 해당하는 날을 택해서 집안의 대소사(大小事)를 치르는 것을 말하는데 이와같은 택일법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결혼택일(結婚擇日)과 이사택일(移徙擇日)이 있으나 그 외에도 신랑이 신부에게 함(函)을 보낼때 택일하는 납징정친택일(納徵定親擇日), 산소를 옮길 때 택일하는 이장택일(移葬擇日), 약혼택일(約婚擇日), 먼 길을 떠날 때 택일하는 출행택일(出行擇日), 가주(家主)의 승진(昇進)이나 자녀의 합격(合格)을 기원하기 위하여 입산(入山)하는 입산택일(入山擇日) 등을 비롯하여 무수히 많으나 대표적인 택일(擇日)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I.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

택일하고자 하는 사람의 성별과 나이(전통나이)에 따라 복있는 날과 없는 날이 일진에 따라 다르므로 혼사, 이사, 개업 등과 같이 중요 행사일을 택일할 때 복많은 날(복있는 날) 중에서 고르면 무난합니다. 택일에 있어 생기복덕일은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다른 방법에 의하여 혼사 등과 같은 날을 골랐어도 생기복덕일에 복많은 날(吉日) 또는 복있는 날(平日)에 해당되지 않으면 좋은 택일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1. 남자의 생기복덕일

양력 1980년 05월 25일(11:10:00) 출생한 남자의 2007년 9월 9일(丙午日)의 생기복덕일을 구해보면 출생자의 2007년 9월 9일 현재 사주 나이(전통 나이)는 28세이므로 생기복덕일 조견표(남자)에서 남자 나이 28(세)를 찾은 후 당일의 일진이 [丙午]이므로 [午]가 있는 칸의 위로 올라가면 절체일(絶體日)을 만나게 되므로 평일(平日)임을 알 수 있습니다. 

생기복덕일 조견표(남자)

길(吉) : 복많은 날,   평(平) : 복있는 날흉(凶) : 복없는 날

 

구 분

나이(남자)

생기

(生氣)

천의

(天宜)

절체

(絶體)

유혼

(遊魂)

화해

(禍害)

복덕

(福德)

절명

(絶命)

귀혼

(歸魂)

2

10

18

26

34

42

50

58

66

74

82

戌·亥

丑·寅

辰·巳

未·申

3

11

19

27

35

43

51

59

67

75

83

未·申

辰·巳

丑·寅

戌·亥

4

12

20

28

36

44

52

60

68

76

84

辰·巳

丑·寅

戌·亥

未·申

5

13

21

29

37

45

53

61

69

77

85

未·申

戌·亥

辰·巳

丑·寅

6

14

22

30

38

46

54

62

70

78

86

戌·亥

辰·巳

丑·寅

未·申

7

15

23

31

39

47

55

63

71

79

87

未·申

戌·亥

丑·寅

辰·巳

8

16

24

32

40

48

56

64

72

80

88

未·申

丑·寅

辰·巳

戌·亥

9

17

25

33

41

49

57

65

73

81

89

丑·寅

辰·巳

戌·亥

未·申

 

2. 여자의 생기복덕일

양력 1980년 05월 25일(11:10:00) 출생한 여자의 2007년 9월 9일(丙午日)의 생기복덕일을 구해보면 출생자의 2007년 9월 9일 현재 사주 나이(전통 나이)는 28세이므로 생기복덕일 조견표(여자)에서 여자 나이 28(세)를 찾은 후 당일의 일진(日辰)이 [丙午]이므로 [午]가 있는 칸의 위로 올라가면 귀혼일(歸魂日)을 만나게 되므로 흉일(凶日)임을 알 수 있습니다.

생기복덕일 조견표(여자)

길(吉) : 복많은 날,   평(平) : 복있는 날흉(凶) : 복없는 날

 

구 분

나이(여자)

생기

(生氣)

천의

(天宜)

절체

(絶體)

유혼

(遊魂)

화해

(禍害)

복덕

(福德)

절명

(絶命)

귀혼

(歸魂)

10

18

26

34

42

50

58

66

74

82

90

戌·亥

丑·寅

辰·巳

未·申

9

17

25

33

41

49

57

65

73

81

89

未·申

辰·巳

丑·寅

戌·亥

8

16

24

32

40

48

56

64

72

80

88

辰·巳

丑·寅

戌·亥

未·申

 

