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법론(穴法論)
옛부터 穴法에 관한 學說이 구구하다 그 중에서도 定坐立向에 주로 많이 쓰이고 陰陽理法上 근거가 분명한 몇 가지만 선별하여 설명한다.
1, 길격입향법(吉格立向法)
1)취관 정좌입향법(催官 定坐立向法)
취관편(催官篇)에 있는 立向法으로 정좌입향(定坐입향)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入 首 龍 |
좌(坐) |
임룡(壬龍) |
子坐午向, 艮坐坤向, 辛坐乙向 |
자룡(子龍) |
子坐午向, 艮坐坤向 |
계룡(癸龍) |
艮坐坤向, 子坐午向 |
축룡(丑龍) |
壬坐丙向 |
간룡(艮龍) |
癸坐丁向, 甲坐庚向, 壬坐丙向, 乙坐辛向, 卯坐酉向, 丑坐未向 |
인룡(寅龍) |
艮坐坤向, 寅坐申向, 子坐午向 |
갑룡(甲龍) |
巽坐乾向, 艮坐坤向 |
묘룡(卯龍) |
甲坐庚向, 卯坐酉向, 乙坐辛向 |
을룡(乙龍) |
艮坐坤向 |
진룡(辰龍) |
艮坐坤向, 巽坐乾向 |
손룡(巽龍) |
乙坐辛向, 巳坐亥向, 甲坐庚向 |
사룡(巳龍) |
巳坐亥向 |
병룡(丙龍) |
乙坐辛向, 坤坐艮向 |
오룡(午龍) |
丙坐壬向, 丁坐癸向, 午坐子向 |
정룡(丁龍) |
坤坐艮向 |
미룡(未龍) |
坤坐艮向 |
곤룡(坤龍) |
丁坐癸向, 辛坐乙向 |
신룡(申龍) |
丁坐癸向, 庚坐甲向 |
경룡(庚龍) |
酉坐卯向, 坤坐艮向 |
유룡(酉龍) |
坤坐艮向, 酉坐卯向, 乾坐巽向 |
신룡(辛龍) |
酉坐卯向, 坤坐艮向 |
술룡(戌龍) |
辛坐乙向, 庚坐甲向, 戌坐辰向 |
건룡(乾龍) |
辛坐乙向, 庚坐甲向, 戌坐辰向 |
해룡(亥龍) |
壬坐丙向, 乾坐巽向, 癸坐丁向, 酉坐卯向 |
2)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
(1)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 개요(槪要)
(2) 八十八向法의 基本原則
팔십팔향법에 의해서 좌향을 결정하고 운영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원칙이 있다.
① 나경패철 24방위를 12쌍산(雙山) 배합으로 운용한다.
임(壬),자(子),계(癸),축(丑),간(艮),인(寅),갑(甲),묘(卯),을(乙),진(辰),손(巽),사
(巳),병(丙),오(午),정(丁),미(未), 곤(坤),신(申),경(庚),유(酉)신(辛),술(戌),건(乾),
해(亥) 24방위를 양인 4유8천간(四維八天干)과 음인 12지지(地支)를 음양이 서
로 배합되도록 배열한 것이 쌍산(雙山)이다. 이를 정리하면 임자(壬子), 계축(癸
丑), 간인(艮寅), 갑묘(甲卯),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 정미(丁未), 곤
신(坤申), 경유(庚酉), 신술(辛戌), 건해(乾亥)가 된다. 이때 오행은 지지(地支)오
행을 따르며 불배합(不配合) 쌍산은 사용하지 않는다.
②파구(破口)를 중심으로 사국(四局)을 결정한다.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오행 중 토(土)는 중앙을 나타내므로 빠지
고 목국(木局), 화국(火局), 금국(金局), 수국(水局)의 사국(四局)을 가지고 운용
한다.각국의 결정은 보국(保局) 안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파구(破口)를 기준으로
한다. 목국은 정미(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이고, 화국은 신술(辛戌), 건해
(乾亥), 임자(壬子)이며, 금국은 계축(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이고, 수국은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이다.
③향(向)을 기준으로 국(局)을 정할 때는 삼합오행(三合五行)으로 한다.
향을 기준으로 사국(四局)을 정하는 것을 향상작국(向上作局)이라 하며 이때 오
행은 삼합오행(三合五行)이다. 해묘미(亥卯未)는 목(木)이므로 향이 건해(乾亥),
갑묘(甲卯), 정미(丁未)일 때는 향상목국(向上木局)이 되며, 인오술(寅午戌)은 화
(火)이므로 간인(艮寅), 병오(丙午), 신술(辛戌) 향은 향상화국(向上火局)이고, 사
유축(巳酉丑)은 금(金)이므로 손사(巽巳), 경유(庚酉), 계축(癸丑)은 향상금국(向
上金局)이 되며, 신자진(申子辰)은 수(水)이므로 곤신(坤申), 임자(壬子), 을진(乙
辰) 향은 향상수국(向上水局)이다.
④득수(得水)한 물이 혈의 향과 음양교배(陰陽交配)하는 물을 기준한다.
팔십팔향법은 의수입향(依水立向)이 원칙이지만 모든 물이 다 입향(立向)의 의지
수(依支水)가 아니다. 오직 혈을 감싸고돌아 향과 마주보고 음양교배할 수 있는
물만이 의지수다. 혈의 좌측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을 감싸고돌아 우측으로 파
구(破口)되는 좌수도우(左水倒右)하는 물이나, 우측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을 감
싸고돌아 좌측으로 파구되는 우수도좌(右水倒左)하는 물을 보고 입향을 한다.
아무리 크고 좋은 물이라도 혈 앞을 지나지 않으면 용수교배(龍水交配)를 할 수
없다. 따라서 물의 대소(大小)에 구애받지 말고 항상 용혈(龍穴)을 감싸고 흐르
는 물을 기준 해야 한다.
⑤좌선룡(左旋龍)에 우선수(右旋水), 우선룡(右旋龍)에 좌선수(左旋水)가 원칙이지만 지나친 제약을 받지 말라.
