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스크랩] 9층 羅經(패철)의 構成

십장생1 2009. 1. 30. 01:58

9층 羅經(패철)의 構成


가)  天地 理數法이 모두 1에서 시작하여 9로 끝나기 때문이다.

모든 數를 1부터 시작하여 9까지 곱하여 보면, 시작의 수 1X1=1이고, 마침의 수 9X9=81 이니 또한 9가 아니겟는가?.

나.) 羅經上의 가장 中心은 子. 北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羅經 9층 절대운용의 子. 北은 天. 人. 地로 構成 되어있다)

1). 地盤正針은 子 . 北이 360도 상에 있으며

2). 人盤中針은 子 . 北이 352도 5분 상에 있으며

3). 天盤縫針은 子 . 北이 367도 5분 상에 있는 것이 地理五訣의 正針인 것이다.

이것을 모르면 9층 이외의 패철의 子.北은 엄청난 角度로 벌어진다.


< 羅經의 一針三盤論의 根原 과 三盤 배열>


1) 지방정침(地盤正針 ㅡ 4층) 說

부침지자오(浮針之子午)라 하는데 즉 地盤正針인 子午方인 지축자오방(地軸子午方)이다.
이는 한나라 적송자(赤松子)가 주장한 것으로 이 天地에 존재하는 모든 物體는 지구 중심으로 변화하여 吉凶禍福이 발생하니 지반정침을 사용해야 한다는 學說로서, 世上 萬物은 땅에서 생존하기 때문에 땅이 제1 이라는 사상에 근거를 두고있다.(地本爲主)

2) 인반중침(人盤中針 ㅡ6층)說

막대를 세워두고 해가 뜨고 지는 그림자를 보고 일경지자오방(一景之子午方)을 설정 한 것이 人盤中針의 子午方이다.
이는 송나라 뢰문준(賴文俊)이 주장한 것으로 지상만물은 일월의 순환(日月循環說)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으므로 人間萬事의 吉凶에 적용해야 한다는 學說로 만물의 영장인 사람이 제 1 이라는 사상에 근거를 두고있다.(人本爲主).

3) 천반봉침(天盤縫針 ㅡ8층) 說

우주에 있는 삼라만상을 위주로 해야 한다는 원리로 부동인 北極星을 중심으로 성북지자오(星北之子午)방향을 설정한 것이 天盤縫針의 子午方이다.
이는 당나라 양균송(楊均松) 이 주장한 것으로 天地萬物은 우주공간에 달려있어 天星의 변화에 따라 吉凶이 발생한다는 學說이다.
고로 宇宙的 측면에서 하늘이 제1 이라는 사상에 근거를 두고있다.(天本爲主)


4) 三盤 배열

明말. 淸초에 장대홍(莊大鴻)이 이러한 說들을 一盤 위에 삼원반을 놓고 易卦를 배열하여 방원 내외괘를 주장하니 오늘날 응용되고 있는 패철상의 삼원반(지반정침.인반중침.천반봉침)이다.
이 三盤針의 子午는 각각 7.5차가 있다.

 

다) 三層 : 三合五行(五行 年運 算定法)

3층은 오행을 표시하였는데 土를 빼고 水. 火. 金. 木의 4가지를 3번 계속하여 地支 12방에 표시하여 놓았다.
다시 말하면 3층의 오행은 4층 24방위에 三合五行으로 배속되어 있다.

(內容 상으로 보면)

ㄱ. 陰宅과 洋宅에도 吉凶禍福을 보는데 老少와 長次孫을 구별하며 年調와 年月日時 등 運氣를 추산한다.

