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스크랩]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

십장생1 2013. 9. 21. 13:35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
건물이나 묘지의 좌향을 결정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이법이다. 의수입향(依水入向)의 원칙에 의하여 파구(破口)를 보고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 하는지, 우수도좌(右水到左)하는지를 살핀 다음 어떤 향(向)을 놓을 것인가를 판단한다.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의 길흉화복 팔십팔향법은 당나라 때 구빈 양균송 선생의 십사진신수법(十四進神水法)과 십퇴신수법(十退神水法)에 연원을 두고 많은 풍수 선현(先賢)들이 계승 발전 시켜 온 것으로 그 적중률이 높아서 가장 많이 쓰여진 법이다. 옛날부터 팔십팔향법으로 향을 놓으면 상격룡의 대지는 대발하여 부귀극품(富貴極品)하고, 중격룡의 소지는 부귀(富貴)하며, 하격룡의 무맥(無脈) 평지도 비록 부귀는 어렵다 할지라도 자손 보존과 족이의식(足以衣食) 즉 먹고사는 데는 걱정이 없다고 하였다. 팔십팔향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풍수지리학 강의' '향법론'에서 강의 할 것이다. 길향(吉向) : 팔십팔향법에는 11개의 길한 향이 있다. 길한 향에는 각 8개의 파구와 8개의 좌향이 있는데 이를 모두 합하면 88향이 된다. 여기서는 모두 쌍산(雙山)으로 묶어 설명하였기 때문에 44개의 향이 되는데 착오 없기를 바란다.팔십팔향법에서는 길한 향만 취하고 나머지는 취 할 수 없다. 그 이유와 원리는 '향법론'에서 설명 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길한 향만 간단히 설명하겠다. 1) 정생향(正生向)→ 물은 우수도좌(右水到左: 우측에서 득수 하여 좌측으로 파구되는 물)한다. → 정미(丁未)파에 건해(乾亥)향, 신술(辛戌)파에 간인(艮寅)향, 계축(癸丑)파에 손사(巽巳)향, 을진(乙辰)파에 곤신(坤申)향이 있다. → 정생향(正生向)은 자손이 크게 번창하고, 부귀하며 아내는 어질고 자식은 효도하며, 특히 등과급제(登科及第)하는 자손이 많이 나와 성인(聖人)이나 장상(將相)이 된다. → 만약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 좌측에서 득수 하여 우측으로 파구 되는 물)하면 어린 자식이 일찍 요절하고 모든 가업이 도산하여 망하게 된다.2) 자생향(自生向) → 물은 우수도좌(右水到左)하여야 하며, 정미(丁未)파에 곤신(坤申)향, 신술(辛戌)파에 건해(乾亥)향, 계축(癸丑)파에 간인(艮寅)향, 을진(乙辰)파에 손사(巽巳)향이 있다. → 자생향은 절처봉생자생향(絶處逢生自生向)이 되어 조빈석부(朝貧夕富)하여 발복이 매우 빠르고 자손 번창과 부귀 번영한다. → 만약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하면 묘절충생대살(墓絶庶生大煞)이 되어 자식들이 일찍 요절하고 가업은 도산하여 가난해지는 등 대흉을 초래한다. 3) 정왕향(正旺向) → 물은 좌수도우(左水到右)하고, 정미(丁未)파에 갑묘(甲卯)향, 신술(辛戌)파에 병오(丙午)향, 계축(癸丑)파에 경유(庚酉)향, 을진(乙辰)파에 임자(壬子)향이 있다. → 정왕향은 필히 총명한 영재가 나와 귀현(貴顯)하고 자손 번창과 부귀 장수한다. 특히 모든 자손이 균일하게 발복하는 것이 특징이다. → 만약 물이 우수도좌(右水到左)하면 묘절파왕(墓絶破旺)이 되어 대흉하다. 4) 자왕향(自旺向)→ 물은 좌수도우(左水到右)하고, 정미(丁未)파에 병오(丙午)향, 신술(辛戌)파에 경유(庚酉)향, 계축(癸丑)파에 임자(壬子)향, 을진(乙辰)파에 갑묘(甲卯)향이 있다. → 자왕향은 화사위자왕향(化死位自旺向)으로 남자는 총명하고 여자는 수려하며 자손 번창과 부귀 장수한다. → 만약 물이 우수도좌(右水到左)하면 절수도충묘고대살(絶水到庶墓庫大煞)이 되어 대흉하다. 5) 정양향(正養向) → 물은 우수도좌(右水到左)하고, 곤신(坤申)파에 신술(辛戌)향, 건해(乾亥)파에 계축(癸丑)향, 간인(艮寅)파에 을진(乙辰)향, 손사(巽巳)파에 정미(丁未)향이 있다. → 정양향은 귀인녹마상어가(귀인녹마상어가)라 하여 최고로 길한 향이다. 