용이 혈을 결지(結地)하는 방법에 우선룡(右旋龍)에 좌선수(左旋水), 좌선룡(左旋
龍)에 우선수(右旋水)가 원칙이다. 그러나 실제 용진혈적(龍眞穴的)한 곳이라도
이를 가늠하기 어려운 곳이 많다. 따라서 용의 좌우선(左右旋)에 지나친 제약을
받지 말고 좌우 어떠한 물이든 확실하게 용혈(龍穴)을 감싸주는 물이 혈의 향과
음양교배 할 수 있는 물이다.
⑥내파(內破)가 우선이고, 외파(外破)는 차선이다.
혈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은 혈에서 제일 가까운 물이다. 대부분 혈지
는 내파(內破)와 외파(外破)가 같은 방위에 있는 경우가 많으나 다른 경우도 있
다. 이럴 경우 내파와 외파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방위로 입향(立向)해야 한
다. 그러나 불가능할 경우에는 내파를 우선하고 외파는 다음이다. 내파 기준 입
향은 당대(當代) 혹은 빠른 시기의 길흉을 관장하고, 외파 기준 입향은 후대(後
代) 혹은 늦은 시기의 길흉을 관장한다.
⑦파구(破口)는 혈 앞을 지나는 물이 최종적으로 나가는 곳이다.
물은 산 따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이 원칙이다. 비록 좌청룡 우백
호가 낮아 보이지 않더라도 청룡 또는 백호가 물길 따라 있다고 생각해야 된다.
물이 흐른다는 것은 지세가 그와 같은 형태로 되어있다는 뜻이다. 좌청룡 우백
호가 서로 교차한 지점에서 좌우수가 합수(合水)되고 보국 밖으로 나간다. 따라
서 혈 앞을 지나는 물이 다른 물과 합수되는 지점이 내당수(內堂水)가 최종적으
로 나가는 파구(破口)다. 내파(內破)는 이곳의 방위를 나경패철 8층 천반봉침(天
盤縫針)으로 측정하여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3) 十二胞胎 得破水의 吉凶禍福
12포태 궁위의 득수와 파구처에 대한 기본적인 길흉화복은 다음과 같다.
①절, 태수 (絶, 胎水)
절태궁(絶胎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아이가 생기지 않아
자손이 끊기고, 부자(父子)간에는 불목(不睦)하고 부부간에는 불화(不和)한다.
절태수가 장대(長大)하면 여인이 음란하게 된다. 반대로 절태궁으로 파구되면
모든 자손이 나란히 발전하나 작은 벼슬과 작은 부자가 된다.
②양, 생수 (養, 生水)
양궁(養宮)이나 장생(長生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모든 자
손이 균등하게 대발복하여 문명 높은 자손과 부귀(富貴)가 기약된다.반대로 양
궁이나 생궁으로 파구되면 어릴 때 집안이 망하며, 도박과 사치로 집안을 망하
게 한다. 특히 청상과부와 단명한 자손이 우려된다.
③목욕수 (沐浴水)
목욕궁(沐浴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제주는 뛰어나나 사
치와 음란으로 패가망신한다.반대로 목욕궁으로 파구되면 문장과 그림에 뛰어
나 풍류를 즐기고, 작은 부자가 된다.
④관대수 (冠帶水)
관대궁(冠帶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칠세아동능작시(七
世兒童能作詩)’라 하여 모든 자손이 잘되며, 총명한 자손이 나와 이름과 가문을
빛낸다.반대로 관대궁으로 파구되면 자손과 재물에 발전이 없고 고아나 과부가
나오며 집안은 가난해진다.
⑤임관수 (臨官水)
임관궁(臨官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소년등과(少年登科)에
관로(官路)가 양양하다.반대로 임관수로 파구되면 ‘성재지자조귀음(成才之子早
歸陰)’이라 하여 집안의 대들보가 될 똑똑한 자손이 빨리 죽는다.
⑥제왕수 (帝旺水)
제왕궁(帝旺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부귀쌍전(富貴雙全)하
고 대대장상(代代將相)이 기약된다.반대로 제왕궁으로 파구되면 석숭(石崇)같은
거부(巨富)도 하루아침에 패망하고 전사자(戰死者)가 나온다.
⑦쇠방수 (衰方水)
쇠방수(衰方水)는 득수한 물이나 파구되는 물 모두 길하다. 쇠방에서 득수한 물
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거나 파구되면 총명한 자손이 소시등과(少時登科)하여
그 문명(文名)이 드높다.
⑧병, 사수(病, 死水)
병궁(病宮)이나 사궁(死宮)에서 득수하거나 파구되면 모두 흉하다. 득수나 파구
모두 이혼, 병사(病死), 전상(戰傷) 등 재앙이 우려된다. 그러나 득수는 흉하지만
파구는 길하다는 이론도 있다.
⑨묘, 고장수 (墓, 庫藏水)
묘궁(墓宮) 즉 고장궁(庫藏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에 들어오면 모든 자
손이 발전이 없으며, 사람이 상하고 집안이 망한다.반대로 묘궁으로 파구되면
부귀하고 자손이 번창하는 길격이 된다.
(4) 불립 6향 (不立六向)
파구(破口)가 각 국의 묘, 고장궁(墓, 庫藏宮)일 때 입향(立向)할 수 없는 태향(胎向), 목욕향(沐浴向), 관대향(冠帶向), 임관향(臨官向),, 쇠향(衰向), 병향(病向) 등 6개의 향을 불립 6향(不立六向)이라 한다. 예를 들어 정미(丁未) 파구(破口)는 목국(木局)의 묘, 고장궁(墓, 庫藏宮)이다. 이 때 경유(庚酉)는 태향(胎向), 임자(壬子)는 목욕향(沐浴向), 계축(癸丑)은 관대향(冠帶向), 간인(艮寅)은 임관향(臨官向), 을진(乙辰)은 쇠향(衰向), 손사(巽巳)는 병향(病向)이다. 만약 불립 6향에 해당되는 방위로 향을 놓으면 용혈(龍穴)이 좋지 않은 곳에서는 패가상정(敗家傷丁), 즉 집안이 망하고 젊은 사람이 다친다. 설사 용진혈적지(龍眞穴的地)라 하더라도 이기(理氣)에 따른 재앙은 면할 수 없다.
