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스크랩] 황천살에 대해서

십장생1 2012. 9. 15. 04:23

 

 

明末靑初 사람으로 , 

 

玄空宗師로 불리우는   宗陽子  蔣大鴻   찬술(撰述)의   ' 天元五歌 '    양택편  첫들머리 입니다

 

 

 

人生最重是陽基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좋은 집을  선택해서  살아가는 것

 

却與墳塋福力齊   좋은 집의  복덕은 ,  선영(先塋)의  음덕 보다  더하네

 

宅氣不寧招禍咎   집의 기운이  좋지 못하면   가족들의  화를 부르고 ,

 

骨埋眞穴貴難期   명당 진혈에  선조의  뼈를 묻었지만  그 발복할 때가  어느매인고 ?

 

建國定都關治亂   나라와  도읍을 세울 때   질서를 잡는 관건이  여기에 있도다

 

築城置鎭繫安危   맥을 살펴  관공서를 짓고 , 방위를 봐서  건물을 세움에  安危가 달렸으니

 

試看田舍豊盈者   시험삼아  보라 !!   부자로 잘 사는 사람들을 ,

 

半是陽居偶合宜   대부분이  우연히도  이치에 합치하는 집을  짓고  산다는 것을 !!

 

 

 

 

 

 

사자의  집인  음택 보다도 ,    산자가  밥먹고  살아가는  양택의  풍수가  더욱  중하다고 합니다

 

음택의  발복의 시기가  언제인지  잡기 어렵지만 ,   양택의  화복(禍福)은   언제나  코앞에서 어른거린다고들 말합니다

 

가족의 소중함은  필설의 노력을 불요하지만 ,

 

구성원의  一人이라도   유고가 발생하면 ,    一家 전체가   거대한 몸살을 앓습니다

 

좋은 집을  구하는 일은   家長된 자의  于先된   임무입니다  

 

평생을  개집같은  궤짝에서  끌고 다니면서 살아볼 궁리까지 해본  소로우 같은  철학적 不汗黨도 ,  

 

사람 나이  서른이 넘으면 ,   본능적으로  살 곳을  찾게 된다고 했습니다

 

 

 

' 황천살 '   이라는 게 있습니다

 

현공풍수로  시기를 가늠해서 ,   ' 왕기 / 생기 '  가  아니라면 ,    ' 황천살 ' 을  범한 곳에  탈이 날까 우려 됩니다

 

아래의  12궁도에   ' 건곤간손 '  의    ' 사유방 '  을  표시해 놓았습니다

 

 

 

 

 

◈   坤을  옆구리에  끼고 있는 글자는  丁과 庚 인데 ,    丁向과  庚向을  놓으면  坤方이  황천살 이라

      는 것 !    巽향을  놓으면   丁방과   庚방이   황천살 입니다

 

      그래서   경정곤상시황천(庚丁坤上是黃泉) 이라 합니다

      양택촬요에는   다음과 같이  註가 달렸습니다    

       즉  ..  

       庚향을  놓으면  坤방으로  들어오는 물(來水)은  길하고 ,   坤방으로  나가는 물(去水)은  흉하다

       丁향을  놓으면   坤방으로   나가는  물(去水)이  길하고 ,   坤방으로  들어오는 물(來水)이  흉하다

       

       ★   이유는 .. 

      

       庚의  록궁이  申궁이므로 ,   坤申방으로  래수이어야  길하고 ,   거수는  관록의 기운을  앗아가 버리기 때문에  凶하다고

       합니다

      

       丁의  쌍산오행 12지지는  未궁 입니다    그래서   丁未방를  쌍산오행으로  묶어서 봅니다   

       그런데  未궁은  목고(木庫) 이므로 ,  목국(木局)으로  봐서 ,  木의  포태법 상  절지(絶地)인   坤申방으로   거수가  길하고 ,

        절지의  탁한 기운을  몰고 들어오는  래수는  흉하다고 합니다 (이하 모두 같습니다)

         

  ▶  쌍산오행  표 참조

 12지지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24방위  壬子  癸丑  艮寅  甲卯  乙辰  巽巳  丙午  丁未  坤申  庚酉  辛戌  乾亥

 

 

 

 

◈  乾을  협하고 있는  글자는  辛과 壬 입니다      辛향과  壬향을  놓으면  乾방이  황천살 이라는 것 !

     乾향을  놓으면   辛방과  壬방이  황천살 입니다

    

     그래서   신임수로파당건(辛壬水路怕當乾) 이라 합니다

      양택촬요 註

      壬향을  놓으면 ,  乾방으로  래수는  길하고 ,   乾방으로  거수는 흉하다

       辛향을  놓으면 ,   건방으로  거수가  길하고 ,   건방으로   래수는  흉하다   

 

 

 

◈  艮을  협하고 있는 글자는  甲과 癸 입니다        甲향과  癸향을  놓으면  艮방이  황천살 이라는 것 !

