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스크랩] 팔괘의 원리

십장생1 2017. 10. 1. 09:22

선천팔괘 - 복희 팔괘 라고도 한다.

 

 

 

1.  ▶ 일건천 ( 一乾天)    

 

  노부금(老父金)


서(北西)쪽은 오행(五行)으로는 금(金)이며 지지(地支)로는 술해(戌亥)로서 계절로는 가을에

 해당한다. 태양의 에너지가 하루를 마무리하는 시기로서 권위와 명성을 의미한다. 달로는

 9-10月로서 시간은 오후 9時에서 11時 까지. 숫자로는 4와 9.


 

2. ▶ 이태택 (二兌澤)     

 

   소녀금(少女金)


서(西)쪽은 오행(五行)으로는 금(金)이고 천간(天干)에서는 경신(庚辛)이며 지지(地支)에서는

 유(酉)에 해당 한다. 계절로는 가을이며 달로는 8月이고 시간은 오후 5時부터 7時까지를

말한다. 숫자로는 4, 9이며 8괘에서는 태(兌)로서 인체에서는 폐에 해당하며 인물로는

소녀금(少女金)이고 막내 딸이다.

 

    

3. ▶ 삼리화 (三離火). 

 

  중녀화(中女火)


색체는 빨강색이며 숫자로는 2, 7을 상징하며 8괘에서는 이괘(離卦)이고 인물로는

 중녀화(中女火)로서 둘째딸이다. 계절로는 화절기(火節期)에 속한다. 자연의 현상에서는

모든 만물이 무성하게 자라고 활동하는 전성기로서 성장과 발전을 의미한다.

 

4. ▶ 사진뢰 (四震雷)  

 

   장남목(長男木)


동(東)쪽은 오행에서는 목(木)에 해당된다. 천간(天干)에서는 갑을(甲乙)에 해당하며

 지지(地支)에서는 묘(卯)에 해당된다. 계절로는 봄이며 달로는 2月이다. 숫자로는 3, 8.

 

5. ▶ 오손풍 (五巽風).  

 

   장녀목(長女木)


8괘에서는 손괘(巽卦)이다. 인맥에서는 장녀(長女)로서 맞딸이다. 인체에서는 간과 쓸개에

 해당 된다. 자연의 현상으로는 결혼과 연애 신용과 학력, 출입, 여행의 의미. 

 

6. ▶ 육감수 (六坎水)   

 

  중남수(中男水)


8괘(卦)에서는 감괘(坎卦)이며 인물로는 중남(中男)으로서 둘째 아들이다.
달로는 12月이고, 시간으로는 11時부터 새벽 2時 까지를 말한다. 색채로는 흑색이며 맞은 짠맛을

나타내며 숫자로는 1, 6 수(數)이다.

 

7. ▶  칠간산  (七艮山) . 

 

  소남토(少男土)


색채로는 황색이며 맛은 단맛을 나타낸다. 숫자로는 5, 10이며 인맥으로는 소남(少男)으로서

 막내 아들이다.  

 

8. ▶ 팔곤지  (八坤地).  

 

  노모토(老母土)


계절로는 늦여름과 초가을을 의미하며 달로는 6月, 7月이며 시간으로는 오 후 2時부터

 5時까지를 말한다. 숫자는 5, 10이다. 8괘에서는 곤괘(坤卦)이며 인맥으로는 어머니,

 할머니에 해당된다.

 

 


 

후천팔괘- 문왕팔괘, 또는 구궁팔괘 라고도 한다.

 

 

 

 

일감(一坎) -   중남수(中男水)

이곤(二坤) -   노모토(老母土)

삼진(三震) -    장남목(長男木)

사손(四巽) -    장녀목(長女木)

오중(五中) - 중앙 황극(皇極)

육건(六乾) -    노부금(老父金)

칠태(七兌) -     소녀금(少女金)

팔간(八艮) -    소남토(少男土)

구리(九離) -   중녀화(中女火)

 
 
문왕팔괘도文王八卦圖의 획괘劃卦는 하도河圖 수리數理의 발전인 동시에 복희팔괘의 발전상發展象이다.

복희팔괘도는 그 획괘를 생生하는 입장에서의 음양선후陰陽先後에 따른 배열이라면 문왕팔괘도의 획괘는 오행성五行性에 따른 배열이다. 왜냐하면 복희팔괘도[河圖]는 천도天道의 상象으로서 음양陰陽 이기二氣가 오행五行을 생성生成하는 입장이고 문왕팔괘도[洛書]는 음양陰陽 이기二氣가 땅에서 비로소 방위[五方]를 얻어 오행五行을 바탕으로한 발전상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희팔괘에서의 팔괘는 음양陰陽적인 측면에서 본 것이오, 문왕팔괘에서의 팔괘는 오행五行적인 측면에서 본 것이라 할 수 있다.