(5) 八十八向法의 種類
팔십팔향법에는 정생향(正生向), 정왕향(正旺向), 자생향(自生向), 자왕향(自旺
向), 정양향(正養向), 정묘향(正墓向), 문고소수(文庫消水), 목욕소수(沐浴消水),
태향태류(胎向胎流), 절향절류(絶向絶流), 쇠향태류(衰向胎流)의 11개 종류가 있
다.이들은 목국, 화국, 금국, 수국에 각각 하나씩 있으므로 44개 향이 되고, 쌍
산 배합이기 때문에 모두 88향이 된다. 나경패철의 24방위로 파구와 향을 측정
하여 놓을 수 있는 좌향(坐向)의 종류는 이론상 576개다. 이중 88향만 길한 것
이고 나머지 488향은 흉하다. 11개의 향법 중 사국법(四局法)을 기준하여 정국
(正局)으로 입향(立向)할 수 있는 향은 정생향(正生向), 정왕향(正旺向), 정양향
(正養向), 정묘향(正墓向), 태향태류(胎向胎流), 절향절류(絶向絶流), 쇠향태류
(衰向胎流) 등 7개 향법이고, 향상작국(向上作局)을 하여 변국(變局)으로 입향할
수 있는 향법은 자생향(自生向), 자왕향(自旺向), 문고소수(文庫消水), 목욕소수
(沐浴消水) 등 4개다. 자생향(自生向)과 자왕향(自旺向)의 뜻은 스스로 생향(生
向)과 왕향(旺向)을 얻는다는 의미에서 이름 붙여진 것이다. 향상작국(向上作局)
은 향을 중심으로 물의 득수처와 파구처 그리고 향의 길흉화복을 구체적으로 확
인할 수 있는 수법이다. 향상으로 득수처와 향은 길한 궁위(宮位)여야 하고, 파
구는 흉한 궁위(宮位)여야 길하다.
①정생향(正生向)
사국(四局)의 묘(墓), 고장궁(庫藏宮)으로 파구(破口)되고, 정국(正局) 12포태의
생향(生向)을 정생향(正生向)이라 한다. 물은 우측 왕궁(旺宮)에서 득수(得水)하
여 혈 앞 명당을 지난 다음 좌측으로 파구되는 우수도좌(右水倒左)하여야 하며,
용은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혈 우측 제왕궁(帝旺宮)에서 득수한 물은 임관
수(臨官水), 관대수(冠帶水), 목욕수(沐浴水)의 길한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생향(生向)에서 혈에 좋은 기운을 공급해주고 묘궁(墓宮)으로 파구된다. 이
를 왕거영생(旺去迎生)이라 한다. 물이 12포태의 왕궁(旺宮)에서 득수하고 생궁
(生宮)에서 향과 만나 묘궁(墓宮)으로 파구되니 생왕묘(生旺墓) 삼합(三合)이 이
루어지면서 혈을 금성전요(錦城纏腰)하는 길국형세(吉局形勢)가 된다.용진혈적
(龍眞穴的)에 정생향(正生向)이면 주로 부귀쌍전(富貴雙全)하고 처현자효(妻賢子
孝)하여 오복(五福)이 임문(臨門)한다.
그러나 좌수도우(左水倒右)는 소망패절(少亡敗絶)에 도산가빈(倒産家貧)이 우려
된다.
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정미(丁未)
건해(乾亥)
손좌건향(巽坐乾向), 사좌해향(巳坐亥向)
화국(火局)
신술(辛戌)
간인(艮寅)
곤좌간향(坤坐艮向), 신좌인향(申坐寅向)
금국(金局)
계축(癸丑)
손사(巽巳)
건좌손향(乾坐巽向), 해좌사향(亥坐巳向)
수국(水局)
을진(乙辰)
곤신(坤申)
간좌곤향(艮坐坤向), 인좌신향(寅坐申向)

②정왕향(正旺向)
사국(四局)의 묘(墓), 고장궁(庫藏宮)으로 파구되고, 정국 12포태의 왕향(旺向)을
정왕향(正旺向)이라고 한다. 물은 좌측 생궁(生宮)에서 득수하여 혈 앞 명당을
지난 다음 우측으로 파구되는 좌수도우(左水倒右)하여야 하며, 용은 우선룡(右
旋龍)이 원칙이다.혈 좌측 장생궁(長生宮)에서 득수한 물은 목욕수(沐浴水), 관
대수(冠帶水), 임관수(臨官水)의 길한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왕향(旺
向)에서 혈에 좋은 기운을 공급해주고 묘궁(墓宮)으로 파구된다. 이를 생래회왕
(生來會旺)이라 한다.물이 12포태의 생궁(生宮)에서 득수하고 왕궁(旺宮)에서 향
과 만나 묘궁(墓宮)으로 파구되니 생왕묘(生旺墓) 삼합(三合)이 이루어지면서 혈
을 옥대전요(玉帶纏腰)하는 길국형세(吉局形勢)가 된다.용진혈적(龍眞穴的)에 정
왕향(正旺向)이면 주로 부귀상전(富貴雙全)에 필출(必出) 총명영재(聰明英才)하
여 필발귀현(必發貴顯)에 발부왕정(發富旺丁)한다.
그러나 우수도좌(右水倒左)는 대흉(大凶)하다.
사국(四局) | 파구(破口) | 향(向) | 좌 향 (坐 向) |
목국(木局) | 정미(丁未) | 갑묘(甲卯) | 경좌갑향(庚坐甲向), 유좌묘향(酉坐卯向) |
화국(火局) | 신술(辛戌) | 병오(丙午) |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
금국(金局) | 계축(癸丑) | 경유(庚酉) |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
수국(水局) | 을진(乙辰) | 임자(壬子) | 병좌임향(丙坐壬向), 오좌좌향(午坐子向) |
![]() ![]()
|
③정양향(正養向)
사국(四局)의 절태궁(絶胎宮)으로 파구되고, 정국(正局)의 12포태의 양향(養向)
을 정양향(正養向)이라고 한다. 물은 혈 우측에서 득수하여 혈 앞 명당을 지난
다음 좌측으로 파구되는 우수도좌(右水倒左)하여야 하며, 용은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혈 우측 임관궁(臨官宮)에서 득수한 물은 관대수(冠帶水), 목욕수(沐浴
水), 장생수(長生水)의 길한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양향(養向)에서 혈
에 기운을 공급해주고 절태궁(絶胎宮)으로 파구된다. 이를 귀인녹마상어가(貴人
祿馬上御街)라 하며 혈을 금성환포(錦城環抱)하는 길국형세(吉局形勢)다.용진혈
적(龍眞穴的)에 정양향(正養向)이면 정재양왕(丁財兩旺)에 공명현달(功名顯達)하
고 발복이 가장 큰 지리(地理) 중 최고의 향이다.그러나 좌수도우(左水倒右)는
대흉(大凶)하다.
