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는 수 천억 개의 별들이 있다. 그 중에서 인간이 살고 있는 지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별은 해(日)와 달(月)과 금성(金星) 수성(水星) 목성(木星) 토성(土星) 화성(火星), 즉 칠요(七曜)와 28 성수(星宿) 등이 있다.
28성수(星宿)
각(角) 항(亢) 저(氐 ) 방(房) 심(心) 미(尾) 기(箕)
두(斗) 우(牛) 여(女) 허(虛) 위(危) 실(室) 벽(壁)
규(奎) 루(婁) 위(胃) 앙(昻) 필(畢) 자(觜) 삼(參)
정(井) 귀(鬼) 류(柳) 성(星) 장(張) 익(翼) 진(軫)
이러한 별의 '무리'는 지상에 조림(照臨)하여 산의 형태를 만들고 혈에 조응하여 인간의 길흉화복에 관계한다. 이때 혈(음택)에 조응하는 방위가 바로 6층 인반중침이며, 이를 서로 작용시키는 오행은 성수오행(星宿五行)혹은 숙도오행이라고 명하는 특수오행이다.
28성수와 형상
숙도오행 조견표
砂格 /향 |
乾,坤,艮,巽 |
甲,庚,丙,壬 子,午,卯,酉 |
乙,辛,丁,癸 |
辰,戌,丑,未 |
寅,申,巳,亥 | |
木 |
火 |
土 |
金 |
水 | ||
乾,坤,艮,巽 |
木 |
比和 왕 (吉) |
生我 생 (吉) |
剋我 살 (凶) |
我剋 노 (吉) |
我生 설 (凶) |
甲,庚,丙,壬子,午,卯,酉 |
火 |
我生 설 (凶) |
比和 왕 (吉) |
生我 생 (吉) |
剋我 살 (凶) |
我剋 노 (吉) |
乙,辛,丁,癸 |
土 |
我剋 노 (吉) |
我生 설 (凶) |
比和者 왕 (吉) |
生我 생 (吉) |
剋我 살 (凶) |
辰,戌,丑,未 |
金 |
剋我 살 (凶) |
我剋 노 (吉) |
我生 설 (凶) |
比和 왕 (吉) |
生我 생 (吉) |
寅,申,巳,亥 |
水 |
生我 생 (吉) |
剋我 살 (凶) |
我剋 노 (吉) |
我生 설 (凶) |
比和 왕 (吉) |
나경의 인반중침은 천체의 실제 위치를 나타낸다.
우주 공간에서 '굴절'되어 들어온 가시광을 원래 위치로 복원시킨 것이 천반봉침 이라면 '회절'된 천체(별)를 원래 위치로 환원시킨 것이 인반중침이다. 즉 시각적인 천체의 위치를 실제 위치로 환원시킨 것이다.
그러므로 성수오행에 따라 발사법(發砂法)을 구사함에 있어서 음택과 양택의 나경 운용을 마땅히 달리해야 한다. 음택은 천반향과 인반사를 견주어 보고 양택에서는 모든 것을 지반으로 발사한다.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점혈법1 (0) | 2015.02.02 |
---|---|
[스크랩] 토색론및 혈심법 1 (0) | 2015.02.02 |
[스크랩] 명리학의 대가 공은영 원장님의 육효 오행과 육십갑자 3 (0) | 2014.12.08 |
[스크랩] 육효-六親(육친)을 붙이는 법 (0) | 2014.12.04 |
[스크랩] 가택구성법 (0) | 2014.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