모든 자손과 재물이 왕성하게 번창하고 공명현달(功名顯達)한 자손이 나온다. → 만약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하면 묘절충생대살(墓絶庶生大煞)이 되어 흉하다. 6) 정묘향(正墓向) → 물은 좌수도우(左水到右)하고 우측에서 작은 물이 나와 양수협출(兩水協出)하여야 하며, 곤신(坤申)파에 정미(丁未)향, 건해(乾亥)파에 신술(辛戌)향, 간인(艮寅)파에 계축(癸丑)향, 손사(巽巳)파에 을진(乙辰)향이 있다. → 정묘향은 발귀(發貴) 발부(發富)하고 자손이 번창하며 건강 장수한다. → 만약 물이 우수도좌(右水到左)하면 생수도충절위(生水到庶絶位)가 되어 극히 흉하다. 7) 문고소수(文庫消水) → 물은 좌수도우(左水到右)하고 임자(壬子)파에 건해(乾亥)향, 갑묘(甲卯)파에 간인(艮寅)향, 병오(丙午)파에 손사(巽巳)향, 경유(庚酉)파에 곤신(坤申)향이 있다. → 문고소수는 부귀(富貴)하고 총명 수재와 예술에 재능이 있는 자손이 나온다. → 만약 물이 우수도좌(右水到左)하거나 용혈(龍穴)이 부실하면 음란으로 패절하므로 가벼히 써서는 안 된다. 8) 목욕소수(沐浴消水) → 물은 우수도좌(右水到左)하고 임(壬)파에 갑묘(甲卯)향, 갑(甲)파에 병오(丙午)향, 병(丙)파에 경유(庚酉)향, 경(庚)파에 임자(壬子)향이 있다. → 목욕소수는 가부(家富)하고 자손이 번창한다. → 만약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하거나 용혈(龍穴)이 부실하며 조금이라도 지지자(地支字)를 범하여 파구되면 음탕한 자손으로 패가 망신한다. 부가경용(不可經用)해야 한다. 9) 태향태류(胎向胎流) → 물은 우수도좌(右水到左)하고 경(庚)파에 경유(庚酉)향, 임(壬)파에 임자(壬子)향, 갑(甲)파에 갑묘(甲卯)향, 병(丙)파에 병오(丙午)향이 있다. → 태향태류는 대부대귀(大富大貴)하고 자손이 크게 번창하는 길한 향이나 백보전란(百步轉欄)에 불견직거(不見直去)해야 한다. 즉 청룡 백호가 가깝게 감싸 안아 주어야 하고 물이 밖으로 직선으로 나가는 것이 보여서는 안 된다. → 만약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하거나 용혈이 빈약하며 지지자(地支字)를 범하면 즉시 패절하여 망하니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 물이 묘 앞으로 직선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보이면 하루아침에 망한다. 10) 절향절류(絶向絶流) → 물은 우수도좌(右水到左)하고 곤(坤)파에 곤신(坤申)향, 건(乾)파에 건해(乾亥)향, 간(艮)파에 간인(艮寅)향, 손(巽)파에 손사(巽巳)향이 있다.→ 절향절류는 대부대귀(大富大貴)하고 자손이 번창하는 길한 향이나 백보전란(百步轉欄)에 불견직거(不見直去)해야 한다. → 만약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하거나 용혈이 빈약하며 지지자(地支字)를 범하면 즉시 패절하고 절손이 될 우려가 있으니 함부로 이 향을 쓸 수가 없다. 11) 쇠향태류(衰向胎流) → 물은 혈 앞에서 들어와 좌수도우(左水到右)하여 혈 뒤로 파구되어야 하며 경(庚)파에 을진(乙辰)향, 임(壬)파에 정미(丁未)향, 갑(甲)파에 신술(辛戌)향, 병(丙)파에 계축(癸丑)향이 있다. <조래좌수혈후파(朝來左水穴後破): 물이 혈 앞에서 들어와 좌측으로 돌아 혈 뒤에서 파구 된다. 따라서 산간에서는 없고 평지에서만 가능있다.> → 쇠향태류는 발부(發富) 발귀(發貴)한다. → 만약 물이 우측으로 돌아 좌측에서 파구된다면 절수도충묘고대살(絶水到庶墓庫大煞)이 되어 패절(敗絶)한다.
