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 擇日定局
주로 造葬日만을 가린다. 앞서의 각 項目에서는 造葬 年月日時를 한 定局에서
각각 가렸으나 여기서는 다만 造葬日만을 가린다.
1. 진태양전차(眞太陽躔次) : 太陽의 周天度數(28宿)에 의한 造葬擇日法이다.
周天하는 眞太陽이 坐山에 照臨하는 날을 가려 造葬하면 능히 百煞을 제압하고 百福을 기약할 수 있다. 그러므로 擇日에 앞서 24 각 坐山에 眞太陽이 정확하게 照臨하는 時點을 알아야 한다. 이의 정확한 계측을 위해 輪圖는 一坐山을 5分金으로 劃定分割하고 28宿의 각 分度를 기준으로 이를 計定하고 있다. 즉 太陽은 한 分金을 3日間에 걸쳐 周天하는 바 一坐山은 15日이 걸리고 一雙坐山은 한달이 걸린다. 그리하여 한 節侯가 바뀌고 이어 宇宙萬象에는 변화가 오게 된다. 春夏秋冬의 4계절의 변화는 각각 90日(3個月)이며 1年歲月은 太陽의 一廻周天으로 이루어진다.
各社刊行 “天機大要”에는 24 坐山別 運行照臨表를 잘 정리하여 놓았으니 생략한다. 運行照臨表에 있는 初一日, 初二日, 十二日등은 첫째날(第一日), 둘째날(第二日), 열이틀째(第十二日)날로 해석해야 된다.
2. 眞太陰定局
太陰 즉 달(月)의 運行에 따라 定하는 造葬擇日法이다. 地球의 自轉에 의한 매월 한 차례씩 삭망(朔望 : 음력 초하루와 보름)周廻하는 太陰眞髓가 坐山에 照臨하는 날을 가려 造葬하면 百煞이 제압되고 百福이 降臨한다. 특히 太陰은 壬子 庚酉 丙午 甲卯의 四正方에 위치한 각 坐山에는 각각 3日間씩 管領照臨하고 기타 雙山에는 각각 二日間씩 머물러 비춰 준다.
早見表는 省略하니 天機大要를 참조하기 바람.
3. 七君下臨日 : 北斗七星 중에서 吉星이 下臨하는 날을 가려 造葬日 혹은 祈禱日을 定하는 擇日法.
七君(北斗七星)이란 貪狼 巨門 祿存 文曲 廉貞 武曲 破軍 등 七星으로 人間禍福에 크게 영향을 주는 별이다.
각종 用事는 이 중에서 吉星位인 貪狼 巨門 武曲이 下臨하는 날을 가려 造葬 혹은 建屋하거나 天神과 山川에 祈禱하면 크게 發福한다.
※ 七君下臨日 早見表. (七君下臨日)
子月 (11월) |
初3日 |
初7日 |
初8日 |
15日 |
25日 |
27日 |
|
|
丑月 (12月) |
〃 |
〃 |
〃 |
〃 |
26日 |
〃 |
|
|
寅月 (正月) |
〃 |
〃 |
15日 |
22日 |
26日 |
〃 |
|
|
卯月 (二月) |
〃 |
〃 |
初8日 |
15日 |
22日 |
26日 |
27日 |
|
辰月 (三月) |
〃 |
〃 |
〃 |
〃 |
〃 |
〃 |
〃 |
|
巳月 (四月) |
〃 |
〃 |
〃 |
〃 |
〃 |
〃 |
〃 |
|
午月 (五月) |
〃 |
〃 |
〃 |
〃 |
〃 |
〃 |
〃 |
|
未月 (六月) |
〃 |
〃 |
〃 |
〃 |
〃 |
〃 |
〃 |
|
申月 (七月) |
〃 |
〃 |
〃 |
〃 |
〃 |
27日 |
|
|
酉月 (八月) |
〃 |
〃 |
〃 |
11日 |
15日 |
19日 |
22日 |
27日 |
戌月 (九月) |
〃 |
〃 |
〃 |
15日 |
19日 |
22日 |
27日 |
|
亥月 (十月) |
〃 |
〃 |
〃 |
〃 |
22日 |
27日 |
28日 |
|
|
- |
- |
- |
- |
- |
- |
- |
- |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기타 吉凶日法-1 (0) | 2010.03.28 |
---|---|
[스크랩] 擇日定局 -2(黃黑道吉凶定局 (0) | 2010.03.28 |
[스크랩] 造葬 年月日時 定局法-走馬六壬定局 外4 (0) | 2010.03.28 |
[스크랩] 造葬年月日時定局法-尊帝二星定局(天河轉運) : 制煞 (0) | 2010.03.28 |
[스크랩] 三元紫白定局(2) (0) | 2010.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