ㄴ. 五行의 해당 方位
水에 해당 방위 字는 坤申, 壬子, 乙辰ㅡ (水局)
木에 해당 방위 字는 乾亥, 甲卯, 丁未ㅡ (木局)
火에 해당 방위 字는 艮寅, 丙午, 辛戌ㅡ (火局)
金에 해당 방위 字는 巽巳, 庚酉, 癸丑ㅡ (金局)

(예) 水局을 보면 申子辰, 坤申은 生位가 되고 壬子는 旺位가 되고 乙辰은 墓位가 되어 生旺墓三合五行이 되는 것이다. 다른 局도 같은 방법을 적용한다.

ㄷ. 하락수는 水는 1. 6 이요. 火는 2 .7 이요
木은 3. 8 이요. 金은 4 .9 이다.(중앙 5 .10 土는 각방위에 해당)

(예) 申 子 辰, 1년또는 6년후(1대나 6대 후)에 발복이 생긴다는 설명이다.
寅 午 戌. 2년또는 7년후(2대나 7대 후)
亥 卯 未, 3년또는 8년후(3대나 8대 후)
巳 酉 丑, 4년또는 9년후(4대나 9대 후)


라) 四層 : 24 방위(地盤正針)

羅經의 근본은 4층에 있으니, 고유역할은 格龍(배합,불배합), 陰.陽宅(八方;八卦方)의 坐와 向, 吉凶禍福을 논하는데 핵심인 동시에 風水家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 文王의 後天八卦方位圖가 그 근본이가.

ㄱ. 24방위 음양의 配合, 不配合이 吉凶으로 나타나고, 혼합 戊己와 五行의 相生, 相克이 생기면서 千態萬狀의 만물을 탄생시켰다.

ㄴ. 24 방위 吉凶禍福 측정법
*陰陽이 서로 配合되는 것으로 雙山五行이라 하고 配合, 同宮이라고도 한다.
*변화의 주체인 陽氣運인 12天干과 생육의 역할인 陰의 氣運인 12地支가 서로 짝을 이루어 만든 배합을 正配合 12 동궁이라한다.
*산맥은 동궁 배합이 되는 곳이 生龍(生氣脈)이라 結穴이 가능하고 不配合되면 死龍이니 結穴이 불가능하여, 이것이 공식화된 同宮 配合法이다.
* 측정요령은 來龍의 變化點(左右旋), 산 능선의 중심이 라경상으로 위 두글자의 중심선으로 맥이 내려오면 배합,그렇치 않으면 불배합이다. (즉 좌우선일 경우 중심선을 7.5도 左右로 치우쳐 관찰함을 명심할것.)

ㄷ. 24방위 配合(配合.正合)이자산(二字山)

干..... 壬. 丙. 甲. 庚 }
支..... 子. 午. 卯. 酉 } 貴人>壬子ㅡ문관귀인. 丙午ㅡ명문귀인.甲昴ㅡ도덕귀인
庚酉ㅡ무관귀인.

干......乙. 辛. 丁. 癸 }
支......辰. 戌. 未. 丑 } 富者>乙辰ㅡ 물품부자. 辛戌ㅡ현금부자. 丁未ㅡ사업부자
癸丑ㅡ토지부자.

干......艮. 坤. 巽. 乾 }
支......寅. 申. 巳. 亥 } 孫子>艮寅ㅡ인자한손. 坤申ㅡ양명한손
巽巳ㅡ진중한손. 乾亥ㅡ성실한손

ㄹ. 24방위 不配合 (사용불가함을 원칙으로한다)

(1) 二字 不配合

亥壬. 寅甲. 巳丙. 申庚> 요절
子癸. 卯乙. 午丁. 酉辛> 파산
丑艮. 辰巽. 未坤. 戌乾> 질병

(2) 戊己 三字 不配合

壬子癸. 甲卯乙. 丙午丁. 庚酉辛.....귀절무기...관재구설
癸丑艮. 乙辰巽. 丁未坤. 辛戌乾.....부절무기...도적, 도난, 손재
艮寅甲. 巽巳丙. 坤申庚. 乾亥壬.....손절무기...상피, 음행