15

23

31

39

47

55

63

71

79

87

未·申

戌·亥

辰·巳

丑·寅

7

14

22

30

38

46

54

62

70

78

86

戌·亥

辰·巳

丑·寅

未·申

6

13

21

29

37

45

53

61

69

77

85

未·申

戌·亥

丑·寅

辰·巳

5

12

20

28

36

44

52

60

68

76

84

未·申

丑·寅

辰·巳

戌·亥

4

11

19

27

35

43

51

59

67

75

83

丑·寅

辰·巳

戌·亥

未·申

 


3. 생기복덕일 활용 방법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같은날 같은시에 출생했어도 남자와 여자의 생기복덕일은 같은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다르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사택일 등과 같이 택일 대상자가 가주(家主)와 같이 단독적일 경우는 가주(家主)의 성별에 따라 생기복덕일이 길일(吉日)에 해당하는 생기일·천의일·복덕일 중에서 택일하면 될 것이나, 결혼택일이나 약혼택일과 같이 대상자가 신랑과 신부로 쌍을 이루고 있을 경우는 당사자를 기준으로 각각 생기복덕일을 구해서 양쪽 모두 길일(吉日)에 해당하는 생기일·천의일·복덕일 중에서 택일하면 되는데 부득이한 경우는 평일(平日)인 절체일·유혼일 중에서 택일하면 됩니다.

그러나 생기복덕일이 길일(吉日)에 해당하는 생기일·천의일·복덕일이라해도 황흑도일(黃黑道日)이 흑도일(黑道日)에 해당하거나 결혼택일 등을 할 때는 결혼에 피해야하는 날인 혼인총기일(婚姻總忌日)이나 살부대기월(殺夫大忌月) 등도 가려내고 결혼에 좋은날을 골라서 택일을 해야 하므로 다소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비로소 좋은 날을 찾을 수 있습니다.

 

II. 황흑도일(黃黑道日)

결혼택일(結婚擇日)이나 이사택일(移徙擇日), 입산택일(入山擇日) 등과 같은 각종 택일을 할 때 공통으로 적용되는 택일법 중 생기복덕일과 쌍벽을 이루는 황흑도일(黃黑道日) 택일법은 당사자의 사주는 고려하지 않고 월별로 길일(吉日)에 해당하는 황도일(黃道日)을 찾아서 생기복덕일의 길일(吉日)과 겹치는 날을 택일하면 됩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1월~12월까지 월을 적용할 때 양력이나 음력 월이 아닌 절기력에 의한 월건(月建)을 적용해야하는 것입니다. 즉, 1월에 해당하는 날은 입춘절입일부터 경칩절입일 전날까지이므로 2007년도의 1월은 입춘절입일이 2월 4일(양력)이며, 경칩절입일은 3월 6일(양력)이므로 2007년 2월 4일 ~ 2007년 3월 5일 사이를 1월인 임인월(壬寅月)로 보고 산출해야 정확한 택일을 할 수 있습니다. 항간에는 이를 무시하고 쉬운방법으로 음력달을 기준으로 황흑도일(黃黑道日)을 찾는 경향이 있는데 월건(月建)이 바뀌는 경계(매월 양력 4일~ 8일 사이)에서 택일을 할 경우 자칫 잘못된 택일을 하게 됩니다. 

황흑도일(黃黑道日) 조견표

길(吉) : 좋은 날(황도),    흉(凶) : 나쁜 날(흑도)

월(月)

일(日)

01월(寅月) 07월(申月)

 

寅日,申日

02월(卯月) 08월(酉月)

 

卯日,酉日

03월(辰月) 09월(戌月)

 

辰日,戌日

04월(巳月) 10월(亥月)

 

巳日,亥日

05월(午月) 11월(子月)

 

午日,子日

06월(未月) 12월(丑月)

 

未日,丑日

구 분

길흉

청룡황도(靑龍黃道)

금귀황도(金撌黃道)

명당황도(明堂黃道)

천덕황도(天德黃道)

천형흑도(天刑黑道)

주작흑도(朱雀黑道)

백호흑도(白虎黑道)

옥당황도(玉堂黃道)

천뇌흑도(天牢黑道)

현무흑도(玄武黑道)

사명황도(司命黃道)

구진흑도(句陳黑道)


