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스크랩] 불립 6향 (不立六向)

십장생1 2016. 5. 18. 19:05

2). 불립6향(不立六向)
파구(破口)가 각 국의 묘(墓), 즉, 고장궁(庫藏宮)일 때 입향(立向)이 불가(不可)한 태향(胎向), 목욕향(沐浴向), 관대향(冠帶向), 임관향(臨官向), 쇠향(衰向), 병향(病向) 등 6개의 향을 불립6향(不立六向)이라 한다.

예를 들어 정미(丁未) 파구(破口)는 목국(木局)의 묘(墓)다. 이 때 경유(庚酉)향은 태향(胎向), 임자(壬子)향은 목욕향(沐浴向), 계축(癸丑)향은 관대향(冠帶向), 간인(艮寅)향은 임관향(臨官向), 을진(乙辰)향은 쇠향(衰向), 손사(巽巳)향은 병향(病向)이다.
만약 불립6향의 방위로 향을 놓게되면 용혈(龍穴)이 좋지 않은 곳에서는 패가상정(敗家傷丁), 즉 집안이 망하고 젊은 사람들이 다친다. 즉, 용진혈적(龍眞穴的)한 혈(穴)이라 하더라도 이법(理法)에 따른 재앙이 우려된다.

▲ 불립6향표

3). 살인대황천(殺人大黃泉), 본국태향절파(本局胎向絶破),
향상왕향관파(向上旺向官破)
용진혈적(龍盡穴的)한 혈(穴)을 구했다하더라도 가장 두려운 것은 나경(羅經) 1층의 용상팔살(龍上八殺)과 살인대황천수다.
만일 불행하게도 이 두 개의 대살(大殺)을 범하면 백전백패(百戰百敗)하여 결국 자손(子孫)의 대(代)가 끊긴다.
→ 물이 우선수(右旋水)하여 경유(庚酉)향에 곤(坤)파, 병오(丙午)향에 손(巽)파, 갑묘(甲卯)향에 간(艮)파, 임자(壬子)향에 건(乾)파로 나가면 살인대황천수(殺人大黃泉水)가 된다.
→ 충파향상임관(沖破向上臨官)이고, 본국(本局)의 충록(冲祿)이 된다.
→ 물이 향상(向上)의 관궁(官宮)을 치고, 또한 본국의 절방(絶方)인 녹궁(祿宮)까지 치는 꼴이다.
이것은 자손이 성장하여 벼슬길(官)에 들어섰는데, 물이 관궁을 치고 나감으로써 죽음을 당하는 꼴이다. 그리고, 본국(本局)의 재록(財祿)을 관장하는 복궁(福宮)까지 치니, 명예와 재물 모두를 잃는다.
→ 재앙(災殃)이 나타나면 먼저 둘째 자손이 패절(敗絶)하고, 차차 다른 자손으로 옮겨가는데, 결국 모든 자손이 망하는 무서운 살(殺)이다.

(1) 정경곤상 시황천(丁庚坤上 是黃泉)
경유향(庚酉向)에, 물이 우선수(右旋水)하여 곤방(坤方)으로 파구(破口)되면 정경(丁庚)의 살인대황천수가 되었다.
즉, 경유(庚酉) 향은 향상작국(向上作局)하면 금국(金局)이 되고, 물이 치고 나가는 곤방(坤方)은 향상(向上)의 임관궁(臨官宮)이다. 12포태법(胞胎法)상 임관궁은 자손이 학업을 마치고, 관직(官職)에 등용되어, 가정을 꾸려 젊은 기상을 한창 드높이는 단계인데, 물이 관궁(官宮)을 쳐버리니 실패(失敗)와 함께 죽음을 당하는 꼴이다. 또한 곤파구(坤破口)는 본국(本局), 목국(木局)의 절(絶)이 되어, 구성법(九星法)상 녹존(祿存)인 복궁(福宮)에 해당한다. 즉, 물이 본국의 복궁과 함께 향상 임관궁을 동시에 치고 나가니 양균송의 퇴신수법(退身水法)으로 패절절사(敗絶絶死)가 된다.

(2) 을병수방 손수선(乙丙須防 巽水先)
병오향(丙午向)에 물이 우선수(右旋水)하여 손방(巽方)으로 파구(破口)되어 을병(乙丙)의 살인대황천수다.
즉, 병오(丙午)향은 향상작국(向上作局)으로 화국(火局)이고, 물이 치고 출수(出水)하는 손방(巽方)은 향상(向上)의 임관궁(臨官宮)이다. 12포태법(胞胎法)상 임관궁은 자손이 학업을 마치고, 관직에 등용되어, 가정을 꾸려 젊은 기상을 한창 드높이는 단계인데, 물이 관궁(官宮)을 쳐버리니 실패(失敗), 또는 죽음을 당하는 꼴이다. 또한 손파구(巽破口)는 본국(本局), 수국(水局)의 절(絶)로, 구성법(九星法)상 녹존(祿存)인 복궁(福宮)이다. 그런데, 물이 본국의 복궁과 함께 향상 임관궁을 치고 나가니 양균송의 퇴신수법(退身水法)으로, 패절절사(敗絶絶死)한다.