(3) 三字 不配合

亥壬子, 寅甲卯, 巳丙午, 申庚酉.......인패
子癸丑, 卯乙辰, 午丁未, 酉辛戌.......재패
丑艮寅, 辰巽巳, 未坤申, 戌乾亥.......병패


마) 五層 : 천산(穿山)72 龍(60갑자)

ㄱ. 分水척상 즉 입수(入首)자리(취기,만두)에 羅經을 놓고 後龍에서 入首까지 들어오는 龍이 어느 干支로 오는가를 판단하여 입수룡의 吉凶格을 판별한다.
즉 12 地支에 각각 5 龍씩 60龍과 8干,4維의 빈칸 12 龍을 합쳐 72龍이 된다.
** 甲子(산기, 냉기맥). 壬子(퇴기맥). 戊子(산기, 무기살).
丙子(정기맥, 생기맥).庚子(왕기맥)맥중에 丙子와 庚子맥만 사용한다.**

ㄴ. 地氣상승의 60 氣脈을 관찰하고 12 空亡 지점을 관찰하여 산맥의 변화가 원만히 이루어졌는가를 살피는 것인데 기맥의 좌우굴곡으로 기맥의 生氣脈과 死氣脈이 분별되기 때문에 굴기점이 空亡이 되어야하고 곡지점이 生旺하여야 하는 것이니 5字 氣脈의 대소 공망을 식별하여 분금선을 결정한다.

ㄷ. 山川形勢는 모두 天地氣脈의 결정체로 山脈의 생김이 起伏굴곡하고 광협비척(廣狹肥瘠)과 微脈, 斷脈으로 지형지세를 이르고 있는데, 생각하기에는 이론상 논리에 합당할것 같으나 누가 5도 밖에 안 되는 용맥의 범위를 측정 확인할 것인가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지맥과 폭은 측정할 수 있으니 걱정할 바는 없다.( 이곳 저곳을 다여봐도 5층. 천산72룡은 7층과 겹치는 면이 있다하여 소흘이 여기므로 쓰는 자의 마음이라)


바) 六層 : 人盤中針(逆行 7.5도)

6층은 穴 주위의 사(砂)를 볼 때 사용하는 것으로 砂와 坐와의 五行 관계를 살펴 砂의 吉凶을 판단하는 것이다.
砂란 墓를 중심으로 주변에 환포(環包)되어 있는 산, 건물, 나무, 바위 등이 포함되며,
星水五行으로 肉親관계를 살피는데 이때 坐가 주인공이 된다.

<星水五行>
木ㅡㅡ乾. 坤. 艮. 巽 火ㅡㅡ甲. 庚. 丙. 壬. 子. 午. 卯. 酉
土ㅡㅡ乙. 辛. 丁. 癸 金ㅡㅡ辰, 戌. 丑. 未
水ㅡㅡ寅. 申. 巳. 亥

* 단순한 五行 관계로 吉凶을 논할 수 없으니 砂는 모양 자체가 중요하다.
* 진혈(眞穴)인 경우엔 凶砂의 殺生이 있어도 전화위복이 되는 경우가 많다.
* 모든 것은 眞穴이냐, 아닌냐에 달여있지,眞穴이 아닌데 주위환경을 논하지맙시다.
* 이것이 風水의 올바른 姿勢요, 理法이 아닐까.

1.감정하는 방법
ㄱ . 청룡ㅡ 장남 . 백호ㅡ 3남 . 안산ㅡ 차남.
ㄴ . 형제인 경우엔 좌우룡만 사용한다.
ㄷ . 좌청룡 ㅡ아들. 우백호 ㅡ딸,외손, 재물.
ㄹ . 안산 ㅡ 노복, 후원자.
ㅁ . 후룡 ㅡ 조상, 상속재산, 관직을 의미한다.

