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案山)
안산(案山)에 유천(流泉)이 불식(不息)하니 자손뇨루(子孫尿淚)
이 아니며 안산(案山)이 분잡(紛雜)하니 박처자손(薄妻子孫)나는구나
안산(案山)이 의사(倚斜)하니 할기 눈이 절로 난다
넘어오는 급(急)한 길은 적환(賊患)을 어이하리
자방세로(子方細路) 실물(失物)하고, 주산횡로(主山橫路)
불길(不吉)이라
가는 산(去山) 가는 물(去水)은 가는(去) 사각(砂脚) 어긋나서
사오방(巳午方)으로 들어오니 광풍사렴(狂風巳簾)무수(無數)하다
인간맥칙(寅艮脈則) 역발(易發) 하고 을진사각칙(乙辰砂角則)
원패(遠敗)로다
헌화사(獻花砂)가 안(案)이 되면 풍류여자(風流女子)나는구나
헌군사( 裙砂)가 안(案)이 되면 곡음양(曲陰陽)이 망가(亡家) 한다
호로사(葫蘆砂)가 안(案)이 되면 자손약낭(子孫藥囊)차는구나
첩지사(疊指砂)가 안(案)이 되면 육지자손(六指子孫) 나는구나
단두사(斷頭砂)가 안(案)이 되면 참두(斬頭)를 당하는구나
발검사(拔劍砂)가 안(案)이 되면 남의 칼에 맞아죽고
걸표사(乞飄砂)가 안(案)이 되면 걸식(乞食)하로 나가는 구나
로적사(露積砂)가 안(案)이 되면 풍성요척(風聲夭慽) 이 아닌가
타태사(墮胎砂)가 병쌍(幷雙)되면 옥낭(玉囊)이가 나는구나
혈전여요(穴前餘曜)장대(長大)하면 대대각기(代代脚氣) 나는구나
수구(水口)에 선교사(仙橋砂)는 대대술사(代代術士)나는구나
천평안(天平案)에 삼공(三公)이요 봉필안(鳳筆案)이 한림(翰林)이라
삼태춘순(三台春筍) 안(案)이 되면 공경대부(公卿大夫) 나는구나
단조사(丹詔砂)가 안(案)이 되면 가칭황제(假稱皇帝) 날것이요
태봉(兌峰)이 고수(高秀)하니 빈계사신(牝鷄伺晨) 흠(欠)이로다
탁기하(卓旗下)에 대장(大將)이요 문필하(文筆下)에 문사(文士)로다
보검협(寶劍峽)에 어사(御史) 있고 와우협(臥牛峽)에 거부(巨富)로다
옥규사(玉圭砂)가 안(案)이 되면 백의정승(白衣政丞) 나는구나
고축사(誥軸砂)가 안(案)이 되면 나무꾼도 과거(科擧)하고
전고상(展誥上)에 화개(花開)하면 남혼공주(男婚公主) 하는구나
천마대상(天馬臺上) 귀인봉(貴人峰)은 대과급제(大科及第) 나는구나
일자문성(一字文星) 안(案)이 되면 대대문사(代代文士) 나는구나
취옹사(醉翁砂)가 재전(在前)하니 주망횡액(酒亡橫厄) 이 아닌가
권력사(拳力砂)가 재전(在前)하면 남의 손에 맞자 죽고
편편(片片)이 저습수(低濕水)는 변두풍(邊頭風)을 어이하리
좌우(左右)에 난발사(亂髮砂)는 만신풍(滿身風)을 어이할고
안산(案山)의 흰산태(白山汰)는 현순백결풍(懸 百結風)끓는 것이라
혈후(穴後)헌( )이 앙미(仰尾)되면 족질(足疾)이 나는구나
사금대(四金帶)가 안(案)이 되면 명공거경(名公巨卿)나느니라
옥대금어(玉帶金魚) 안(案)이 되면 출장입상(出將入相)하느니라
일근쌍봉(一根雙峰) 안(案)이 되면 쌍동(雙童)이가 나는구나
수구라성(水口羅星) 쌍(雙)이 되면 너도 또한 일반(一般)이라
교검사(交劍砂)가 안(案)이 되면 대대살인(代代殺人) 어찌하며
로권(爐 )이 중중(重重)하니 자손등창(子孫疼瘡) 나는구나
용호(龍虎)에 패인사(佩印砂)는 주목군현(州牧郡縣) 나는구나
용호(龍虎)에 도홀사(刀笏砂)는 대대각신(代代閣臣) 나는구나
용호(龍虎)에 패검사(佩劍砂)는 도집국병(都執國柄) 이 아닌가
용호(龍虎)가 원정(圓釘)되니 오물경인(傲物輕人) 나는구나
수구(水口)막아 일월(日月)되니 왕후 지지(王侯之地) 이 아닌가
좌우사수(左右砂水) 분합(分合)하니 금어수(金魚水)가 이 아닌가
합금(合衿)하고 가는 물은 천리(千里)를 가도 좋으니라
은병잔주(銀甁盞注) 안(案)이 되니 석숭(石崇)이가 나는구나
구곡수(九曲水)가 조당(朝堂)하니 당대재상(當代宰相) 나는구나
소계수(小溪水)는 역수(逆水)하되 대강수(大江水)는 역수(逆水)말소
반궁수(反弓水)가 안(案)이 되면 경가파산(傾家破産) 이 아닌가
수충성곽(水庶城郭)되게되면 대대출환(代代出鰥) 나는구나
안산탈주(案山 走)하였으니 환관(宦官)이 나는구나
고고사(顧孤砂)가 안(案)이 되면 미물통간(美物通奸)하는구나
폭악사(暴惡砂)가 안(案)이 되면 배암물여 죽는구나
종각사(腫脚砂)가 안(案)이 되면 수퉁다리 나는구나
용호단(龍虎短)이 혈장(穴長)하면 패군장 분주(敗軍將 奔走)로다.
◎ 광풍 결(壙風 訣)
신술풍(辛戌風)이 사협(射脇)하면 광풍백태(壙風白苔)하고
병오풍(丙午風)이 직충(直庶)하니 광풍화렴(壙風火簾)무수(無數)하다
산극야색수(山隙野色水)는 광중(壙中)에 벼 뿌리 우렁껍질 이요
곤신풍(坤申風)이 요취(凹吹)하면 광풍토렴(壙風土簾) 무수(無數)하다
과거풍(過去風)을 못 막으면 황충(蝗蟲)이가 만관(滿棺)이라
축간풍(丑艮風)이 사협(射脇)하면 광풍소골(壙風消骨)되는구나
임감풍(壬坎風)을 못 막으면 모렴목근(毛簾木根)얽혀 있다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穴에 岩이나 돌이 있을 徵兆 (0) | 2014.05.21 |
---|---|
[스크랩] 60갑자를 이용한 년도, 간지, 나이등을 쉽게 아는 방법 (0) | 2014.04.29 |
[스크랩] 옥룡자 砂格論(사를 논하는법) (0) | 2014.04.09 |
[스크랩] 구성의 년,월,일,시,구하는 법 (0) | 2014.02.23 |
[스크랩] [河洛理數] 六甲과 八卦의 관련 도표1,2 / 스크랩&편집 (0) | 2013.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