4) 팔십팔향법의 종류 (八十八向法의 種類) 팔십팔향법에는 정생향(正生向), 정왕향(正旺向), 자생향(自生向), 자왕향(自旺向), 정양향(正養向), 정묘향(正墓向), 문고소수(文庫消水), 목욕소수(沐浴消水), 태향태류(胎向胎流), 절향절류(絶向絶流), 쇠향태류(衰向胎流)의 11개 종류가 있다. 이들은 목국, 화국, 금국, 수국에 각각 하나씩 있으므로 44개 향이 되고, 쌍산 배합이기 때문에 모두 88향이 된다. 나경패철의 24방위로 파구와 향을 측정하여 놓을 수 있는 좌향(坐向)의 종류는 이론상 576개다. 이중 88향만 길한 것이고 나머지 488향은 흉하다. 11개의 향법 중 사국법(四局法)을 기준하여 정국(正局)으로 입향(立向)할 수 있는 향은 정생향(正生向), 정왕향(正旺向), 정양향(正養向), 정묘향(正墓向), 태향태류(胎向胎流), 절향절류(絶向絶流), 쇠향태류(衰向胎流) 등 7개 향법이고, 향상작국(向上作局)을 하여 변국(變局)으로 입향할 수 있는 향법은 자생향(自生向), 자왕향(自旺向), 문고소수(文庫消水), 목욕소수(沐浴消水) 등 4개다. 자생향(自生向)과 자왕향(自旺向)의 뜻은 스스로 생향(生向)과 왕향(旺向)을 얻는다는 의미에서 이름 붙여진 것이다. 향상작국(向上作局)은 향을 중심으로 물의 득수처와 파구처 그리고 향의 길흉화복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법이다. 향상으로 득수처와 향은 길한 궁위(宮位)여야 하고, 파구는 흉한 궁위(宮位)여야 길하다. 1) 정생향 (正生向) 사국(四局)의 묘(墓), 고장궁(庫藏宮)으로 파구(破口)되고, 정국(正局) 12포태의 생향(生向)을 정생향(正生向)이라 한다. 물은 우측 왕궁(旺宮)에서 득수(得水)하여 혈 앞 명당을 지난 다음 좌측으로 파구되는 우수도좌(右水倒左)하여야 하며, 용은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 혈 우측 제왕궁(帝旺宮)에서 득수한 물은 임관수(臨官水), 관대수(冠帶水), 목욕수(沐浴水)의 길한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생향(生向)에서 혈에 좋은 기운을 공급해주고 묘궁(墓宮)으로 파구된다. 이를 왕거영생(旺去迎生)이라 한다. 물이 12포태의 왕궁(旺宮)에서 득수하고 생궁(生宮)에서 향과 만나 묘궁(墓宮)으로 파구되니 생왕묘(生旺墓) 삼합(三合)이 이루어지면서 혈을 금성전요(錦城纏腰)하는 길국형세(吉局形勢)가 된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정생향(正生向)이면 주로 부귀쌍전(富貴雙全)하고 처현자효(妻賢子孝)하여 오복(五福)이 임문(臨門)한다. 그러나 좌수도우(左水倒右)는 소망패절(少亡敗絶)에 도산가빈(倒産家貧)이 우려된다.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정미(丁未) 건해(乾亥) 손좌건향(巽坐乾向), 사좌해향(巳坐亥向)
화국(火局) 신술(辛戌) 간인(艮寅) 곤좌간향(坤坐艮向), 신좌인향(申坐寅向)
금국(金局) 계축(癸丑) 손사(巽巳) 건좌손향(乾坐巽向), 해좌사향(亥坐巳向)
수국(水局) 을진(乙辰) 곤신(坤申) 간좌곤향(艮坐坤向), 인좌신향(寅坐申向)


2) 정왕향 (正旺向)
사국(四局)의 묘(墓), 고장궁(庫藏宮)으로 파구되고, 정국 12포태의 왕향(旺向)을 정왕향(正旺向)이라고 한다. 물은 좌측 생궁(生宮)에서 득수하여 혈 앞 명당을 지난 다음 우측으로 파구되는 좌수도우(左水倒右)하여야 하며, 용은 우선룡(右旋龍)이 원칙이다.
