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스크랩] 전통 양택-家宅九星論

십장생1 2013. 5. 14. 07:19

4. 家宅 九星論


가택구성법은 主家 또는 출입문을 기본으로 하며 門(대문) 主(안방) 灶(조-부엌) 등 陽宅三要를 위시하여 객실, 옥내의 각방, 우물 화장실, 하수구, 창고 등 기타 집안의 각종 편의시설물의 位置吉凶을 하나하나를  판단하는 방법이다.(陽宅 三要인 경우는 특히 子午卯酉 乾坤艮巽의 正中央線에서 약간 비껴있어야 된다)

최근의 아파트라든가 사무실 점포 등은 전통의 가옥과 건물과는 많은 차이가 있어 家相九星法의 적용에 있어 異論(中心點, 起頭設定 등)이 많다. 과거에는 이와 같은 건축물이 없었거나 그리 흔하지 않아 이에 관한 理論定立(이론정립)이 미진하기 때문이다. 특히 구성법의 기본이 되는 起頭設定方法(기두설정방법)에서 더욱 異說이 많다. 즉 아파트의 高房(안방)基準論(기준론)과 玄關 基準論(현관기준론), 사무실 점포의 社長席 기준론과 출입문 기준론 등이 그 대표적인 주장이다. 아파트 사무실 점포 등의 가상구성법에 의한 길흉판단은 애매한 안방과 사장석 기두방법에 집착하지 말고 출입문을 기준하여 각 室房(실방)과 각종 구조와 시설에 대한 배치위치에 대한 길흉판단이 옳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안방(高房 重重之處)과 사장석의 위치는 이 경우에도 역시 가장 중요한 곳이므로 출입문에 의한 감정에서도 門房(문방)의 合宮은 필연적 요건이 되므로 소흘히 해서는 안된다.

 

1). 家宅九星法


一上生氣, 二中五鬼, 三下延年, 四中六煞, 五上禍害, 六中天乙, 七下絶命, 八中輔弼(伏吟)이 가택구성이다. 이의 운용은 主家宮位(起頭點)를 本卦로 하고 上指先動法(상지선동법)으로 飜卦運用(번괘운용)하는 것이며 그 순서는 절대불변이다.


①. 一上 生氣는 貪狼(탐랑)으로 家運盛昌(가운성창)에 速發富貴(속발부귀)한다.

②. 二中 五鬼는 廉貞(염정)으로 多病短命(다병단명)에 不息凶事(불식흉사)이다.

③. 三下 延年은 武曲(무곡)으로 登位得財(등위득재)에 旺丁高壽(왕정고수)한다.

④. 四中 六煞은 文曲(문곡)으로 敗家傷丁(패가상정)에 官災刑獄(관재형옥)이다.

⑤. 五上 禍害는 祿存(녹존)으로 多災損財(다재손재)에 短命乏嗣(단명핍사)한다.

⑥. 六中 天乙은 巨門(거문)으로 富貴多福(부귀다복)에 家盛吉祥(가성길상)이다.

⑦. 七下 絶命은 破軍(파군)으로 多病短命(다병단명)에 不息災殃(불식재앙)이다.

⑧. 八中 輔弼은 輔弼(보필)로 百事順坦(백사순탄)에 慶事가 중중하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알기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손가락

명칭을 上․中․下指로 붙였다.) 

運用 順序는 一上生氣는 上指를 꾸부려 붙이고, 二中五鬼는 中指를 그림②와 같이 붙이고, 三下延年은 下指마저 拇指와 더불어 꾸부려 붙이면 그림③이 되며, 四中六煞은 中指만 떼어 그림④와 같이 만들고, 五上禍害는 上指도 떼어 그림⑤와 같이 만들고, 六中天乙은 中指를 다시 꾸부려 그림⑥과 같이 만들고, 七下絶命은 下指만을 떼어 그림⑦의 모양과 같이 만들고, 八中輔弼은 中指를 떼면 그림⑧과 같이 왼손가락을 전부 편다.


2). 가택구성법의 운용


가택구성법은 大門 主房(큰방) 廚房(부엌)의 양택삼요와 옥내의 각방, 객실, 우물(수도), 등은 吉星宮位인 생기, 연년, 천을, 보필 등 四吉星位에 배치되어야 得氣旺盛(득기왕성)하여 發福安居(발복안거)하게 되는 것이며, 화장실, 창고, 하수구 등은 凶星位인 五鬼, 六煞, 禍害, 絶命의 四凶星位에 배치되어야 도리어 惡氣漏洩(악기누설)로 健康長壽(건강장수)하는 것이다.

구성법의 운용은 主家宮位를 기본괘로 하고 上指先動法(상지선동법)으로 각 위치의 길흉을 導出引用(도출인용)한다.  이 때에 主家(起頭)가 坎 離 震 巽(감리진손) 등 東四宅의 집이면 그 집의 대문(출입문) 主房(큰방) 廚房(주방) 등 중요한 곳의 위치도 감리진손의 동사택의 방위에 있어야 그 곳이 좋은 방위가 된다.

만약 乾坤艮兌(건곤간태) 등 서사택의 궁위에 배치되어 있으면 그 곳은 五鬼 六煞 禍害 絶命 등 흉바위가 되어 丁財(정재)가 불리하게 된다.

西四宅 역시 같은 이치와 방법이다. 乾 坤 艮 兌 등 서사택 집은 門 主 灶(조-부엌) 등의 위치가 건 곤 간 태의 서사택의 宮位에 있으면 그 곳은 좋은 궁위가 되고, 감 리 진 손의 동사택의 궁위에 있게 되면 흉한 궁위가 된다. 東▪西四宅의 집을 물문하고 화장실, 창고, 하수구 등은 서로 상반되는 위치 즉 흉방위에 있어야 무병장수하게 된다.     


(1) 坎宮宅(東四宅)의 경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동사택의 이상적인 배치.


  가택구성법에 의한 坎宮宅의 대문 등 각종 시설물의 길흉은 다음과 같다.

①. 그림처럼 대문이 巽方(동남)에 있으면 생기궁이다.

生氣門은 富貴顯達(부귀현달)한다고 한다.

②. 북쪽의 안방은 보필궁이다.

輔弼의 안방은 太平安居(태평안거)한다고 한다.

③. 동쪽의 주방(부엌)은 천을궁이다.

  天乙의 주방은 貴人我助(귀인아조)의 주방이 된다.

④. 부모의 방이 乾方(건방)에 있다면 육살궁이 된다.

六煞의 부모방은 부모의 身弱多病(신약다병)이 우려된다.

⑤. 만약 동쪽에 장남방을 두게되면 천을궁으로 장남의 登科昇級(등과승급)이 기대된다.


(2). 乾宮宅(西四宅)의 경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서사택의 이상적인 배치.



①. 남서쪽의 대문은 연년궁으로 無病長壽가 기대된다.

②. 북서쪽의 안방은 보필궁으로 太平安居하게 된다.

③. 북동쪽의 주방은 천을궁으로 매사가 발전하게 된다.

④. 남서쪽에 거실이 있으면 연년궁으로 매사가 亨通한다.


출처 : 풍수와부동산
글쓴이 : 佳山(周長官) 원글보기
메모 :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후천팔괘  (0) 2013.05.29
[스크랩] 주역 64괘 모양과 64괘 이름  (0) 2013.05.15
[스크랩] 팔문의 길흉론  (0) 2013.02.24
[스크랩] 팔문 포국법  (0) 2013.02.24
[스크랩] 팔괘 포국법  (0) 2013.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