1. 황흑도일(黃黑道日) 날짜 찾기

양력 2007년 9월 9일을 만세력에서 찾아보면 월건(月建)은 기유월(己酉月)이고 일진(日辰)은 병오일(丙午日)이므로 황흑도일(黃黑道日) 조견표에서 08월(酉月)을 찾은 후 밑으로 내려가면서 [午]가 있는 줄의 황흑도일(黃黑道日)을 보면 금귀황도(金撌黃道)로서 길일(吉日)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양력 2007년 9월 7일을 만세력에서 찾아보면 2007년도 백로(白露)의 절입일이 9월 8일이므로 월건(月建)은 기유월(己酉月)이 아닌 무신월(戊申月)이되며 일진(日辰)은 갑진일(甲辰日)이므로 황흑도일(黃黑道日) 조견표에서 07월(申月)을 찾은 후 밑으로 내려가면서 [辰]을 찾으면 금귀황도(金撌黃道)로서 역시 길일(吉日)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와같은 경우에 월건(月建)을 기준으로 찾지 않고 음력월을 기준으로 찾게 되면 양력 2007년 9월 7일과 9일은 각각 음력 2007년 7월 26일과 28일로서 07월(申月) 줄에서 [辰]과 [午]를 찾으면 양력 2007년 9월 7일은 금귀황도(金撌黃道)로서 같으나 양력 2007년 9월 9일은 백호흑도(白虎黑道)로서 흉일(凶日)로 판단하게 되는 오류를 범하게 됩니다. 이와같이 길일(吉日)을 흉일(凶日)로 판단하게 되면 좋은 날임에도 불구하고 택일에서 제외하는 정도이므로 그나마 다행이겠으나 만약 흉일(凶日)을 길일(吉日)로 잘못 판단하게되면 중요한 결혼택일 등을 할 때 가장 나쁜날을 잡아놓고 좋아하는 우를 범하게 될 것이므로 각별히 유념해야 합니다.

 

2. 황흑도일(黃黑道日) 시간 찾기

황흑도일(黃黑道日) 조견표에서 좋은 시간을 찾는 것은 우선 황흑도일(黃黑道日)에서 길일(吉日)에 해당하는 황도일(黃道日)을 찾은 후 해당일 중에서 좋은 시간을 맞춰주면 됩니다. 따라서 황흑도일(黃黑道日)에서 흉일(凶日)에 해당하는 흑도일(黑道日)은 좋은 시간이 나올 수가 없습니다.

앞서 찾은 양력 2007년 9월 7일은 황도일(黃道日)로서 길일(吉日)에 해당하므로 당일의 좋은 시간을 찾으려면 9월 7일의 일진(日辰)은 갑진일(甲辰日)이므로 황흑도일(黃黑道日) 조견표에서 [辰日]을 찾은 후 밑으로 내려가면서 吉時(좋은 시간)를 찾아보면 [辰, 申, 巳, 酉, 亥, 寅]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각각 寅時(03:30~05:30), 時(07:30~09:30), 巳時(09:30~11:30), 申時(15:30~:17:30), 酉時(17:30~19:30), 亥時(21:30~23:30)가 되므로 길일(吉日) 중에서도 가능한 吉時(좋은 시간)에 일을 시작하면 좋습니다.

같은 이치로 양력 2007년 9월 9일의 일진(日辰)은 병오일(丙午日)이므로 황흑도일(黃黑道日) 조견표에서 [午日]을 찾은 후 밑으로 내려가면서 吉時(좋은 시간)를 찾아보면 [申, 子, 酉, 丑, 卯, 午]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각각 子時(23:30~01:30), 丑時(01:30~03:30), 卯時(05:30~07:30), 午時(11:30~13:30), 時(15:30~:17:30), 酉時(17:30~19:30)가 되므로 길일(吉日) 중에서도 가능한 吉時(좋은 시간)에 일을 시작하면 좋습니다.(이상 표준시 기준시각입니다.)

 

III. 음력 날짜에 따른 택일법

 

1. 태백살방(太白殺方) - 손없는 날

일반적으로 이삿날을 택일할 때 간단한 방법으로 소위 손없는 날을 찾아서 이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와같은 이사 택일법은 사주역학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음력 날짜가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에 해당하는 날은 손 없는 날이라하여 이사하기 좋은 날로 알고 이사택일을 하는 경향이 있는데 손없는 날은 태백살방(太白殺方)이라하여 비교적 가까운 거리(100보 이내)를 이동할 때 적용하던 방법인데 이삿날 택일에 확대 적용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아래의 태백살방(太白殺方)에서 동방(東方)에 해당하는 날짜(음력)는 악귀(惡鬼)가 동쪽에서 활동하므로 동쪽 방향으로 출행을 삼가하라는 뜻이고 다른 방향도 같은 이치입니다. 그러나 상천(上天)에 해당하는 날은 악귀(惡鬼)가 하늘로 올라가 쉬는 날이므로 이른바, 손없는 날이라 하여 출행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날입니다.

