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所謂 淨陰淨陽法에 대한 理解를 圖謀하고자 한 것이고, 아울러 陰宅風水 九星法의 埃星法에 대한 理解를 겸했습니다.(티끌애)
▶ 九星이란 貪狼, 巨門, 祿存, 文曲, 廉貞, 武曲, 破軍, 輔弼 等의 아홉 個 별을 말하고 애성(挨星)이란 별을 밀어서 進行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八宅風水의 大有年 埃星法의 正當性(眞理됨)을 辯護하기 위한 것입니다
易學 一般과 周易 卦象에 대한 基本 素養만 所有했다면, 모든 분이 理解하실 수 있도록 썼습니다.
破軍 → 祿存 → 巨門 → 貪狼 → 文曲 → 廉貞 → 破軍 → 武曲 → 輔弼
위의 次序로 進行(埃星)하는 시스템은 九星水法 가운데 後天水法입니다.
▶ 아래 卦列 參照
文曲 → 祿存 → 巨門 → 貪狼 → 廉貞 → 破軍 → 武曲 → 輔弼
위의 次序로 埃星하는 系列은 九星水法 가운데 輔星水法입니다.
▶ 아래 卦列 參照
淨陰卦는 先天圖의 四隅(모퉁이우, 네 귀퉁이)에 位上하는 卦象을 말하고(震‧巽‧兌‧艮),
淨陽卦는 先天圖의 四正에 位上하는 卦象을 말합니다.(乾‧坤‧坎‧離)
▶ 아래 先天圖 參照
淨陰卦로 始作한 卦列은 淨陰卦가 吉하고, 淨陽卦로 始作한 卦列은 淨陽卦가 吉합니다.
▶ 아래에 가령장(假令章)을 들어봅니다.
아래의 卦列은 離卦(淨陽卦)를 風水의 九星法으로 飜卦(뒤칠번)하여 펼쳐 놓은 것입니다.
輔星水法의 埃星法입니다.
本卦인 離卦에서 上爻가 變해서 文曲星이 되고, 中爻가 變해서 祿存星이 되고, 下爻가 變해서 巨文星이 되는 式입니다.
文曲星(震卦☳)과 祿存星(兌卦☱)은 淨陰卦인데, 本卦(離卦)가 淨陽卦이므로 純一하지 못해 凶합니다.
巨文星(坎卦☵)과 貪狼星(坤卦☷)은 淨陽卦인데 本卦(離卦☲)가 淨陽卦이므로 純一하여 吉합니다
나머지는 이와 같은 式이므로 省略!!
★ 九星의 吉/凶 表 參照
吉星 | 凶星 |
貪狼 | 破軍 |
巨門 | 廉貞 |
武曲 | 文曲 |
輔弼 | 祿存 |
다음은 本卦가 淨陰卦인 境遇의 假令章을 들어봅니다.(예를 들면)
아래는 震卦(☳)를 本卦로 한 九星法의 卦列인데, 震卦는 淨陰卦이고, 埃星法은 後天水法입니다.
破軍星(離卦☲)과 祿存星(乾卦☰)는 淨陽卦인데, 本卦인 震卦(☳)가 淨陰卦이므로 純一하지 못해 凶합니다.
巨門星(巽卦☴)과 貪狼星(艮卦☶)는 淨陰卦인데, 本卦인 震卦(☳)가 淨陰卦이므로 純一하여 吉합니다.
나머지는 이와 같기에 省略합니다 !!
아래의 그림을 보면서 淨陰 淨陽에 대해서 說明하려고 합니다.
아래 둥그런 卦列은 本卦를 震卦로 始作해서,
一上離卦 → 二中乾卦 → 三下巽卦 → 四中艮卦 → 五上坤卦 → 六中坎卦 → 七下 兌卦 → 八中震卦로 進行하는 卦列입니다.
中爻를 除外하고, 下爻와 上爻에 “+” 記號와 “-” 記號를 그려 놓았는데,
陰과 陽이 짝이 맞는 卦象은 “淨陰卦” 이고,
陰과 陽이 偏僻된 卦上은 “淨陽卦”입니다.(치우칠편, 후미질벽)
(1.마음이나생각이공정하지못하고한쪽으로치우침 2.중심에서떨어져구석으로치우침)
먼저 ..
안쪽에 있는 下爻의 陰陽의 進行을 보면, + + + + - - - - 로 돼 있고,
바깥쪽에 있는 上爻의 陰陽의 進行을 보면 역시, + + + + - - - - 로 돼 있습니다.
그런데 中爻의 陰陽을 보면, + + - - + + - - 이와 같이 陰陽이 섞여 있어서, 바로 곁에 있는 卦象과 陰陽의 짝이 맞습니다.
아래의 卦列을 보면서 말씀드려 보면.
本卦는 震卦이고,
破軍卦(離卦☲)와 祿存卦(乾卦☰)는 上爻와 下爻가 같은 陽爻이기 때문에 淨陽卦이고, 이들의 中爻는 하나(離卦☲)는 陰爻이고 하나(乾卦☰)는 陽爻이므로, 陰陽의 짝이 맞는다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破軍星과 祿存星은 같이 凶星이 됩니다.