     艮향을   놓으면   甲방과  癸방이  황천살 입니다

 

     그래서   갑계향중우견간(甲癸向中憂見艮) 이라 합니다

     양택촬요 註

     甲향을  놓으면 ,  艮으로  래수는  길하고 ,  艮으로  거수는  흉하다 

       癸향을  놓으면 ,   艮으로  거수는 길하고 ,   艮으로  래수는  흉하다  

 

 

 

◈  巽을  협하고  있는 글자는  乙과 丙 입니다        乙향과  丙향을 놓으면  巽방이  황천살 이라는 것 !

     巽향을  놓으면   乙방과  丙방이   황천살 입니다

 

    그래서   을병수방손수선(乙丙須防巽水先) 이라 합니다

    양택촬요 註 

     丙향을  놓으면 ,   巽으로  래수는 길하고 ,  巽으로  거수는  흉하다

     乙향을 놓으면 ,    巽으로  거수는 길하고 ,   巽으로  래수는  흉하다

 

 

 

황천살에 대해서   비중있게 언급하고 있는  텍스트에는   ' 양택촬요 '  가 있다고 합니다

 

양택촬요의  황천路(황천살을 범한  길) / 황천門(황천살을 범한 문) 등을  재는  대목을  옮겨봅니다 

 

 

 

황천水를  보는 법은   몇 층 집이고를 막론하고  모두  처마의  빗물 떨어지는 곳에서  패철을 놓는다

(俱於滴水下  下盤格之)

 

 

황천門은   대청밑에서   패철을 놓는다  (於大廳下  下盤格之)

예로  ..  대청밑  처마의  낙숫물 떨어지는  곳에서  나경을 놓아   대문의  향을  재는 데 ,   가령  집의  향이  건산손향 이고 ,  

            대문이   乙辰방이라면   대문이  황천살을  범한 것입니다

 

황천路는   대문에서  패철을  놓는 데 ,  

 

예로 ..   대문의  향이  乾山巽向  이라면 ,    대문에서   길의  방위를  재어 ,

 

가령 ..   乙辰방의  길(도로)이라면   황천살을 범한  길이고 ,   巽향을 놓았는 데   乙辰방의  도로이면  황천살을 범했습니다    위의  " 乙丙須防巽水先 "  부분 참조

 

황천살을  범하면   식구 하나를 잃음을  주한다 (主絶一房)  너무 겁주는 극언을 하고 있네요

 

 

 

' 양택촬요   황천론 '   의  부분 입니다

 

坤申向   壬子向은   乾水를  꺼린다

삼합법 임을  알 수 있습니다     申子辰  삼합으로 ,   坤申향이나   壬子향을 놓으면 ,   辰 수고(水庫)로   수구를 놓아야 하지만 ,   반대방향인  乾방으로   놓이면  황천살 입니다    이하는  모두 동일합니다

 

巽巳向   庚酉向은   坤水를  꺼린다

 

艮寅向   丙午向은   巽水를  꺼린다

 

乾亥向   甲卯向은   艮水를  꺼린다     이들이  또한 황천수 이다

 

 

 

 

 

음택의  천연적  ' 물길 ' 을 ,    양택에선   인위적  ' 도로 '  로 봅니다 

 

그래서   도로가  황천살을 범했는 지를 ,   대문 앞에서  측정하게 되는 데 ,    산 속 음택의  물길과 달리 ,

 

도로는   사람이 흘러오기도 하고  흘러가기도 합니다 

 

그래서   아래 그림과 같이 ,  물을 부어봐서  흘러 내려가는  쪽이  거수이고   반대쪽은  래수 입니다 

 

 

 

 

 

 

그러나 , 

 

대충 봐서  평탄한  도로이면 ,   ' 래수 / 거수 '  따지지 않고   그냥  그 방위를  황천살로  보게 됩니다

 

가령 ..   을병수방손수선(乙丙須防巽水先) 이라 했으니 , 

 

乙향과  丙향을  놓은 집은   巽방의 도로가  황천살을  범한 것이 되는 식입니다

대문에서 ,  어깨와 몸통을  돌리지 않는 상태에서 ,  고개를 돌려  확보되는  시계 안에 들어오는  도로 만을  거론 합니다  

 

 

 

 

 

 

 

 

 

 

 

 

아래 12궁도는 ,  ' 진술축미 '   네 개의  고장지와 ,   8 개의  천간을  장생궁에  놓아 본 것입니다

 

乙의  장생궁은  午궁 ,    庚의  장생궁은  巳궁 ..  이런 식임 

 

 

 

 

 

위의 그림은 ,   음택에서   ' 용수배합법 '  을  논하기 위해  그려본  것으로 ,

 

양간(甲 丙 庚 壬)은   수(水)를 ,

 

음간(乙 辛 丁 癸)은   용(龍)을  말하게 되는 데 ,  이유는  ..  