동방(東方) : 1일, 2일, 11일, 12일, 21일, 22일

남방(南方) : 3일, 4일, 13일, 14일, 23일, 24일

서방(西方) : 5일, 6일, 15일, 16일, 25일, 26일

북방(北方) : 7일, 8일, 17일, 18일, 27일, 28일

상천(上天) :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


2. 윤달 택일

음력(태음력)은 달의 공전 주기(약 29.5일)를 기준으로 만든 것인데 이를 그대로 적용하면 양력(태양력)과 상당한 오차가 발생하므로 양력과 맞추기 위하여 19년에 7개월의 윤달을 두므로 대략 3년 주기로 윤달을 삽입하는데 이와같은 윤달은 묵은달 또는 썩은달이라 하여 평소에 미뤄뒀던 이장택일(移葬擇日)이나 가택수리, 파옥(破屋), 벌목(伐木) 등과 같은 궂은일을 처리하는 관습은 있으나 사주역학적인 택일과는 무관합니다.

 

3. 쌍춘년(雙春年) 택일

음력 1월 1일부터 음력 12월 말일(29일 또는 30일) 사이에 입춘(立春)이 두 번 들어 있는 해는 쌍춘년(雙春年)이라하여 그 해에 결혼하면 좋다는 속설이 있는데 이것 역시 사주역학적인 택일과는 무관하며 윤달이 들어있는 해는 쌍춘년(雙春年)에 해당하므로 통상적으로 3년 정도의 주기로 쌍춘년(雙春年)은 발생하며 쌍춘년(雙春年)이 있는 다음해는 입춘(立春)이 없는 무춘년(無春年)이 돌아올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무춘년(無春年)에 결혼하면 나쁘다는 논리도 있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즉, 쌍춘년(雙春年)이나 무춘년(無春年)이나 결혼택일을 하는데는 하등 관련이 없는 것이지만 쌍춘년(雙春年)에 일부러 결혼하는 것 자체는 나무랄데 없으나 이 경우도 사주학적인 길일(吉日)을 택일해야 합니다.

 

IV. 택일 프로그램 활용

위와같은 생기복덕일과 황흑도일을 적용하여 모두 길일에 해당하는 날을 수작업으로 찾는다는 것은 일반인은 물론 역술 전문가도 자칫 오류를 범하게 될 소지가 다분히 있습니다. 따라서 위 택일법 설명은 택일의 원리를 이해하는 정도로만 알아두시고 실제로 택일을 할 때는 법로역학연구회에서 일반인이나 역술 전문가들이 각종 택일을 할 때 편리하게 찾아 볼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사주달력을 개발하여 무료로 개방하였으니 유용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결혼택일이나 이사택일 등은 해당 택일에 필요한 혼인총기일(婚姻總忌日)이나 살부대기월(殺夫大忌月)을 비롯하여 이별이 있다는 고과살(孤寡殺), 서로 배우자를 잃을 수도 있다는 상부상처살(喪夫喪妻殺), 이사에 좋은날과 나쁜 날에 해당하는 이사길흉일(移徙吉凶日) 등을 찾아서 해당 택일에서 제외하는 것은 기본이고, 축불관대(丑不冠帶)나 해불가취(亥不嫁娶)와 같이 일진(日辰)의 지지(地支)가 축(丑) 또는 해(亥)인 날은 약혼식이나 혼례식을 올리지 않는다는 백기일(百忌日) 등도 택일에서 제외하였으나 예외적으로 천은상길일(天恩上吉日)에 해당하는 을축일(乙丑日) · 계축일(癸丑日), 대명상길일(大明上吉日)에 해당하는 정축일(丁丑日) · 정해일(丁亥日) · 신해일(辛亥日) 등은 포함시켰습니다.

그러나 예로부터 내려오는 혼인택일법은 흉일(凶日)의 종류가 너무 많아 이를 모두 적용하면 현대사회에서 실제로 결혼할 수 있는 날은 별로 없습니다. 따라서 현대사회에 적용하기 어려운 일부 택일법은 적용하지않고 대표적으로 흉일(凶日)에 속하는 날을 가려내고 택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비로 제공하고 있으니 선택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내마음의 불공
글쓴이 : 법타法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