 


  "건乾은 내부內部에 강건剛建한 양기陽氣를 함含하고 외부外部가 수렴收斂하여 그 조직組織이 건乾과 같으므로 건乾은 금金이 되는 것이오 태兌는 내부內部가 강로剛鹵하고 일음一陰이 외外에 있어 수렴收斂하므로 또 금金이 되는데 건乾은 순양純陽이므로 양성陽性의 금金이 되고 태兌는 음성陰性에 있으므로 음성陰性의 금金이 되는 것이다

곤坤은 지地이오 간艮은 산山이니 지地와 산山이 모두 토土에 속屬하나 지地는 비습卑濕하므로 수水를 합合한 토土가 되고 산山은 고기高起하므로 화火를 장藏한 토土가 되는 것이다

진震은 음중陰中에서 양陽이 동動하여 씨의 상象이되고 지상地上에 최초로 씨가 나서 생물이 된 것은 식물植物이므로 진震은 목木이 되는것이오 손巽은 천기天氣가 하강下降하여 지地에 입入하고 그와 반대로 지地의 양기陽氣가 상향上向하여 도행倒行하니 이는 수목樹木의 근根이 지地에 착着하고 간지幹支가 천天을 향向하여 상승上昇하는 상象이 되므로 손巽은 목木이 되는데 진震은 싹의 시생始生하는 것이므로 양목陽木이 되고 손巽은 간지幹支의 무성茂盛한 것이므로 음목陰木이 된 것이다.

감수坎水와 이화離火는 괘卦의 본상本象이 그러한 것이다. 건태금乾兌金 진손목震巽木 곤간토坤艮土 감수리화坎水離火는 물物의 자라는 때의 오행五行이다."

 

-『周易 · 正易』 韓長庚

 

 

 
 
 
  앞에서 이미 복희팔괘수리伏羲八卦數理[음양陰陽의 선후先後]로부터 낙서洛書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동북방과 서남방의 상역相易이 이루어졌는데, 이곳에서도 같은 이치로 곤괘坤卦와 간괘艮卦의 상역相易이 이루어진다.
이는 복희팔괘의 생성生成원리에 있어 하늘[天, 北方]에는 원형圓形의 수數가 위치하고 땅[地, 南方]에는 방형方形의 수數가 위치하며 그 중앙에는 각형角形의 수數가 위치하는데 반해, 문왕팔괘에서는 그 음양陰陽의 소장진퇴消長進退와 오행성五行性으로 양수陽數는 그 성性이 위로 상승上升[發展]하려 하여 하늘[北]에 양수陽數와 양괘陽卦가 자리잡고, 음수陰數는 그 성性이 하강下降[收斂]하려 하여 땅[南]에는 음수陰數와 음괘陰卦가 자리하는 이유이다.

  흔히 세간에서 보여지는 문왕팔괘도는 이같은 변화 · 생성의 수리數理를 약略하고 다만 낙서洛書의 수리數理를 각 괘卦에 붙여 그것의 발전상發展象을 보이려 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처럼 문왕팔괘는 장長의 시운時運에 물物의 자라는 상象으로서 복희팔괘도의 노老[乾坤] · 장長[震巽] · 중中[坎離] · 소少[艮兌]가 각각 바르게 위치하고 서로 상대相對하고 있는것에 반해 문왕팔괘에서는 중中[坎離]을 제외한 노老 · 장長 · 소少가 각각 혼합되고 상대되어 바르지 못한 음양陰陽 상대작용을 하고 있다.
또한 덧붙여 이같은 발전의 상象에는 음양陰陽이 서로 착종하고 그에 따라 변화가 이루어지는 법인데, 즉 양陽이 음陰이 되고 음陰이 양陽이 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양괘陽卦의 성性은 상승上升하고 상승上升하는 작용은 괘卦의 상획上劃에 있으니 그 상획上劃을 떼어버려 상승上升함을 억제抑制하고 그 반대되는 일획一劃을 아래에 첨가添加하여 하강작용下降作用을 행行케하면 양괘陽卦가 음괘陰卦로 전화轉化하는 것이오 음괘陰卦의 성性은 하강下降하고 하강下降하는 작용은 하획下劃에 있으니 그 하획下劃을 떼어버려 하강下降함을 억제抑制하고 그 반대되는 일획一劃을 위에 첨가添加하여 상승작용上升作用을 행行케하면 음괘陰卦가 양괘陽卦로 전화轉化하는 것이다."
 
-『周易 · 正易』 韓長庚
 
 
 
 

낙서의 원리
 

 

  문왕팔괘도文王八卦圖는 주周나라 시대의 문왕文王에 의해 괘卦가 그어져 문왕팔괘도라 불리어 졌다. 문왕팔괘도는 낙서洛書의 수리數理를 바탕으로 이루졌는데, 낙서洛書는 우禹임금이 치수治水 사업기간중에 낙수洛水에서 거북이 등껍질에 새겨진 문양에서 얻었다 일컬어 진다.