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곤신(坤申)
신술(辛戌)
을좌신향(乙坐辛向), 진좌술향(辰坐戌向)
화국(火局)
건해(乾亥)
계축(癸丑)
정좌계향(丁坐癸向), 미좌축향(未坐丑向)
금국(金局)
간인(艮寅)
을진(乙辰)
신좌을향(辛坐乙向), 술좌진향(戌坐辰向)
수국(水局)
손사(巽巳)
정미(丁未)
계좌정향(癸坐丁向), 축좌미향(丑坐未向)


④정묘향(正墓向)
사국(四局)의 절포궁(絶胞宮)으로 파구되고, 정국(正局)의 12포태의 묘향(墓向)
을 정묘향(正墓向)이라고 한다. 물은 혈 좌측에서 득수하여 혈 앞 명당을 지난
다음 우측으로 파구되는 좌수도우(左水倒右)하여야하며, 용은 우선룡(右旋龍)이
원칙이다.혈 좌측의 장대(長大)한 제왕궁(帝旺宮)에서 득수한 물이 쇠방수(衰方
水), 병수(病水), 사수(死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묘향(墓向)에서
혈에 기운을 공급해주고, 절포궁(絶胞宮)으로 파구된다. 그리고 우측 작은 소수
(小水)는 장생궁(長生宮)에서 득수한 물이 양수(養水), 태수(胎水)의 기운을 가지
고 절포궁(絶胞宮)에서 서로 합수(合水)하여 파구된다. 좌, 우측 물이 혈을 감싸
고 양수협출(兩水夾出)하는 길국형세(吉局形勢)가 된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정묘향(正墓向)이면 발부발귀(發富發貴)에 복수상전(福壽雙全)한다.
그러나 우수도좌(右水倒左)하면 대흉(大凶)하다.
사국(四局) | 파구(破口) | 향(向) | 좌 향 (坐 向) |
목국(木局) | 곤신(坤申) | 정미(丁未) | 계좌정향(癸坐丁向), 축좌미향(丑坐未向) |
화국(火局) | 건해(乾亥) | 신술(辛戌) | 을좌신향(乙坐辛向), 진좌술향(辰坐戌向) |
금국(金局) | 간인(艮寅) | 계축(癸丑) | 정좌계향(丁坐癸向), 미좌축향(未坐丑向) |
수국(水局) | 손사(巽巳) | 을진(乙辰) | 신좌을향(辛坐乙向), 술좌진향(戌坐辰向) |


⑤태향태류(胎向胎流)
사국(四局) 태궁(胎宮)의 천간자(天干字)로 파구되고, 정국(正局)의 12포태의 태향(胎向)을 태향태류(胎向胎流)라 한다. 물은 혈 우측에서 득수하여 명당에 모인 다음 혈 앞으로 파구되는 당문파(當門破)이며,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 혈 우측 관대궁(冠帶宮)에서 득수한 물이 목욕수(沐浴水), 장생수(長生水), 양수(養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에 모여 태향(胎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向) 앞 태궁(胎宮)으로 빠져나가므로 당문파(堂門破)이고, 당면출살법(當面出煞法)이라 한다. 당문파는 물이 곧장 빠져나가면 안되고 구불구불하게 천천히 흐르면서 파구가 완벽하게 관쇄(關鎖)되는 백보전란(百步轉欄)에 불견직거(不見直去)해야 한다.용진혈적(龍眞穴的)에 태향태류는 주로 대부대귀(大富大貴)에 인정흥왕(人丁興旺)한다.그러나 용약비혈(龍弱非穴)이 되거나 수범지지자(水犯地支字)이면 비패즉절(非敗卽絶)하므로 불가경용(不可輕用)이다. 또한 좌수도우(左水倒右)하여 당면직거(當面直去)하면 견동토우(牽動土牛)라 하여 패산적빈(敗産赤貧)이 우려된다.
사국(四局) | 파구(破口) | 향(向) | 좌 향 (坐 向) |
목국(木局) | 경(庚) | 경유(庚酉) |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
화국(火局) | 임(壬) | 임자(壬子) | 병좌임향(丙坐壬向), 오좌자향(午坐子向) |
금국(金局) | 갑(甲) | 갑묘(甲卯) | 경좌갑향(庚坐甲向), 유좌묘향(酉坐卯向) |
수국(水局) | 병(丙) | 병오(丙午) |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


⑥절향절류(絶向絶流)
사국(四局) 절궁(絶宮)의 사유자(四維字 : 乾坤艮巽)로 물이 파구되고, 정국(正
局) 12포태의 절향(絶向)을 절향절류(絶向絶流)라 한다. 물은 혈 우측에서 득수
하여 명당에 모인 다음 혈 앞으로 파구되는 당문파(堂門破)이며, 좌선룡(左旋龍)
이 원칙이다. 혈 우측 목욕궁(沐浴宮)에서 득수한 물이 장생수(長生水), 양수(養
水) 태수(胎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에 모여 절향(絶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向) 앞 절궁(絶宮)으로 물이 빠져나가므로 당문파(堂門破)이며, 이를 당면출
살법(當面出煞法)이라 한다.당문파는 물이 곧장 빠져나가면 안되고 구불구불하
게 천천히 흐르면서 파구가 완벽하게 관쇄(關鎖)되어 백보전란(百步轉欄)에 불견
직거(不見直去)해야 한다.용진혈적(龍眞穴的)에 절향절류는 주로 대부대귀(大富
大貴)에 인정흥왕(人丁興旺)한다.그러나 용약비혈(龍弱非穴)이나 파구되는 물이
지지자(地支字)를 범하면 패절빈궁(敗絶貧窮)하므로 불가경용(不可輕用)이다. 또
한 좌수도우(左水到右)하여 당면직거(當面直去)하면 견동토우(牽動土牛)하므로
비패즉절(非敗卽絶)이 우려된다.
