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살방(三煞方)과 삼재(三災)란 ?
삼살방은 삼살 즉 겁살(劫煞).재살(災煞).세살(歲煞)을 통칭하여 부르는 말이다.
"겁살"은 흉살중의 흉살로서 흉하게 작용하면 비명횡액의 재앙을 부르게 되고 길하게작용하면 대부대귀하게 되는 작용이 있다.
"재살"은노상횡액.구금.송사등을 부르는 흉살이고 "세살"도 비슷한 흉작용을 지닌다.
삼살방에 해당되는 방위에 이사를 하거나 개업을 하면 흉하게 된다는 년신흉방이다.또 이방위에 건물을 짓거나 토석(土石)을 다루며 건물등을 수리하면 흉하게 된다.
삼살방은 일년에 한번씩 해당이 되는데 도표로 나타내면
"겁살"은 흉살중의 흉살로서 흉하게 작용하면 비명횡액의 재앙을 부르게 되고 길하게작용하면 대부대귀하게 되는 작용이 있다.
"재살"은노상횡액.구금.송사등을 부르는 흉살이고 "세살"도 비슷한 흉작용을 지닌다.
삼살방에 해당되는 방위에 이사를 하거나 개업을 하면 흉하게 된다는 년신흉방이다.또 이방위에 건물을 짓거나 토석(土石)을 다루며 건물등을 수리하면 흉하게 된다.
삼살방은 일년에 한번씩 해당이 되는데 도표로 나타내면
寅午戌(범.말.개의 해) 亥子丑(북) 방위
巳酉丑(뱀.닭.소의 해) 寅卯辰(동) 방위
亥卯未(돼지.토끼.양의 해) 申酉戌(서) 방위
申子辰(원숭이.쥐.용의 해) 巳午未(남) 방위
가령 98년도가 간지로는 무인년이니 지지 인은 범에 해당되므로
북방이 삼살방이되고 상세히는 亥방이 겁살이되고 子방이 재살,丑방이 세살이된다.
巳酉丑(뱀.닭.소의 해) 寅卯辰(동) 방위
亥卯未(돼지.토끼.양의 해) 申酉戌(서) 방위
申子辰(원숭이.쥐.용의 해) 巳午未(남) 방위
가령 98년도가 간지로는 무인년이니 지지 인은 범에 해당되므로
북방이 삼살방이되고 상세히는 亥방이 겁살이되고 子방이 재살,丑방이 세살이된다.
삼재(三災)란 ?
"삼재"라는 말은 가장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말이다.
년초가 되면 삼재라는 말이 가장 흔히 통용이 되며, 각종 무속인의 집앞엔 문전성시를 이룬다.
대부분 무슨일이 잘되지 않으면 삼재탓으로 하고 "삼재니깐~~"하는 식으로 돌린다.
절에선 동지에 이 삼재풀이를 하고 있다.
요즘은 거의다 이 삼재를 모르고 있는 사람은 없지않나 싶다.
삼재는 크게 본다면 "水.火.風"의 세가지로 일어나는 재난이다.
옛날에는 이세가지가 인간이 극복하기 어려웠던 재난이다.
고도의 과학문명이 지배하는 오늘날에는 어느정도 극복이 가능하지만 이 세가지는 어쩔수없이 재난을 당할 수밖에 없는 것들이다.
또 이밖에 인간에 의해 일어날수 있는 재난에는 전쟁이나,작게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생길수있는 여러가지 인재(人災)등도 있다.
이를 통틀어 삼재팔난(三災八難)이라고한다.
삼재가 들면 재산의 파재,환난.등 흉악사가 생긴다고 하여 매사에 기피하고있다.
삼재는 12년마다 한번씩들어와서 3년간 머물다간다.
포태법(12운성)상 년지(태어난년도)를 기준으로 병(病).사(死).장(葬)에 해당되는 3년간에 걸쳐 병들고 죽어서 장례지낸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삼재가 드는 첫번째해는 "입삼재(入三災)"라고 하며,둘째해를 "묵은삼재" 마지막 해를 "날삼재"라고한다.