혈 좌측 장생궁(長生宮)에서 득수한 물은 목욕수(沐浴水), 관대수(冠帶水), 임관수(臨官水)의 길한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왕향(旺向)에서 혈에 좋은 기운을 공급해주고 묘궁(墓宮)으로 파구된다. 이를 생래회왕(生來會旺)이라 한다.
물이 12포태의 생궁(生宮)에서 득수하고 왕궁(旺宮)에서 향과 만나 묘궁(墓宮)으로 파구되니 생왕묘(生旺墓) 삼합(三合)이 이루어지면서 혈을 옥대전요(玉帶纏腰)하는 길국형세(吉局形勢)가 된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정왕향(正旺向)이면 주로 부귀상전(富貴雙全)에 필출(必出) 총명영재(聰明英才)하여 필발귀현(必發貴顯)에 발부왕정(發富旺丁)한다.
그러나 우수도좌(右水倒左)는 대흉(大凶)하다.
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정미(丁未) 갑묘(甲卯) 경좌갑향(庚坐甲向), 유좌묘향(酉坐卯向)
화국(火局) 신술(辛戌) 병오(丙午)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금국(金局) 계축(癸丑) 경유(庚酉)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수국(水局) 을진(乙辰) 임자(壬子) 병좌임향(丙坐壬向), 오좌좌향(午坐子向)


3) 정양향 (正養向)
사국(四局)의 절태궁(絶胎宮)으로 파구되고, 정국(正局)의 12포태의 양향(養向)을 정양향(正養向)이라고 한다. 물은 혈 우측에서 득수하여 혈 앞 명당을 지난 다음 좌측으로 파구되는 우수도좌(右水倒左)하여야 하며, 용은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
혈 우측 임관궁(臨官宮)에서 득수한 물은 관대수(冠帶水), 목욕수(沐浴水), 장생수(長生水)의 길한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양향(養向)에서 혈에 기운을 공급해주고 절태궁(絶胎宮)으로 파구된다. 이를 귀인녹마상어가(貴人祿馬上御街)라 하며 혈을 금성환포(錦城環抱)하는 길국형세(吉局形勢)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정양향(正養向)이면 정재양왕(丁財兩旺)에 공명현달(功名顯達)하고 발복이 가장 큰 지리(地理) 중 최고의 향이다.
그러나 좌수도우(左水倒右)는 대흉(大凶)하다.
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곤신(坤申) 신술(辛戌) 을좌신향(乙坐辛向), 진좌술향(辰坐戌向)
화국(火局) 건해(乾亥) 계축(癸丑) 정좌계향(丁坐癸向), 미좌축향(未坐丑向)
금국(金局) 간인(艮寅) 을진(乙辰) 신좌을향(辛坐乙向), 술좌진향(戌坐辰向)
수국(水局) 손사(巽巳) 정미(丁未) 계좌정향(癸坐丁向), 축좌미향(丑坐未向)


4) 정묘향 (正墓向)
사국(四局)의 절포궁(絶胞宮)으로 파구되고, 정국(正局)의 12포태의 묘향(墓向)을 정묘향(正墓向)이라고 한다. 물은 혈 좌측에서 득수하여 혈 앞 명당을 지난 다음 우측으로 파구되는 좌수도우(左水倒右)하여야하며, 용은 우선룡(右旋龍)이 원칙이다.
혈 좌측의 장대(長大)한 제왕궁(帝旺宮)에서 득수한 물이 쇠방수(衰方水), 병수(病水), 사수(死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묘향(墓向)에서 혈에 기운을 공급해주고, 절포궁(絶胞宮)으로 파구된다.
