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스크랩] 造葬 年月日時 定局法-走馬六壬定局 外4

십장생1 2010. 3. 28. 10:16

6. 走馬六壬定局 : 陽山은 陽年月日時에, 陰山은 陰年月日時에 造葬하는 法.

이 法 또한 通天竅捷法과 함께 흔히 활용하는 葬擇法이다.

본 定局의 陰陽區分은 地支를 기준으로 하며 正五行을 사용한다.

陽坐山 : 壬子 艮寅 乙辰 丙午 坤申 辛戌 坐山

陰坐山 : 癸丑 甲卯 巽巳 丁未 庚酉 乾亥 坐山

陽年月日時 : 子 寅 辰 午 申 戌.

陰年月日時 : 丑 卯 巳 未 酉 亥.

예를 들면 壬子坐 혹은 辛戌坐는 陽坐山이므로 陽年月日時인 壬申年 九月(庚戌月) 二十日(甲子日) 午時에 造葬하면 年月日時가 다같이 陽局이 되어 合法有吉하다.


7. 眞帝星定局. : 칠성두강(七星 斗罡: 北斗七星)은 四時와 十二月을 管領하여 윤회(輪廻)하고 만물을 化育시키고 亨通하게 하므로 이를 眞帝星이라 한다.

그러므로 眞帝星이 周廻管領하는 時期와 坐山에 造葬하면 發福大吉한다.

眞帝星은 十二節의 入節時刻부터 每一日에 一度씩 滿三十日 五時 二刻(一刻은 十五分)에 一宮(月)을 진행하여 周天度數인 365도 1/4을 1年 12節을 약 365日에 한차례씩 周廻한다.  그러나 地上에서 편리상 이를 360度로 줄여서 大輪圖 1分金마다 3度씩 分劃하여 실용한다.

眞帝星은 立春節日에는 艮坐 己丑分金半부터 驚蟄日前 甲坐 戊寅分金半까지 사이의 30日間을 管領한다. 즉 立春日부터 驚蟄日前까지는 眞帝星이 艮坐(下半) 寅坐 甲坐(上半)에 照臨한다.     

①.寅坐(立春-驚蟄) : 立春日부터 艮下半(己丑分金下半)에서 제1日을 일으켜 30日은 甲上半(戊寅分金上半)에서 그친다. (陽 2月4日前後-3月5日前後)

(艮下半은 7.5日, 寅은 15일, 甲上半은 7.5日)

②. 卯坐(驚蟄-淸明) : 驚蟄日부터 甲下半(戊寅分金下半)에서 제1日을 일으켜

30日은 乙上半(己卯分金上半)에서 그친다. (3月5日前後-4月5日前後)

(甲下半은 7.5日, 卯는 15日, 乙上半은 7.5日)

③. 辰坐(淸明-立夏) : 淸明日부터 乙下半(己卯分金下半)에서 제1日을 일으켜

30日은 巽上半(戊辰分金上半)에서 그친다. (4月5日前後-5月5日前後)

(乙下半은 7.5日, 辰은 15日, 巽上半은 7.5日)

④. 巳坐(立夏-芒種) : 立夏日부터 巽下半(戊辰分金下半)에서 제1日을 일으켜

30日은 丙上半(己巳分金上半)에서 그친다. (5月5日前後-6월6日前後)

(巽下半은 7.5日, 巳는 15日, 丙上半은 7.5日)

⑤. 午坐(芒種-小暑) : 芒種日부터 丙下半(己巳分金下半)에서 제1日을 일으켜

30日은 丁上半(戊午分金上半)에서 그친다. (6月6日前後-7月7日前後)

(丙下半은 7.5日, 午는 15日, 丁上半은 7.5日)

⑥. 未坐(小暑-立秋) : 小暑日부터 丁下半(戊午分金下半)에서 제1日을 일으켜

30日은 坤上半(己未分金上半)에서 그친다. (7月7日前後-8월7日前後)

(丁下半은 7.5日, 未는 15日, 坤上半은 7.5日)

⑦. 申坐(立秋-白露) : 立秋日부터 坤下半(己未分金下半)에서 제1日을 일으켜

30日은 庚上半(戊申分金上半)에서 그친다. (8月7日前後-9월8日前後)

(坤下半은 7.5日, 申은 15日, 庚上半은 7.5日)