 

용(龍) ,  즉  山은  정(靜)하기에  陰(아내)이고 ,  

 

수(水) ,  즉  산을 휘돌아 내리는  물길은   동(動)하기에   陽(남편)입니다

 

용(음)과  수(양)가 ,   이치에 합치하여  융회되어야   길지가  드러난다고 합니다

 

 

 

 

음택을  공부할 때   반드시 외우게 되는  구결이 있습니다

 

 

 을병교이추술(乙丙交而趨戌)
 신임회이취진(辛壬會而聚辰)
 두우납정경지기(斗牛納丁庚之氣)
 금양수계갑지령(金羊收癸甲之靈)

 

 

구결과  함께  아래 그림을 보게되면 ..

 

庚水와   丁龍과   丑庫는  삼합인데 ,   이는   곧  사유축 금국 입니다

 

곧 ,  두우납정경지기(斗牛納丁庚之氣)를  이르는 말로서 ,   

 

庚水 남편과  丁龍 부인이  회합하여   丑庫로  납기(納氣) 된다는  이치로 이해하게 됩니다

庚금과  丁화  공히  丑궁이  묘지(墓地)가 됩니다

 

 

 

 

 

 

 

 

 

 

 

 

아래의   12궁도 그림은 ,    ' 용(산맥) '  의  건전성  여부를  살피는  것입니다

 

먼저  전제돼야 할 것은    네 개의  국(局)을  정하는 것으로 

 

수구(水口)가 ,   당판에서 ,  몸통과  어깨를  돌리지 않고  고개를  돌려 확보되는 시계만을  인정하게 됩니다

 

축고(丑庫)로   나가면   금국이 되고 (쌍산오행으로  癸丑부터  ~  甲卯까지)

 

진고(辰庫)로   나가면   수국이 되고       (乙辰부터  ~  丙午까지)

 

미고(未庫)로   나가면   목국이 되고       (丁卯부터  ~  庚酉까지)

 

술고(戌庫)로   나가면   화국이  되됩니다 (辛戌부터  ~  壬子까지)

 

 

가령 ..   수구가   癸丑방 , 艮寅방 , 甲卯방   중에서  한 곳으로  나간다면 ,  이는  금국이  되고 ,

 

금국이 되면 ,  

 

사유축 삼합지에  장생하는   양간(庚간)과   음간(丁간)을  丑고장지로 묶어서  음양을  회융시키게 됩니다

 

' 용 '  은  정(靜)하므로  陰干을  쓴다고 했으니   丁간을  쓰는데,  

 

먼저  건강한  ' 용(산맥) '  을  찾아 써야 하므로 ,   

 

丁간의   왕지인  巽巳방이나 ,   장생지인  庚酉방에서 내려오는  산맥을  잡아 보는 게  좋겠습니다

모두   쌍산오행으로  보고 있습니다   酉궁은  丁간의  장생지이고 ,   巳궁은   왕지 입니다

 

아래의  그림에는   장생룡인  庚酉方의  산맥을  잡아 본 것입니다  

 

 

 

 

 

용은   음간을  써서  장생룡을  잡았고 ,

 

이제  ,   물을  봐야 하는 데 ,   물은   동적이니   陽干을  쓰게 된다고 했습니다

 

금국으로  판명된   구조이므로 ,    庚간을  써서   물길의  이치를  살핍니다

 

庚水는   巽巳궁에서  장생하고 ,   坤申궁에서  관록 ,   庚酉궁에서  왕지 ,    癸丑궁에  수납됩니다

 

물길은   반드시   장생지 / 건록지 / 왕지  등에서  들어오는 게  확인돼야 한고 ,  

 

나가는 곳은   고장지 /  사절지  등으로  나가야 합니다   사절지로  물이 들어오면  황천살을 범한 게 됩니다 

 

 

위의  그림에서 ,  수구는  癸丑방을  놓았고(금국) ,   음택의  向은  巽巳향(乾山巽向 / 亥山巳向)으로  정했습니다

巽巳향은   庚水의  장생방이고 ,   丁룡의  왕지방이니  꺼릴 게 없습니다

 

 

가령 ..   ' 8 운 '  에  집을 짓고  묘를 썼다면  ..

8 운은   2004 년 甲申년  ~  2023년  癸卯년  입니다

 

 1   8

  七

 5   3

  三

 3   1

  五

 2   9

  六

 9   7

 八

 7   5

  一

 6   4

  二

 4   2

  四

 8   6

 

 

 

亥坐巳向   혹은   乾坐巽向    모두   왕산왕향 '  이 되므로 ,   왕산왕향에  상당하게  배산임수의  형기를  갖췄다면 ,

 

시기(時期)까지  만전을 기한  길지가  된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출처 : 역학동
글쓴이 : 木魚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