사국(四局) | 파구(破口) | 향(向) | 좌 향 (坐 向) |
목국(木局) | 곤(坤) | 곤신(坤申) | 간좌곤향(艮坐坤向), 인좌신향(寅坐申向) |
화국(火局) | 건(乾) | 건해(乾亥) | 손좌건향(巽坐乾向), 사좌해향(巳坐亥向) |
금국(金局) | 간(艮) | 간인(艮寅) | 곤좌간향(坤坐艮向), 신좌인향(辛坐寅向) |
수국(水局) | 손(巽) | 손사(巽巳) | 건좌손향(乾坐巽向), 해좌사향(亥坐巳向) |


⑦쇠향태류(衰向胎流)
사국(四局) 태궁(胎宮)으로 물이 파구되고, 정국(正局) 12포태의 쇠향(衰向)을 쇠
향태류(衰向胎流)라 한다. 물은 혈 좌측 또는 혈 앞에서 득수하여 명당으로 들어
오는 조입당전(朝入堂前)해서, 혈 우측을 감싸고돌아 혈좌(穴坐) 바로 우측 태궁
(胎宮) 천간자(天干字)로 파구된다. 우선룡(右旋龍)이 원칙이다.혈 좌측 목욕궁
(沐浴宮)에서 득수한 물이 관대수(冠帶水), 임관수(臨官水), 제왕수(帝旺水)의 기
운을 가지고 혈 앞 당에 모여 쇠향(衰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병(病), 사(死),
묘(墓), 절(絶)의 흉한 기운을 모두 태궁(胎宮)으로 유출시킨다.태향태류는 백호
는 없고 청룡이 혈장을 완전하게 감아준 형태이며, 주산과 주룡이 낮아 혈 우측
뒤로 파구가 보여야 하기 때문에 산간지(山間地)에서는 불가능하며 평양지(平洋
地)에서만 가능하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쇠향태류는 발부발귀(發富發貴)에 복수쌍전(福壽雙全)한
다.
사국(四局) | 파구(破口) | 향(向) | 좌 향 (坐 向) |
목국(木局) | 경(庚) | 을진(乙辰) | 신좌을향(辛坐乙向), 술좌진향(戌坐辰向) |
화국(火局) | 임(壬) | 정미(丁未) | 계좌정향(癸坐丁向), 축좌미향(丑坐未向) |
금국(金局) | 갑(甲) | 신술(辛戌) | 을좌신향(乙坐辛向), 진좌술향(辰坐戌向) |
수국(水局) | 병(丙) | 계축(癸丑) | 정좌계향(丁坐癸向), 미좌축향(未坐丑向) |


⑧자생향(自生向)
사국(四局)의 정고(正庫)로 파구되고, 정국(正局) 12포태로는 절향(絶向)인데 향
상작국(向上作局)을 하여 향상생향(向上生向)을 자생향(自生向)이라 한다. 본국
(本局)으로 따지면 타국(他局)의 정고(正庫)를 빌려 파구되므로 차고소수(借庫消
水)라고도 하며, 스스로 남의 정고를 빌려 생향을 만들었다하여 자생향(自生向)
이라고 부른다.정국으로는 절향(絶向)이지만 향상으로는 생향(生向)이므로 절처
봉생(絶處逢生)이란 용어를 쓴다. 물은 우측 본국 목욕궁(沐浴宮)에서 득수하여
장생수(長生水), 양수(養水), 태수(胎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절
향(絶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 좌측 묘궁(墓宮)으로 파구된다. 그러나 향상
작국을 하면 물의 득수처는 향상왕궁(向上旺宮)으로 향상임관수(向上臨官水), 향
상관대수(向上冠帶水), 향상목욕수(向上沐浴水)의 기운이 되며 향상생궁(向上生
宮)에서 혈의 향과 만나 향상양궁(向上養宮)으로 파구된다. 물은 반드시 우수도
좌(右水到左)하여야 하며,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용진혈적(龍眞穴的)에 자
생향(自生向)이면 조빈석부(朝貧夕富)에 부귀왕정(富貴旺丁)이라 하여 매우 길한
향이다.
그러나 좌수도우(左水到右)는 대흉(大凶)하다.
本局 | 破口 | 향(向) | 向上作局 | 좌 향 (坐 向) |
木局 | 丁未 | 곤신(坤申) | 向上水局 | 간좌곤향(艮坐坤向), 인좌신향(寅坐申向) |
火局 | 辛戌 | 건해(乾亥) | 向上木局 | 손좌건향(巽坐乾向), 사좌해향(巳坐亥向) |
金局 | 癸丑 | 간인(艮寅) | 向上火局 | 곤좌간향(坤坐艮向), 신좌인향(申坐寅向) |
水局 | 乙辰 | 손사(巽巳) | 向上金局 | 건좌손향(乾坐巽向), 해좌사향(亥坐巳向) |


⑨자왕향(自旺向)
사국(四局)의 정고(正庫)로 파구되고, 정국 12포태로는 사향(死向)인데 향상작국
(向上作局)을 하여 향상왕향(向上旺向)을 자왕향(自旺向)이라 한다. 본국(本局)으
로 따지면 타국(他局)의 정고(正庫)를 빌려 파구되므로 차고소수(借庫消水)라 하
고, 스스로 남의 정고를 빌려 왕향을 만들었다하여 자왕향(自旺向)이라고 부른
다.정국으로는 사향(死向)이지만 향상으로는 왕향(旺向)이므로 화사위자왕향(化
死爲自旺向)이란 용어를 쓴다.물은 좌측 본국 임관궁(臨官宮)에서 득수하여 제
왕수(帝旺水), 쇠수(衰水), 병수(病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사향
(死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 우측 묘궁(墓宮)으로 파구된다. 그러나 향상작
국을 하면 물의 득수처는 향상생궁(向上生宮)으로 향상목욕수(向上沐浴水), 향상
관대수(向上冠帶水), 향상임관수(向上臨官水)의 기운이 되며 향상왕궁(向上旺宮)
에서 혈의 향과 만나 향상쇠궁(向上衰宮)으로 파구된다. 물은 반드시 좌수도우
(左水到右)하여야 하며, 우선룡(右旋龍)이 원칙이다.용진혈적(龍眞穴的)에 자왕
향(自旺向)이면 남총여수(男聰女秀)에 부귀정재(富貴丁財)가 왕성한 매우 길한
향이다. 그러나 우수도좌(右水到左)는 대흉(大凶)하다.