그리고 우측 작은 소수(小水)는 장생궁(長生宮)에서 득수한 물이 양수(養水), 태수(胎水)의 기운을 가지고 절포궁(絶胞宮)에서 서로 합수(合水)하여 파구된다. 좌, 우측 물이 혈을 감싸고 양수협출(兩水夾出)하는 길국형세(吉局形勢)가 된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정묘향(正墓向)이면 발부발귀(發富發貴)에 복수상전(福壽雙全)한다.
그러나 우수도좌(右水倒左)하면 대흉(大凶)하다.
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곤신(坤申) 정미(丁未) 계좌정향(癸坐丁向), 축좌미향(丑坐未向)
화국(火局) 건해(乾亥) 신술(辛戌) 을좌신향(乙坐辛向), 진좌술향(辰坐戌向)
금국(金局) 간인(艮寅) 계축(癸丑) 정좌계향(丁坐癸向), 미좌축향(未坐丑向)
수국(水局) 손사(巽巳) 을진(乙辰) 신좌을향(辛坐乙向), 술좌진향(戌坐辰向)


5) 태향태류 (胎向胎流) 사국(四局) 태궁(胎宮)의 천간자(天干字)로 파구되고, 정국(正局)의 12포태의 태향(胎向)을 태향태류(胎向胎流)라 한다. 물은 혈 우측에서 득수하여 명당에 모인 다음 혈 앞으로 파구되는 당문파(當門破)이며,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 혈 우측 관대궁(冠帶宮)에서 득수한 물이 목욕수(沐浴水), 장생수(長生水), 양수(養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에 모여 태향(胎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向) 앞 태궁(胎宮)으로 빠져나가므로 당문파(堂門破)이고, 당면출살법(當面出煞法)이라 한다. 당문파는 물이 곧장 빠져나가면 안되고 구불구불하게 천천히 흐르면서 파구가 완벽하게 관쇄(關鎖)되는 백보전란(百步轉欄)에 불견직거(不見直去)해야 한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태향태류는 주로 대부대귀(大富大貴)에 인정흥왕(人丁興旺)한다. 그러나 용약비혈(龍弱非穴)이 되거나 수범지지자(水犯地支字)이면 비패즉절(非敗卽絶)하므로 불가경용(不可輕用)이다. 또한 좌수도우(左水倒右)하여 당면직거(當面直去)하면 견동토우(牽動土牛)라 하여 패산적빈(敗産赤貧)이 우려된다.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경(庚) 경유(庚酉)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화국(火局) 임(壬) 임자(壬子) 병좌임향(丙坐壬向), 오좌자향(午坐子向)
금국(金局) 갑(甲) 갑묘(甲卯) 경좌갑향(庚坐甲向), 유좌묘향(酉坐卯向)
수국(水局) 병(丙) 병오(丙午)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6) 절향절류 (絶向絶流)
사국(四局) 절궁(絶宮)의 사유자(四維字 : 乾坤艮巽)로 물이 파구되고, 정국(正局) 12포태의 절향(絶向)을 절향절류(絶向絶流)라 한다. 물은 혈 우측에서 득수하여 명당에 모인 다음 혈 앞으로 파구되는 당문파(堂門破)이며,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
혈 우측 목욕궁(沐浴宮)에서 득수한 물이 장생수(長生水), 양수(養水) 태수(胎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에 모여 절향(絶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向) 앞 절궁(絶宮)으로 물이 빠져나가므로 당문파(堂門破)이며, 이를 당면출살법(當面出煞法)이라 한다.
당문파는 물이 곧장 빠져나가면 안되고 구불구불하게 천천히 흐르면서 파구가 완벽하게 관쇄(關鎖)되어 백보전란(百步轉欄)에 불견직거(不見直去)해야 한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절향절류는 주로 대부대귀(大富大貴)에 인정흥왕(人丁興旺)한다.
그러나 용약비혈(龍弱非穴)이나 파구되는 물이 지지자(地支字)를 범하면 패절빈궁(敗絶貧窮)하므로 불가경용(不可輕用)이다. 또한 좌수도우(左水到右)하여 당면직거(當面直去)하면 견동토우(牽動土牛)하므로 비패즉절(非敗卽絶)이 우려된다.