2. 명리학적 개념의 肉親관계
ㄱ . 좌와 같은 오행. ㅡ 비견, 겁재........형제, 동료,동창생,친구,고모부(ㅇ)
ㄴ . 좌가 생해 주는오행. ㅡ 식신, 상관......부하, 아랫사람.사위, 장모.
ㄷ . 좌가 극하는 오행. ㅡ 편재, 정재......처,부친, 백,숙부.처남, 첩.(ㅇ)
ㄹ . 좌가 극을 받는것. ㅡ 편관, 정관.......자식, 상관,조카,질녀, 손부.
ㅁ . 좌를 생해주는 오행. ㅡ 편인, 정인.......어머니,서모, 유모,은사.(ㅇ)
이와 같이 星水五行을 활용하여 凶砂의 禍와 害를 防止하는 妙理가 있다.


3. 穴 주위의 여려 沙格

1. 案山의 權. 富. 貴格
일출. 월출. 고루. 광대. 마상귀인. 감투봉. 천군만마의 대장군형.
창고봉. 낙타봉. 문필봉. 복종.

2. 골짜기
진사(동.남방)........머리창병
미신(서.남방)........부인 다리병. 배 아품병
인묘축(동북.동방).....재산, 자손천함
오(남)..........대길

3. 바위 (凶한 바위일 경우)
인묘방.......2자병들고, 신유방.......딸이 화상
동남방.......큰딸절름발, 서쪽방.......작은딸비명
북쪽방.......귀병, 서북방.......도적
서남방........부인병

4. 墓內 蛇와 蟲의 침입

辰巳方에 砂角이 蛇頭모양으로 墓前面으로 朝對하면 墓內에 入蛇한다.

 

사) 七層 : 투지(透地) 60 龍

透地 60龍이란?.
4층의 24방을 각 2.5분한 것으로 쌍산(雙山)을 5분한 것과 같으며. 7층은 4층 지반정침의 쌍산 방위에 각각 5개룡씩 60갑자가 나렬되어 있다.
투지라 하는 것은 通한다는 뜻이며 山이라 하지 않고 地라고 한 것은 땅에서 萬物이 生成한다는 데서 온 뜻이다.

ㄱ. 투지 60龍의 측정방법은 입수의 분수척상(分水脊上)에 羅經을 놓고 羅經에서 穴에 이르는 방위를 보는 것이다.

ㄴ. 納音五行으로 투지 60 龍의 相生 相克 관계를 본다. 즉 墓의 坐를 正五行으로 定하고 이 五行을 生해주는 五行에서 定한다.(* 투지 60 龍의 生氣脈과 旺氣脈 中)

ㄷ. 亡者의 生年月日을 납음오행으로 坐와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고 하관시(하관시로 중화시켜도 된다)와 투지분금 등에 활용된다.

천산72룡은 자연의 상태로 있는 용맥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마음데로 조정할 수 없으나,투지60룡은 지사가 주보 왕상맥만을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혈과 천광하는데 매우 중요시된다.


아). 八層 : 천반봉침(天盤縫針)(順行 7.5도)

8층은 24방위로 표시되어 있는데 8층은 4층보다 7.5도 順行방향으로 移動된 것이니 이것은 6층의 龍이 陰이라 逆行 방향으로 7.5도 옮긴 것과 같이 물은 陽이기 때문에 順行 방향으로 7.5도 이동된 것이다.

8층 천방봉침은 득수처,수구처,지호수,연못,호수등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破口處는 木局,火局,金局,水局의 四局을 定하는 기준이 되며,88向法에서 坐向을 결정할 때 제일 먼저 살펴야 하는 것이 破口의 방위다.
파구의 방위를 잘못 측정하면 모든 理法이 잘못되어 吉凶禍福 역시 큰 차이가 생긴다.

ㄱ. 水의 방위를 보는데 4층 방위가 아니고 8층 방위로 본다.
ㄴ. 주로 물의 來去의 吉凶을 본다.
ㄷ. 胞胎法에서도 역시 破口를 8층으로 측정한다.