本局
破口
향(向)
向上作局
좌 향 (坐 向)
木局
丁未
병오(丙午)
向上火局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火局
辛戌
경유(庚酉)
向上金局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金局
癸丑
임자(壬子)
向上水局
병좌임향(丙坐壬向), 오좌자향(午坐子向)
水局
乙辰
갑묘(甲卯)
向上木局
경좌갑향(庚坐甲向), 유좌묘향(酉坐卯向)


⑩문고소수(文庫消水)
사국(四局) 정국(正局) 태궁(胎宮)으로 파구되고, 정국 12포태로는 절향(絶向)이
며 향상작국(向上作局)으로는 향상목욕궁(向上沐浴宮)으로 파구되고 향상생향
(向上生向)이 되는 것을 문고소수(文庫消水)라 한다.물은 좌측 본국(本局) 쇠궁
(衰宮)에서 득수하여 병수(病水), 사수(死水), 묘수(墓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들어와 절향(絶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 우측 태궁(胎宮)으로 파구
된다. 그러나 향상작국을 하면 물의 득수처는 향상묘궁(向上墓宮)으로 향상절수
(向上絶水), 향상태수(向上胎水), 향상양수(向上養水)의 기운이 되며 향상생궁(向
上生宮)에서 혈의 향과 만나 향상목욕궁(向上沐浴宮)으로 파구된다. 물은 반드
시 좌수도우(左水到右)하여야 하며, 우선룡(右旋龍)이 원칙이다.용진혈적(龍眞穴
的)에 문고소수(文庫消水)는 이른바 녹존유진(祿存流盡)이면 패금어(佩金魚)라
하여 필출(必出) 총명수재(聰明秀才)하여 특출문장(特出文章)에 부귀쌍전(富貴雙
全)이다.그러나 조금만 어긋나도 비음패절(非淫敗絶)이라 하였으니 불가경용(不
可輕用)이다. 또 우수도좌(右水到左)는 대흉(大凶)하다.
本局 | 破口 | 향(向) | 向上作局 | 좌 향 (坐 向) |
木局 | 庚酉 | 곤신(坤申) | 向上水局 | 간좌곤향(艮坐坤向), 인좌신향(寅坐申向) |
火局 | 壬子 | 건해(乾亥) | 向上木局 | 손좌건향(巽坐乾向), 사좌해향(巳坐亥向) |
金局 | 甲卯 | 간인(艮寅) | 向上火局 | 곤좌간향(坤坐艮向), 신좌인향(申坐寅向) |
水局 | 丙午 | 손사(巽巳) | 向上金局 | 건좌손향(乾坐巽向), 해좌사향(亥坐巳向) |


⑪목욕소수(沐浴消水)
사국(四局)의 본국(本局) 12포태로는 태궁(胎宮)으로 파구되고 목욕향(沐浴向)이
며, 향상작국(向上作局)으로는 향상목욕궁(向上沐浴宮)으로 파구되고 향상왕향
(向上旺向)이 되는 것을 목욕소수(沐浴消水)라고 한다.물은 우측 본국(本局) 쇠
궁(衰宮)에서 득수하여 제왕수(帝旺水), 임관수(臨官水), 관대수(冠帶水)의 기운
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들어와 목욕향(沐浴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 좌측으
로 돌아 장생수(長生水), 양수(養水)와 함께 태궁(胎宮)으로 파구된다. 그러나 향
상작국을 하면 물의 득수처는 향상묘궁(向上墓宮)으로 향상사수(向上死水), 향상
병수(向上病水), 향상쇠수(向上衰水)의 기운이 되며 향상왕궁(向上旺宮)에서 혈
의 향과 만나 향상임관(向上臨官水), 향상관대수(向上冠帶水)와 함께 향상목욕궁
(向上沐浴宮)으로 파구된다. 물은 반드시 우수도좌(右水到左)하여야 하며, 좌선
룡(左旋龍)이 원칙이다.용진혈적(龍眞穴的)에 목욕소수(沐浴消水)는 이른바 녹존
유진(祿存流盡)이면 패금어(佩金魚)라 하여 필발부귀(必發富貴)에 인정창성(人丁
昌盛)한다.그러나 조금이라도 어긋나거나 물이 지지자(地支字)를 침범하면 비음
즉절(非淫卽絶)이라 하였으니 불가경용(不可輕用)이다. 또 물이 좌수도우(左水到
右)는 대흉(大凶)하다.
本局 | 破口 | 향(向) | 向上作局 | 좌 향 (坐 向) |
木局 | 庚 | 임자(壬子) | 向上水局 | 병좌임향(丙坐壬向), 오좌자향(午坐子向) |
火局 | 壬 | 갑묘(甲卯) | 向上木局 | 경좌갑향(庚坐甲向), 유좌묘향(酉坐卯向) |
金局 | 甲 | 병오(丙午) | 向上火局 |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
水局 | 丙 | 경유(庚酉) | 向上金局 |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


(6)八十八向法 早見表
의수입향(依水入向)의 원칙에 의하여 파구(破口)를 보고(內破基準)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 또는 우수도좌(右水到左)하는지를 살핀 다음 어떤 향(向)을 놓을 것인가를 판단한다.


3) 구성입향법(九星立向法)
九星立向法은 龍脈入首와 坐山을 淨陰淨陽法에 의한 九星位로 분류하여 貪狼 巨門 祿存 文曲 廉貞 破軍 輔弼 등 九星으로 定坐立向하는 法이다.