★ 九星의 吉/凶 表 參照
吉星 | 凶星 |
貪狼 | 破軍 |
巨門 | 廉貞 |
武曲 | 文曲 |
輔弼 | 祿存 |
다음. 巨門卦(巽卦☴)와 貪狼卦(艮卦☶)는 上爻와 下爻가 陰陽이 달라서 淨陰卦이고, 이들의 中爻는, 하나(巽卦☴)는 陽爻이고 하나(艮卦☶)는 陰爻이어서, 陰陽의 짝이 맞는다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巨文星과 貪狼星은 같이 吉星이 됩니다.
中爻를 보면,
陰이면 陰 陽이면 陽으로 吉星과 凶星 서로를 排斥하지만, 서로 자기들 끼리는 짝을 맞춰 붙어있습니다.
陰宅風水에 天地卦法이라는 埃星法이 存在합니다.
主旨하시는 一上生氣 → 二中天醫 式으로 進行하는 이른바 生氣福德法입니다.
여기에 埃星하기를.
貪狼 → 巨門 → 祿存 → 文曲 → 廉貞 → 武曲 → 破軍 → 輔弼
이와 같이 埃星했는데, 이는 어떤 緣由로 이와 같은 埃星法을 遵用하게 되었을까요?
答은 아래와 같습니다.
北斗七星에 左輔 右弼을 더하여 九星이 되었고, 貪狼에서 始作해서 左輔 右弼에서 끝을 맺습니다.
卽, 이 九星의 順序를 그대로 좇아서 進行한 埃星法이 天地卦法이고,生氣福德法이고, 小遊年입니다.
▶ 아래 그림은 蔣宗城斗杓七政截法還原圖입니다. 地理 玄龍經 參照
(자루표, 끊을절)
아래의 掛圖는 先天圖와 洛書 九宮數를 配合해 놓은 것입니다. 坤卦 엄마의 數는 1이고, 巽卦 長女의 數는 2, 中女 離卦의 數는 3, 少女 兌卦의 數는 4입니다.
乾卦 아버지의 數는 9이므로, 坤卦 엄마의 數와 合하면 9 + 1 = 10
震卦 長男의 數는 8이므로, 巽卦 長女의 數와 合하면. 8 + 2 = 10
坎卦 中男의 數는 7이므로, 離卦 中女의 數와 合하면 7 + 3 = 10
艮卦 막내의 數는 6이므로, 兌卦 少女의 數와 合하면. 6 + 4 = 10
지금까지 陽宅風水(八宅風水)의 埃星法에 대한 論文을 몇 篇 읽었지만, 卦象에 대한 깊은 理解가 缺如되었기 때문에, 그 論文들 만으로 陽宅의 理致를 유루없이 포괄하기엔, 그 그물코가 너무도 성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아래는 八宅風水의 이른바 東四卦의 理致를 그려 본 것입니다.
八宅風水의 大有年 埃星 順序는.
一上貪狼 → 二中廉貞 → 三下武曲 → 四中文曲 → 五上祿存 → 六中巨
門 → 七下破軍 → 八中輔弼
★ 貪狼(生氣) → 廉貞(五鬼) → 武曲(延年) → 文曲(六殺) → 祿存(禍害) → 巨門(天醫) → 破軍(絶命) → 輔弼(伏位)
東四卦는 坎離震巽인바, 이들의 卦上 相互間엔 恒常 5. 10, 15로 묶이고 ,
★ 위에 先天圖와 洛書九宮數를 配合한 그림을 參照해서 理解하셔야 합니다.
즉. 離卦의 數는 3이고, 坎卦의 數는 7이므로, 合하면 3 + 7 = 10 이 되는 式입니다.
같은 卦氣인 三八木, 二七火 等으로 묶이게 됩니다.
二七火 三八木은 陽이죠.
아래는 西四卦의 例를 들어봤는데 .
亦是 原理는 위의 東四卦의 理致와 完全 同一합니다.
一六數, 四九金으로 묶였는데, 一六水 , 四九金은 곧 陰입니다.
이해하셨겠지만,
이와 같이 八宅風水의 大有年 埃星法은, 陰宅風水의 九星法과 시스템이 전혀 다릅니다.
方今 活動하시는 그 어느 風水선생님도, 陽宅風水(八宅風水) 埃星法에 대한 깊은 關心을 傾注하시지 않았기에, 위와 같은 理致를 말씀하지 못 하셨습니다.
어느 교수님께서는 大有年 埃星法은 誤謬이므로 陰宅의 九星法을 따라야 한다고 하셨지만,
이는 괘상의 理致에 대한 理解를 缺如하신 것이고, 오히려 淨陰淨陽法과는 關係없는 八宅風水의 大有年 埃星法은 淨陰淨陽法을 준용하는 陰宅의 九星法과는 判然히 그 시스템을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