 

九層 : 分金法
 
分金法에 관한 學說은 다양하여 取事選擇하기 곤난하다.
분금이란 시신의 좌향을 자연의 순환에 맞추어 약간 돌려놓는 것으로 라경 9층인 봉침분금(縫針分針)에 나타나있다.


 이것은 '아침에 가난하던 사람이 한 낮에 장사를 지내고는 저녁에 부자가 되었다(朝貧暮富)'는 고사를 낳았을 만큼 시신의 육탈을 도와 유골과 생기와의 감응을 촉진시킨다.
 풍수적으로 발복은 살과 피가 아닌 뼈를 통하여 이루지므로 육탈을 빨리하기 위한 산소와의 접촉을 돕는 풍수적 방법이다.
 
분금은 葬事를 지낼때  사용하는 避凶取吉의 정교한 葬法으로 先天八卦에서 하늘은 乾天으로 乾金의 陽이되고, 땅은 坤地로 坤土의 음이된다.
坤土의 純陰에서 乾金의 一陽이 始生하므로 만물이 태동할 수있는 氣元이 시작되며 방위가 시작된다.
그러므로 坤土에서 乾金을 土生金해 내니 分金이라 하는 것이다.


24개의 방위가 1개의 방위마다 5등분하면 모두가 120으로 나누어지니 120分金이 된다.
一山은 5金을 이루게되고 一金은 3度의 폭을 가지게 된다

 

       <<< 사용방법 >>>

ㄱ. 분금은 땅을 나눈다는 뜻으로 120 분금이데 공란은 쓰지 않고 글자를 서놓은 것만 사용한다.

ㄴ. 분금이 대칭적으로 서로 納音五行이 같으면 같은 天干을 쓴다.(예ㅡ 丙子분금의 대칭이 丙午분금이다.)

ㄷ. 9층의 분금은 투지기와 납음오행으로 相生 相克관계를 본다.
 
ㄹ. 분금은 하관 직후에 棺의 方向을 분금에 맞추어 틀어줄 때 사용한다.
(예) 辛亥 투지로 入穴이면 辛亥는 납음오행이 金이고 9층의 분금은 丁亥, 辛亥가 있는데 두 분금 중에서 丁亥 분금이 土로서 土生金으로 生하여 주니 吉로 작용한다.
 
ㅁ. 분금법은 坐(正五行)와 망인(生年納音)의 生克관계를 보아서 분금을 정한다.
(예) 辰(土)坐에 乙亥(火)망인을 장사지낸다면 火生土로써 망인의 氣가 새어나가 凶이 되니 이런 경우 하관시를 木時(납음오행)를 찾아 하관한다.

 

ㅂ. 坐는 설기(洩氣)당하는 것을 가장 싫어하고 生을 받아야 좋다.
(예)    * ㅡ 亥坐일 때 7층의 辛亥(金)투지를 生해주는 9층의 丁亥(土)로 분금.
          * ㅡ 乾坐일 때 7층의 丁亥(土)투지를 生해주는 9층의 丙戌(土)로 분금.
          * ㅡ 坐를 생하거나, 비견이거나, 坐가 克하면 쓸수있다.
          * ㅡ 이장, 합장에는 분금을 사용하지 않는다 (육탈이 끝난 유골을 이장 할 때에는 봉침 분금에 따라 유골을 선회시키지 않는다. 분금 처리를 할 경우, 양기가 커져 유골의 산화가 강하게 일어나서 오히려 흉하기 때문이다.)

 

ㅅ .  자연의 흐름이 좌선수라면 좌분금에 맞추어 시신의 향을 왼쪽으로 선회시키고, 우선수라면 우분금에 맞추어 시신의 향을 오른쪽으로 선회시킨다. 좌분금에 맞추는 것은 영록(迎祿)이라 하고, 우분금에 맞추는 것을 차록(借祿)라 부른다.

출처 : zippo
글쓴이 : zippo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