貪狼 巨門 文曲 輔弼 등 四吉星은 富貴旺丁하므로 大吉하고, 文曲 祿存은 吉凶相半이며, 廉貞 破軍의 二星은 손재인상(損財人傷)의 凶星位다.
❀九星導出方法과 運用方法
二十四山位를 淨陰淨陽으로 분류한다.
정양(淨陽) - 乾甲. 坤乙, 坎癸申辰, 離壬寅戌
정음(淨陰) - 艮丙, 巽辛, 震庚亥未, 兌丁巳丑
첫째 - 一般九星法 運用과는 달리 이를 陰陽局으로 분류하지 않고 天干字局과 地支字局으로 나눈다.
둘째 - 坐山을 기준으로 기본작괘(基本作卦)하되 天干字局은 부동하지(不動下指)이나 地支字局은 하지(下指)를 선 동(先動)한다.
天干字局 - 乾甲, 坤乙, 艮丙, 巽辛, 壬(離), 癸(坎), 丁(兌), 庚(震)
地支字局 - 坎申辰, 離寅戌, 震亥未, 兌巳丑
셋째 - 본 九星에 의한 入首와 坐位의 吉凶을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천간자국(天干字局)-하지부동(下指不動)
乾甲(☰)坐山 |
坤乙(☷)坐山 |
巽辛(☴)坐山 |
艮丙(☶)坐山 | |
탐랑(貪狼) |
兌丁巳丑 入首 |
艮丙 入首 |
坎癸申辰 入首 |
坤乙 入首 |
거문(巨門) |
震庚亥未 入首 |
巽辛 入首 |
坤乙 入首 |
坎癸申辰 入首 |
녹존(祿存) |
坤乙 入首 |
乾甲 入首 |
震庚亥未 入首 |
兌丁巳丑 入首 |
문곡(文曲) |
坎癸申辰 入首 |
離壬寅戌 入首 |
兌丁巳丑 入首 |
震庚亥未 入首 |
염정(廉貞) |
巽辛 入首 |
震庚亥未 入首 |
乾甲 入首 |
離壬寅戌 入首 |
무곡(武曲) |
艮丙 入首 |
兌丁巳丑 入首 |
離壬寅戌 入首 |
乾甲 入首 |
파군(破軍) |
離壬寅戌 入首 |
坎癸申辰 入首 |
艮丙 入首 |
巽辛 入首 |
보필(輔弼) |
乾甲 入首 |
坤乙 入首 |
巽辛 入首 |
艮丙 入首 |
癸(☵)坐山 |
庚(☳)坐山 |
壬(☲)坐山 |
丁(☱)坐山 | |
탐랑(貪狼) |
巽辛 入首 |
離壬寅戌 入首 |
震庚亥未 入首 |
乾甲 入首 |
거문(巨門) |
艮丙 入首 |
乾甲 入首 |
兌丁巳丑 入首 |
離壬寅戌 入首 |
녹존(祿存) |
離壬寅戌 入首 |
巽辛 入首 |
坎癸申辰 入首 |
艮丙 入首 |
문곡(文曲) |
乾甲 入首 |
艮丙 入首 |
坤乙 入首 |
巽辛 入首 |
염정(廉貞) |
兌丁巳丑 入首 |
坤乙 入首 |
艮丙 入首 |
坎癸申辰 入首 |
무곡(武曲) |
震庚亥未 入首 |
坎癸申辰 入首 |
巽辛 入首 |
坤乙 入首 |
파군(破軍) |
坤乙 入首 |
兌丁巳丑 入首 |
乾甲 入首 |
震庚亥未 入首 |
보필(輔弼) |
癸 入首 |
庚 入首 |
壬 入首 |
丁 入首 |
❀地支字局---下指先動
坎申辰☵坐山 |
震亥未☳坐山 |
離壬寅☲坐山 |
兌巳丑☱坐山 | |
탐랑(貪狼) |
乾甲 入首 |
艮丙 入首 |
坤乙 入首 |
巽辛 入首 |
거문(巨門) |
離壬寅戌 入首 |
巽辛 入首 |
坎癸申辰 入首 |
艮丙 入首 |
녹존(祿存) |
艮丙 入首 |
乾甲 入首 |
兌丁巳丑 入首 |
離壬寅戌 入首 |
문곡(文曲) |
巽辛 入首 |
離壬寅戌 入首 |
震庚亥未 入首 |
乾甲 入首 |
염정(廉貞) |
坎癸申辰 入首 |
震庚亥未 入首 |
離壬寅戌 入首 |
兌丁巳丑 入首 |
무곡(武曲) |
坤乙 入首 |
兌丁巳丑 入首 |
乾甲 入首 |
震庚亥未 入首 |
파군(破軍) |
震庚亥未 入首 |
坎癸申辰 入首 |
巽辛 入首 |
坤乙 入首 |
보필(輔弼) |
兌丁巳丑 入首 |
坤乙 入首 |
艮丙 入首 |
坎癸申辰 入首 |
4)천월덕입수정좌법(天月德入首定坐法)
입수2절룡과 입수1절룡을 보고 천월덕좌향(天月德坐向)을 놓으면 부귀왕정(富貴旺丁)한다.
入首二節龍 |
入首一節龍 |
천월덕좌향(天月德坐向) |
갑묘(甲卯) |
미곤(未坤) |
곤좌간향(坤坐艮向), 정좌계향(丁坐癸向) |
경유(庚酉) |
축간(丑艮) |
간좌곤향(艮坐坤向), 계좌정향(癸坐丁向) |
병오(丙午) |
술해(戌亥) |
건좌손향(乾坐巽向), 신좌을향(辛坐乙向) |
임자(壬子) |
진손(辰巽) |
손좌건향(巽坐乾向), 을좌신향(乙坐辛向) |
5) 삼합정좌법(三合定坐法)
12포태법(胞胎法)에서 물은 생(生) 방위에서 득수(得水)하여 묘(墓) 방위로 파구되고 좌(坐)의 궁위가 왕(旺)위에 있으면 삼합(三合)이 되어 부귀왕정(富貴旺丁)하는 매우 길한 정좌법이다. 많이 쓰이는 이법으로 용맥과는 무관하지만 참고하기 바란다.