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곤(坤) 곤신(坤申) 간좌곤향(艮坐坤向), 인좌신향(寅坐申向)
화국(火局) 건(乾) 건해(乾亥) 손좌건향(巽坐乾向), 사좌해향(巳坐亥向)
금국(金局) 간(艮) 간인(艮寅) 곤좌간향(坤坐艮向), 신좌인향(辛坐寅向)
수국(水局) 손(巽) 손사(巽巳) 건좌손향(乾坐巽向), 해좌사향(亥坐巳向)

7) 쇠향태류 (衰向胎流)
사국(四局) 태궁(胎宮)으로 물이 파구되고, 정국(正局) 12포태의 쇠향(衰向)을 쇠향태류(衰向胎流)라 한다. 물은 혈 좌측 또는 혈 앞에서 득수하여 명당으로 들어오는 조입당전(朝入堂前)해서, 혈 우측을 감싸고돌아 혈좌(穴坐) 바로 우측 태궁(胎宮) 천간자(天干字)로 파구된다. 우선룡(右旋龍)이 원칙이다.
혈 좌측 목욕궁(沐浴宮)에서 득수한 물이 관대수(冠帶水), 임관수(臨官水), 제왕수(帝旺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쇠향(衰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병(病), 사(死), 묘(墓), 절(絶)의 흉한 기운을 모두 태궁(胎宮)으로 유출시킨다.
태향태류는 백호는 없고 청룡이 혈장을 완전하게 감아준 형태이며, 주산과 주룡이 낮아 혈 우측 뒤로 파구가 보여야 하기 때문에 산간지(山間地)에서는 불가능하며 평양지(平洋地)에서만 가능하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쇠향태류는 발부발귀(發富發貴)에 복수쌍전(福壽雙全)한다.
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경(庚) 을진(乙辰) 신좌을향(辛坐乙向), 술좌진향(戌坐辰向)
화국(火局) 임(壬) 정미(丁未) 계좌정향(癸坐丁向), 축좌미향(丑坐未向)
금국(金局) 갑(甲) 신술(辛戌) 을좌신향(乙坐辛向), 진좌술향(辰坐戌向)
수국(水局) 병(丙) 계축(癸丑) 정좌계향(丁坐癸向), 미좌축향(未坐丑向)

8) 자생향 (自生向)
사국(四局)의 정고(正庫)로 파구되고, 정국(正局) 12포태로는 절향(絶向)인데 향상작국(向上作局)을 하여 향상생향(向上生向)을 자생향(自生向)이라 한다. 본국(本局)으로 따지면 타국(他局)의 정고(正庫)를 빌려 파구되므로 차고소수(借庫消水)라고도 하며, 스스로 남의 정고를 빌려 생향을 만들었다하여 자생향(自生向)이라고 부른다.
정국으로는 절향(絶向)이지만 향상으로는 생향(生向)이므로 절처봉생(絶處逢生)이란 용어를 쓴다.
물은 우측 본국 목욕궁(沐浴宮)에서 득수하여 장생수(長生水), 양수(養水), 태수(胎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절향(絶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 좌측 묘궁(墓宮)으로 파구된다. 그러나 향상작국을 하면 물의 득수처는 향상왕궁(向上旺宮)으로 향상임관수(向上臨官水), 향상관대수(向上冠帶水), 향상목욕수(向上沐浴水)의 기운이 되며 향상생궁(向上生宮)에서 혈의 향과 만나 향상양궁(向上養宮)으로 파구된다. 물은 반드시 우수도좌(右水到左)하여야 하며,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자생향(自生向)이면 조빈석부(朝貧夕富)에 부귀왕정(富貴旺丁)이라 하여 매우 길한 향이다.
그러나 좌수도우(左水到右)는 대흉(大凶)하다.