⑧. 酉坐(白露-寒露) : 白露日부터 庚下半(戊申分金下半)에서 제1日을 일으켜

30日은 辛上半(己酉分金上半)에서 그친다. (9月8日前後-10月8日前後)  

(庚下半은 7.5日, 酉는 15日, 辛上半은 7.5日)

⑨. 戌坐(寒露-立冬) : 寒露日부터 辛下半(己酉分金下半)에서 제1日을 일으켜

30日은 乾上半(戊戌分金上半)에서 그친다. (10月8日前後-11月7日前後)

(辛下半은 7.5日, 戌은 15日, 乾上半은 7.5日)

⑩. 亥坐(立冬-大雪) : 立冬日부터 乾下半(戊戌分金下半)에서 제1日을 일으켜

30日은 壬上半(己亥分金上半)에서 그친다. (11月7日前後-12월7日前後)

(乾下半은 7.5日, 亥는 15日, 壬上半은 7.5日)

⑪. 子坐(大雪-小寒) : 大雪日부터 壬下半(己亥分金下半)에서 제1日을 일으켜

30日은 癸上半(戊子分金上半)에서 그친다. (12月7日前後-1月5日前後)

(壬下半은 7.5日, 子는 15日, 癸上半은 7.5日)

⑫. 丑坐(小寒-立春) : 小寒日부터 癸下半(戊子分金下半)에서 제1日을 일으켜

30日은 艮上半(己丑分金上半)에서 그친다. (1月5日前後-2月4日前後)

(癸下半은 7.5日, 丑은 15日, 艮上半은 7.5일)


8. 星馬貴人定局. : 이 定局에 合局造葬하면 發應富貴가 最速이라 한다.

申子辰 年月日時에는 艮寅 丙午 辛戌坐山이 星馬貴人이다.

亥卯未 年月日時에는 巽巳 庚酉 癸丑坐山이   〃

寅午戌 年月日時에는 坤申 壬子 乙辰坐山이   〃

巳酉丑 年月日時에는 乾亥 甲卯 丁未坐山이   〃

이 定局은 造葬 年月日時와 坐山이 水火相沖 木金相沖으로 相互成局함이 특이하고, 陽年月日時에는 陽山, 陰年月日時에는 陰山이 合局이라는 점에 있어서 他 定局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것이다.

走馬六壬定局과 竝用하면 速發富貴하는 葬擇法이라 한다.


9. 四利帝星壓煞定局. : 八凶星 年月日時는 피하고 다음의 四吉星의 年月日時만을 合局取用하면 能壓諸煞하고 必發厚福한다는 좋은 葬擇法이다.


※早見表

 

太陽

太陰

龍德

福德

예를 들면 子年에 移葬運이 닿으면 丑卯未酉의 4個月 가운데서 적당한 달을 택하는데 만약 그 중에서 卯月(2월)을 정하였다면 卯月下 辰午戌子日 가운데서 가리고(이 날은 四利星과 得合한 날임) 辰午戌子日 중에서 戌日로 정하였다면 戌日下의 亥丑巳未時 가운데서 적절한 것을 擇하되 4個의 時중에서 當年(子年)이 있는 時를 찾아서 정해야 한다. 이는 時로서 年과 合하는 것이니

何時를 막론하고 시간에서는 當年의 太歲와 同一한 時間을 擇해야 한다.

즉 年에서 月을 定하고 定한 月에서 日을 定하고 또한 定한 日辰에서 時를 定하되 時辰에서 當年과 같은 時間을 가리어 定하는 것이다.


10. 都天轉運年月日時總局 : 본 總局은 造葬 年月日時의 吉神(九星)이 갖추어 비추는 坐山에 造葬하면 自成一局이 聚吉하여 大吉하다는 葬擇法이다.

본 總局의 吉星은 貪狼 巨門 武曲이다.(祿存도 可能함) 그러므로 坐向에 三吉星이 동시에 비추어 주는 一局 年月日時를 가려 擇하면 合法이다.


※早見表

貪狼

巨門

祿存

文曲

廉貞

武曲

破軍

左輔

右弼

  

예를 들면 子寅辰午 年月日時에는 中宮이 貪狼, 乾宮이 巨門, 坎宮이 武曲이다. 그러므로 戌乾亥坐向(乾宮) 壬子癸坐向(坎宮)의 造葬은 子寅辰午 年月日時를 擇하면 大發한다.


출처 : 풍수와부동산
글쓴이 : 佳山(周長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