(3) 계갑향중 우견간(癸甲向中 憂見艮)
갑묘향(甲卯向)에 물이 우선(右旋)하여 간방(艮方)에 파구(破口)된다. 갑묘향(甲卯向)에 물이 우선(右旋)하여 간방(艮方)으로 파구(破口)되어 계갑(癸甲)의 살인대황천수가 되었다.
즉, 갑묘(甲卯)향은 향상작국(向上作局)하여 목국(木局)이고, 물이 치고 출수(出水)하는 간방(艮方)은 향상(向上)의 임관궁(臨官宮)에 해당한다. 12포태법(胞胎法)상 임관궁은 자손이 학업을 마치고, 관직에 등용되어, 가정을 꾸리고, 젊은 기상을 한창 드높일 단계인데, 물이 관궁(官宮)을 쳐버리니 실패(失敗), 또는 죽음을 당한 꼴이다. 또한 간파구(艮破口)는 본국(本局), 금국(金局)의 절(絶)로, 구성법(九星法)상 녹존(祿存)인 복궁(福宮)이다. 그런데, 물이 동시에 본국의 복궁과 함께 향상 임관궁을 치고 나가니 양균송의 퇴신수법(退身水法)으로, 패절절사(敗絶絶死)된다.

(4) 신임수로 파당건(辛壬水路 破當乾)
임자향(壬子向)에 물이 우선수(右旋水)하여 건방(乾方)으로 출수(出水)된다.
임자향(壬子向)에 물이 우선(右旋)하여 건방(乾方)으로 파구(破口)되어 본국의 화국(火局)인 신(辛)과 신자진(申子辰), 향상작국(向上作局)하여 수국(水局)의 임(壬)으로, 신임(辛壬), 살인대황천수가 되었다.
즉, 임자(壬子)향은 향상작국(向上作局)하여 수국(水局)위 왕(旺)이 되었는데, 물이 치고 나가는 건방(乾方)은 향상(向上)의 임관궁(臨官宮)에 해당된다. 12포태법(胞胎法)상 임관궁은 자손이 학업을 마치고, 관직에 등용하여, 가정을 꾸려, 젊은 기상을 한창 드높일 단계인데, 물이 관궁(官宮)을 쳐버리니 실패(失敗), 또는 죽음을 당한 꼴이 되었다. 또한 건파구(乾破口)는 본국(本局), 화국(火局)의 절(絶)이 되어, 구성법(九星法)상 녹존(祿存)인 복궁(福宮)이다. 그런데, 물이 본국의 복궁과 향상의 임관궁을 쳐버리니 양균송의 퇴신수법(退身水法)으로, 패절절사(敗絶絶死)한다.

4). 살인소황천(殺人小黃泉), 양향태파(養向胎破),
향상묘향사파(向上墓向死破)
이 살은 주로 양향(養向)에서 성립된다. 즉, 정미(丁未), 신술(辛戌), 계축(癸丑), 을진(乙辰) 등 각국(各局)의 양향(養向)이고, 우선수(右旋水)하여 태방(胎方), 소수(消水)함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정록(丁祿)은 재오(在午), 신록(辛祿)은 재유(在酉), 계록(癸祿)은 재자(在子), 을록(乙祿)은 재묘(在卯)인데, 본국(本局)의 녹위(祿位)가 되는 자오묘유(子午卯酉), 태궁(胎宮)을 물이 치고 나가니 이것이 살인소황천이다.
→ 물이 임자(壬子)파에 계축(癸丑)향, 갑묘(甲卯)파에 을진(乙辰)향, 병오(丙午)파에 정미(丁未)향, 경유(庚酉)파에 신술(辛戌)향이다.
→ 충록소황천(沖祿小黃泉), 충파향상사위(沖破向上死位)
→물이 태방(胎方)으로 흘러가 녹궁(祿宮)을 치고, 향상(向上)의 수명(壽命)을 관장하는 사궁(死宮)으로 나가니 살인소황천이라 한다.
→ 녹궁(祿宮)을 쳐 자손들이 빈한(貧寒)하고, 또한 사궁으로 나가니 결국 자손들이 요절(夭折)하여 과부들이 줄줄이 나온다. 간혹 장수(長壽)하는 자손들도 있지만 결국 쇠퇴해져 손이 끊기도 만다.
→ 만약, 천간자(天干字)가 아닌 지지자(地支字)로 물이 빠져나가거나, 또한 향(向)의 지지자(地支字) 방위에 창이나 칼처럼 생긴 악석(惡石)이 보이면 포악한 자손이 출생하여 싸움과 다툼을 좋아하게 된다.

-목국(木局): 경유파(庚酉破)에 신술향(辛戌向)
-화국(火局): 임자파(壬子破)에 계축향(癸丑向)
-금국(金局): 갑묘파(甲卯破)에 을진향(乙辰向)
-수국(水局): 병오파(丙午破)에 정미향(丁未向)

출처 : 인천공인중개사 포럼
글쓴이 : 김성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