本局 破口 향(向) 向上作局 좌 향 (坐 向)
木局 丁未 곤신(坤申) 向上水局 간좌곤향(艮坐坤向), 인좌신향(寅坐申向)
火局 辛戌 건해(乾亥) 向上木局 손좌건향(巽坐乾向), 사좌해향(巳坐亥向)
金局 癸丑 간인(艮寅) 向上火局 곤좌간향(坤坐艮向), 신좌인향(申坐寅向)
水局 乙辰 손사(巽巳) 向上金局 건좌손향(乾坐巽向), 해좌사향(亥坐巳向)


9) 자왕향 (自旺向) 사국(四局)의 정고(正庫)로 파구되고, 정국 12포태로는 사향(死向)인데 향상작국(向上作局)을 하여 향상왕향(向上旺向)을 자왕향(自旺向)이라 한다. 본국(本局)으로 따지면 타국(他局)의 정고(正庫)를 빌려 파구되므로 차고소수(借庫消水)라 하고, 스스로 남의 정고를 빌려 왕향을 만들었다하여 자왕향(自旺向)이라고 부른다. 정국으로는 사향(死向)이지만 향상으로는 왕향(旺向)이므로 화사위자왕향(化死爲自旺向)이란 용어를 쓴다. 물은 좌측 본국 임관궁(臨官宮)에서 득수하여 제왕수(帝旺水), 쇠수(衰水), 병수(病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사향(死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 우측 묘궁(墓宮)으로 파구된다. 그러나 향상작국을 하면 물의 득수처는 향상생궁(向上生宮)으로 향상목욕수(向上沐浴水), 향상관대수(向上冠帶水), 향상임관수(向上臨官水)의 기운이 되며 향상왕궁(向上旺宮)에서 혈의 향과 만나 향상쇠궁(向上衰宮)으로 파구된다. 물은 반드시 좌수도우(左水到右)하여야 하며, 우선룡(右旋龍)이 원칙이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자왕향(自旺向)이면 남총여수(男聰女秀)에 부귀정재(富貴丁財)가 왕성한 매우 길한 향이다. 그러나 우수도좌(右水到左)는 대흉(大凶)하다.本局 破口 향(向) 向上作局 좌 향 (坐 向)
木局 丁未 병오(丙午) 向上火局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火局 辛戌 경유(庚酉) 向上金局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金局 癸丑 임자(壬子) 向上水局 병좌임향(丙坐壬向), 오좌자향(午坐子向)
水局 乙辰 갑묘(甲卯) 向上木局 경좌갑향(庚坐甲向), 유좌묘향(酉坐卯向)


10) 문고소수 (文庫消水)
사국(四局) 정국(正局) 태궁(胎宮)으로 파구되고, 정국 12포태로는 절향(絶向)이며 향상작국(向上作局)으로는 향상목욕궁(向上沐浴宮)으로 파구되고 향상생향(向上生向)이 되는 것을 문고소수(文庫消水)라 한다.
물은 좌측 본국(本局) 쇠궁(衰宮)에서 득수하여 병수(病水), 사수(死水), 묘수(墓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들어와 절향(絶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 우측 태궁(胎宮)으로 파구 된다. 그러나 향상작국을 하면 물의 득수처는 향상묘궁(向上墓宮)으로 향상절수(向上絶水), 향상태수(向上胎水), 향상양수(向上養水)의 기운이 되며 향상생궁(向上生宮)에서 혈의 향과 만나 향상목욕궁(向上沐浴宮)으로 파구된다. 물은 반드시 좌수도우(左水到右)하여야 하며, 우선룡(右旋龍)이 원칙이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문고소수(文庫消水)는 이른바 녹존유진(祿存流盡)이면 패금어(佩金魚)라 하여 필출(必出) 총명수재(聰明秀才)하여 특출문장(特出文章)에 부귀쌍전(富貴雙全)이다.
그러나 조금만 어긋나도 비음패절(非淫敗絶)이라 하였으니 불가경용(不可輕用)이다. 또 우수도좌(右水到左)는 대흉(大凶)하다.
本局 破口 향(向) 向上作局 좌 향 (坐 向)
木局 庚酉 곤신(坤申) 向上水局 간좌곤향(艮坐坤向), 인좌신향(寅坐申向)
火局 壬子 건해(乾亥) 向上木局 손좌건향(巽坐乾向), 사좌해향(巳坐亥向)
金局 甲卯 간인(艮寅) 向上火局 곤좌간향(坤坐艮向), 신좌인향(申坐寅向)
水局 丙午 손사(巽巳) 向上金局 건좌손향(乾坐巽向), 해좌사향(亥坐巳向)

11) 목욕소수 (沐浴消水)
사국(四局)의 본국(本局) 12포태로는 태궁(胎宮)으로 파구되고 목욕향(沐浴向)이며, 향상작국(向上作局)으로는 향상목욕궁(向上沐浴宮)으로 파구되고 향상왕향(向上旺向)이 되는 것을 목욕소수(沐浴消水)라고 한다.