사국(四局) |
得水-생궁 |
坐-왕궁 |
破口-묘궁 |
목국(木局) - 乾甲丁 |
해(亥) |
묘(卯) |
미(未) |
화국(火局) - 艮丙辛 |
인(寅) |
오(午) |
술(戌) |
금국(金局) - 巽庚癸 |
사(巳) |
유(酉) |
축(丑) |
수국(水局) - 坤壬乙 |
신(申) |
자(子) |
진(辰) |
6) 팔괘정좌법(八卦定坐法)
입수(入首)와 좌(坐)가 후천팔괘(後天八卦)로 서로 배합되어 상길(相吉)하다고 보는 입수정좌법(入首定坐法)이다.
入首龍, 坐 |
八卦定坐法 |
乾甲, 坤乙 |
乾甲은 老父金으로 하늘을 상징하고, 坤乙은 老母土로 땅을 상징하여 天地가 配合하므로 相吉하다. |
震庚亥未, 巽辛 |
震庚亥未는 長男金으로 우레를 상징하고, 巽辛은 長女木으로 바람을 나타냄으로 雷風相搏格으로 相吉하다. |
坎癸申辰, 離壬寅戌 |
坎癸申辰은 中男水로 물이고, 離壬寅戌은 中女火를 나타냄으로 水火不相射로 서로 相吉하다. |
艮丙, 兌丁巳丑 |
艮丙은 小男土로 산이고, 兌丁巳丑은 小女金으로 못을 나타내므로 山澤은 通氣하여 好生之德으로 相吉하다. |
2, 흉격정좌입향법(凶格定坐立向法)
조장(造葬)에서 입수좌향(入首坐向)에 따라 상손손재(傷孫損財)가 우려되는 흉격입향(凶格立向)을 가급적 기피하고 길격입향(吉格立向)으로 立向하여 추길피흉(趨吉避凶)하는 立向法이다.
1)용상팔살(龍上八煞)
坎龍(壬子癸) - 辰方이 八煞이므로 戌坐辰向, 辰坐戌向 은 놓지 못하고, 戊辰戌日도 不用이다.
艮龍(丑艮寅) - 寅方이 八煞이므로 申坐寅向은 놓지 못하고, 丙寅日도 不用이다.
震龍(甲卯乙) - 申方이 八煞이므로 寅坐申向은 놓지 못하고, 庚申日은 不用이다.
巽龍(辰巽巳) - 酉方이 八煞이므로 卯坐酉向은 놓지 못하고, 辛酉日은 不用이다.
離龍(丙午丁) - 亥方이 八煞이므로 巳坐亥向은 놓지 못하고, 巳亥日은 不用이다.
坤龍(未坤申) - 卯方이 八煞이므로 酉坐卯向은 놓지 못하고, 乙卯日은 不用이다.
兌龍(庚酉辛) - 巳方이 八煞이므로 亥坐巳向은 놓지 못하고, 丁巳日은 不用이다.
乾龍(戌乾亥) - 午方이 八煞이므로 子坐午向은 놓지 못하고, 壬午日은 不用이다.
2)손재상정정좌법(損財傷丁定坐法)
癸丑入首에 艮寅坐는 절사(絶嗣)가 우려된다.
乙辰入首에 巽巳坐는 처궁(妻宮)이 불리하고,
丁未入首에 坤申坐는 다질(多疾)이 우려된다.
辛戌入首에 乾亥坐는 재화(財貨)가 불리하다.
3)망명회두살(亡命回頭煞)
亡命과 坐山과의 관계(關係)에 의한 충살(冲煞)로, 회두살(回頭煞)에 해당하는 좌산입장(坐山入葬)은 가급적 피해야 하고, 오범입장(誤犯入葬)하면 혼백불녕(魂魄不寧)하고 子孫 또한 상정손재(傷丁損財)가 우려된다.
❀회두살 계산법(回頭煞 計算法)
첫째 - 亡命이 어느 六甲旬에 속하는가를 가린다.(例, 癸丑生이면 申子旬中, 丙子生이면 甲戌旬中)
둘째 - 각 六甲旬과 그 旬頭宮位는 다음과 같다.
甲子旬 = (甲子年---癸酉年---中宮起頭)
甲戌旬 = (甲戌年---癸未年---乾宮起頭)
甲申旬 = (甲申年---癸巳年---兌宮起頭)
甲午旬 = (甲午年---癸卯年---艮宮起頭)
甲辰旬 = (甲辰年---癸丑年---離宮起頭)
甲寅旬 = (甲寅年---癸亥年---坎宮起頭)
셋째 - 해당 좌궁산정(坐宮算定)은 망명소속(亡命所屬) 六甲旬 旬頭에서 順布九宮 중 亡命太歲가 도궁(到宮)한 宮位가 회두살좌궁(回頭煞坐宮)이다.
例 己巳生 亡命坐山은 子坐, 癸坐이다.
즉 己巳年은 甲子旬에 있다. 고로 中宮에 甲子를 부처(附處)하고 乙丑은 乾宮, 丙寅은 兌宮, 丁卯는 艮宮, 戊辰은 離宮, 己巳는 坎宮에 入宮하므로 坎宮이 己巳生의 회두살좌궁(回頭煞坐宮)이다.
坎宮에는 壬坐, 子坐, 癸坐가 있다.
4)살인국(殺人局)
불배합(不配合) 쌍산(雙山)의 한가운데로 들어온 입수룡(入首龍)에 묘, 고장(묘, 庫藏) 궁위의 좌를 놓으면 사람을 상하게 하는 등 아주 흉하다.
巳丙之頭에 乙辰坐 寅甲之頭에 癸丑坐
亥壬之頭에 申戌坐 申庚之頭에 丁未坐
5)쌍금살(쌍금살)
戌亥龍에 乾坐 辰巳龍에 巽坐
丑寅龍에 艮坐 未申龍에 坤坐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삼갑순(三甲旬) (0) | 2012.07.01 |
---|---|
[스크랩] 이장(移葬)할 때 택일 방법 (0) | 2012.06.30 |
[스크랩] 감여도해 (0) | 2012.06.27 |
[스크랩] 하관보지말아야할사람 (0) | 2012.06.06 |
[스크랩] 하관길시 (0) | 2012.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