"입삼재"는 평온하던 가정에 난데없이 우환거리가 생기고 관재수.또는가족중에 횡액이 생기는 등의 삼재가 들어오는 표시가 있다고한다.
"묵은삼재"에는 하는 일이 잘되지 않고 매사에 시비와 구설이 생기는 등의 실패와 불운이 연속된다고한다.
'날삼재"는 입삼재보다 더욱더 환난이 가중된다.
들어오는 삼재는 표시만 하지만 나가면서 그 흉도가 극에 이르러 삼재의 피해를 꼭 남긴다고한다.
따라서 예부터 산재를 예방하고 피하기위한 각종 비술들이 전해지고 오늘날에도 널리 행하여지고 있다.
반면에 삼재에도 "복삼재"와 "악삼재"가 있는데,"복삼재"는 악삼재에 해단하는 년도를 제외하고 그외의 삼재의 년도에서 자기사주의 대운과 비교하여 대운과함께 희용신의 운으로 접어들면 아주 크게 발복한다.
"악삼재"는 다음의 년도에 해당이되면 흉의 작용이 크게된다.
사맹(四孟생- 인신사해생) :범.원숭이.뱀.돼지띠생이
寅.申.巳.亥년- 범.원숭이.뱀.돼지해에 삼재를 만나는 경우
사정(四正생- 자오묘유생) : 쥐.말.토끼.닭띠생이
子.午.卯.酉년- 쥐.말.토끼.닭띠해에 삼재를 만나는 경우
사고(四庫생 - 진술축미생) : 용.개.소.양띠생이
辰戌丑未년 - 용.개.소.양띠해에 삼재를 만나는 경우
다음은 삼재에 언제 해당하는지를 도표로 나타낸다
가령 자기의 띠가 말띠에 속하면 신년(원숭이해)에 입삼재.닭해에 묵은삼재.개해에 날삼재이다.
寅.申.巳.亥년- 범.원숭이.뱀.돼지해에 삼재를 만나는 경우
사정(四正생- 자오묘유생) : 쥐.말.토끼.닭띠생이
子.午.卯.酉년- 쥐.말.토끼.닭띠해에 삼재를 만나는 경우
사고(四庫생 - 진술축미생) : 용.개.소.양띠생이
辰戌丑未년 - 용.개.소.양띠해에 삼재를 만나는 경우
다음은 삼재에 언제 해당하는지를 도표로 나타낸다
가령 자기의 띠가 말띠에 속하면 신년(원숭이해)에 입삼재.닭해에 묵은삼재.개해에 날삼재이다.
입삼재 묵은삼재 날삼재
申子辰생(원숭이.쥐.용띠생) 寅(호랑이해) 卯(토끼해) 辰(용해)
巳酉丑생(뱀.닭.소띠생) 亥(돼지해) 子(쥐해) 丑(소해)
寅午戌생(범.말.개띠생) 申(원숭이해) 酉(닭해) 戌(개해)
亥卯未생(돼지.토끼.양띠생) 巳(뱀해) 午(말해) 未(양해)
申子辰생(원숭이.쥐.용띠생) 寅(호랑이해) 卯(토끼해) 辰(용해)
巳酉丑생(뱀.닭.소띠생) 亥(돼지해) 子(쥐해) 丑(소해)
寅午戌생(범.말.개띠생) 申(원숭이해) 酉(닭해) 戌(개해)
亥卯未생(돼지.토끼.양띠생) 巳(뱀해) 午(말해) 未(양해)
출처 : 허재호 웰빙생활
글쓴이 : 허재호 웰빙생활 원글보기
메모 :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입좌법 ㅡ 망명 택좌법 (0) | 2009.02.05 |
---|---|
[스크랩] 9층 羅經(패철)의 構成 (0) | 2009.01.30 |
[스크랩] 제반대살론 (0) | 2009.01.29 |
[스크랩] 하괘 산출법 (0) | 2009.01.27 |
[스크랩] 장례 때 입관 하관 길일 시와, 정충살 호충살 피하는 조견표 (0) | 2009.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