물은 우측 본국(本局) 쇠궁(衰宮)에서 득수하여 제왕수(帝旺水), 임관수(臨官水), 관대수(冠帶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들어와 목욕향(沐浴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 좌측으로 돌아 장생수(長生水), 양수(養水)와 함께 태궁(胎宮)으로 파구된다. 그러나 향상작국을 하면 물의 득수처는 향상묘궁(向上墓宮)으로 향상사수(向上死水), 향상병수(向上病水), 향상쇠수(向上衰水)의 기운이 되며 향상왕궁(向上旺宮)에서 혈의 향과 만나 향상임관(向上臨官水), 향상관대수(向上冠帶水)와 함께 향상목욕궁(向上沐浴宮)으로 파구된다. 물은 반드시 우수도좌(右水到左)하여야 하며,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목욕소수(沐浴消水)는 이른바 녹존유진(祿存流盡)이면 패금어(佩金魚)라 하여 필발부귀(必發富貴)에 인정창성(人丁昌盛)한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어긋나거나 물이 지지자(地支字)를 침범하면 비음즉절(非淫卽絶)이라 하였으니 불가경용(不可輕用)이다. 또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는 대흉(大凶)하다.
本局 破口 향(向) 向上作局 좌 향 (坐 向)
木局 庚 임자(壬子) 向上水局 병좌임향(丙坐壬向), 오좌자향(午坐子向)
火局 壬 갑묘(甲卯) 向上木局 경좌갑향(庚坐甲向), 유좌묘향(酉坐卯向)
金局 甲 병오(丙午) 向上火局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水局 丙 경유(庚酉) 向上金局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5) 불립 6향 (不立六向)
파구(破口)가 각 국의 묘, 고장궁(墓, 庫藏宮)일 때 입향(立向)할 수 없는 태향(胎向), 목욕향(沐浴向), 관대향(冠帶向), 임관향(臨官向),, 쇠향(衰向), 병향(病向) 등 6개의 향을 불립 6향(不立六向)이라 한다.
예를 들어 정미(丁未) 파구(破口)는 목국(木局)의 묘, 고장궁(墓, 庫藏宮)이다. 이 때 경유(庚酉)는 태향(胎向), 임자(壬子)는 목욕향(沐浴向), 계축(癸丑)은 관대향(冠帶向), 간인(艮寅)은 임관향(臨官向), 을진(乙辰)은 쇠향(衰向), 손사(巽巳)는 병향(病向)이다.
만약 불립 6향에 해당되는 방위로 향을 놓으면 용혈(龍穴)이 좋지 않은 곳에서는 패가상정(敗家傷丁), 즉 집안이 망하고 젊은 사람이 다친다. 설사 용진혈적지(龍眞穴的地)라 하더라도 이기(理氣)에 따른 재앙은 면할 수 없다.
각 국의 불립 6향을 도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불립 6향표(不立六向)
사국 (四局) 파구 (破口) 태향 (胎向) 목욕향 (沐浴向) 관대향 (冠帶向) 임관향 (臨官向) 쇠향 (衰向) 병향 (病向)
목국 (木局) 정미 (丁未) 경유 (庚酉) 임자 (壬子) 계축 (癸丑) 간인 (艮寅) 을진 (乙辰) 손사 (巽巳)
화국 (火局) 신술 (辛戌) 임자 (壬子) 갑묘 (甲卯) 을진 (乙辰) 손사 (巽巳) 정미 (丁未) 곤신 (坤申)
금국 (金局) 계축 (癸丑) 갑묘 (甲卯) 병오 (丙午) 정미 (丁未) 곤신 (坤申) 신술 (辛戌) 건해 (乾亥)
수국 (水局) 을진 (乙辰) 병오 (丙午) 경유 (庚酉) 신술 (辛戌) 건해 (乾亥) 계축 (癸丑) 간인 (艮寅

출처 : 김기찬의 부동산아카데미
글쓴이 : 운영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