  낙서洛書라 함은 하도河圖의 천지조직天地組織 원리에 이은 물物의 생장生長 · 발전發展의 원리를 수리數理로 반영하고 있다. 즉 하도河圖를 바탕[體]이라 하면 낙서洛書는 쓰임[用]이 되고, 하도를 생성生成이라 하면 낙서는 그 생성물生成物의 발전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낙서의 수리數理는 하도에서 이어지며, 하도의 원리를 바탕으로 획괘劃卦한 복희팔괘도의 수리배열에서 유추하여 그 생성원리를 알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상象과 수數는 표리 관계에 있으며 상象을 통해 수數를 얻고, 수數를 통해 상象을 얻음을 또한 반증해주는 것이다.

 

  복희팔괘도는 생성生成의 상象인데 그것이 자라는, 즉 출생出生하는 때에는 반역反易하는 상象이 되는데, 이는 마치 태모胎母의 뱃속에서 태아胎兒가 기일期日이 차고 출산出産시에는 반대로 머리부터 나오는 이치와 같다.
 
"복희팔괘도伏羲八卦圖의 팔수八數는 열매의 맺히는 수數이오 낙서洛書의 구수九數는 열매가 터져서 싹이 자라는 수數인데 화곡禾穀이 출생出生하는 때에는 반드시 반역反易하여 반생反生함과 같이 팔수八數가 터져서 구수九數로 자라는 때에도 또한 반역反易의 상象이 있는 것이오 복희팔괘도伏羲八卦圖의 수數가 반역反易하면 천天의 위位에있는 수數와 지地의 위位에 있는 수數가 서로 바뀌는 것이다."
 
-『周易 · 正易』韓長庚
 
 

 
 
  복희 팔괘는 수數가 8 까지만 존재하는데 이는 생성生成에 필요한 수리數理를 일컬음이고[成木, 陰, 8] 만물의 발전은 9 수數까지 차야 하므로[生金, 陽, 9] 5 가[陽土, 陽] 스스로 중앙에 들어감으로써 수數의 재배열이 만들어 진다.
 
 
 
  "수數가 팔八에서 구九로 발전하려고하면 스스로 수數가 중앙中央에 들어가서 구궁九宮이 되지 아니할 수가 없고 중앙中央에 들어가는 수數는 하도河圖의 중앙오십토中央五十土의 리理에 의하여 반드시 오십토五十土가 되지 아니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반생反生한 수數로써 오십토五十土를 중앙中央에 배정配定하고 그 행로行路의 서序를 따라서 구궁九宮을 채우면……"
 
-『周易 · 正易』韓長庚
 
 
 
 
 
  수리상 1, 6, 8 은 원형圓形이요 2, 4, 9 는 방형方形이며, 3, 5, 7 은 각형角形이기에 그 어울림에 의해 스스로 2 와 8 은 자리[相易]를 바꾸게 된다. 이것은 하늘은 원형으로써 1, 6, 8 의 수數가 되고 땅은 방형으로써 2, 4, 9 의 수數가 되며 사람은 각형으로써 3, 5, 7 의 수數가 되기 때문이다.
 
  기존의 하도河圖는 북방에 1 · 6 水, 남방에 2 · 7 火, 동방에 3 · 8 木, 서방에 4, 9 金 이었는데 낙서洛書에서는 각각 남방과 서방이 4 · 9 金, 2 · 7 火 로 변해있다. 이로써 하도河圖는 상생相生[右旋, 水生木 · 木生火 · 火生土 · 土生金 · 金生水]인 반면 낙서洛書는 상극相克[左旋, 水克火 · 火克金 · 金克木 · 木克土 · 土克水]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2 와 8 의 상역相易에 의한 천지天地의 변화인 것이다.

  또한 하도와 낙서를 비교해보면 5 , 10 은 중앙 토土의 생명체로써 내부에 위치하여 생명을 생하게 하고, 생수生數는 변치 않고 오직 성수成數의 변화만이 이루어짐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만물이 발전하는 장長의 시운은 성수成數만이 자라는 과정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하도河圖는 생성生成하는 천도天道[相生]의 수리배열이요 낙서洛書는 그 생生을 이어받아 땅에서 자라며 발전하는 지도地道[相克]의 수리배열이다.

 

출처 : 위대한성공자들의여행이야기
글쓴이 : 성공하는둘리 원글보기
메모 :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64괘 괘명의 순서 쉽게 외우기  (0) 2017.11.05
[스크랩] 풍수 : 이기론 - 오행  (0) 2017.10.01
[스크랩] 8 괘  (0) 2017.09.30
[스크랩] 이사 방위 보는 법  (0) 2017.08.10
[스크랩] 풍수지리 12 포태법  (0) 2017.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