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 기타 吉凶日法.
1. 육갑천규도(六甲天竅圖) : 12神塚山 즉 靑龍, 朱雀, 明堂, 大煞,
白虎, 金匱, 句陳, 天刑, 玉堂, 玄武, 天煞, 大明의 吉神과 凶神을 가린다.
遷墓法(移葬, 緬禮)으로 즉 舊墓를 열어 그 곳의 凶煞을 制煞淸掃하고 새로운 땅으로 移葬하는 方法이다.
舊墓의 制煞淸掃에는 그 곳 坐山에서 순중공망(旬中空亡)을 얻어 用事하여야 후환을 없애고 새로운 땅에서 무사히 求福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방법은 첫째 旬中空亡坐山에 明堂 金匱 玉堂 大明 등 吉星이 깃들이는 年月日時를 가린다. 그러므로 그 坐山은 모든 凶煞은 空亡에 떨어지고 吉神만이 남게 된다.
※ 早見表.
|
明堂 |
金匱 |
玉堂 |
大明 |
甲子旬塚 辛戌 乾亥坐山 戌(小) 亥(大空亡) |
寅 |
巳 |
申 |
亥 |
甲戌旬塚 坤申 庚酉坐山 申(小) 酉(大空亡) |
子 |
卯 |
午 |
酉 |
甲申旬塚 丙午 丁未坐山 午(小) 未(大空亡) |
戌 |
丑 |
辰 |
未 |
甲午旬塚 乙辰 巽巳坐山 辰(小) 巳(大空亡) |
申 |
亥 |
寅 |
巳 |
甲辰旬塚 艮寅 甲卯坐山 寅(小) 卯(大空亡) |
午 |
酉 |
子 |
卯 |
甲寅旬塚 壬子 癸丑坐山 子(小) 丑(大空亡) |
辰 |
未 |
戌 |
丑 |
예를 들면 巽巳坐山(舊墓)의 緬禮 移葬에는 坐山이 甲午旬中의 空亡坐山이므로 明堂은 申年月日時, 金匱는 亥年月日時, 玉堂은 寅年月日時, 大明은 巳年月日時가 된다. 그러므로 壬申年 陰10月(亥月) 16日(庚寅日) 巳時에 遷墓하면 年月日時에 4吉星이 고루 깃들게 되어 制煞大吉이다.
다시 말하면 위의 早見表는 12神 가운데 吉神(明堂 金匱 玉堂 大明-그 外는 모두 凶神)만을 기입한 것인데 6甲塚上(甲子 甲戌 甲申 甲午 甲辰 甲寅)에서 靑龍을 일으켜 12方으로 順行해서 年月日時가 明堂 金匱 玉堂 大明을 만나면 모두 大利하고 모든 凶煞은 空亡에 떨어진다. 예를 들면 丙午 丁未坐(甲申旬塚)는 申上에서 靑龍을 일으켜 順行하면 申은 靑龍, 酉는 朱雀, 戌은 明堂, 亥는 大煞, 子는 白虎, 丑은 金匱, 寅은 句陳, 卯는 天刑, 辰은 玉堂, 巳는 玄武, 午는 天煞, 未는 大明이 된다. 이 중에서 明堂, 金匱, 玉堂, 大明은 戌丑辰未에서 만나므로 戌丑辰未의 年月日時(戌年 丑月 辰日 未時, 丑年 辰月 未日 戌時, 辰年 未月 戌日 丑時, 未年 戌月 丑日 辰時)가 모두 吉星이며, 凶煞은 空亡에 떨어지므로 吉한 것이다.
2. 移葬 修墓吉日. :
用事가 긴급하거나 舊墓의 坐向 혹은 亡人의 本命 등을 알 수 없을 때에 사용하는 擇日法이다.
(1). 天上天下大空亡日.
이 날은 모든 凶神이 作動하지 못하는 날이다. 그러므로 이 날을 가려 遷葬 修墓 合窆 등 墓事를 하면 凶煞을 피할 수가 있다.
『甲申日 甲戌日 甲午日 癸未日 乙丑日 乙酉日 壬辰日 癸巳日 乙亥日
壬寅日 癸卯日 壬子日』(60甲子 즉 60日중 上記日은 무방함.)
(2). 天牛不守塚吉日.
이 날 역시 動土 移葬 修墓 등에 좋은 날이다.
『庚午日 辛未日 壬申日 癸酉日 戊寅日 己卯日 壬午日 癸未日 甲申日 乙酉日
甲午日 乙未日 丙申日 丁酉日 壬寅日 癸卯日 丙午日 丁未日 戊申日 己酉日 庚申日 辛酉日』
(3). 逐月安葬吉日.
用事가 화급할 때 이용하는 擇日法이다.
단 괴강(魁罡) 重喪 重復 建破 白虎 陰差 陽錯 등 凶煞이 겹쳐 들어오는 날은 쓸 수가 없다.
①. 正月 : 丙寅 癸酉 乙酉 丁酉 己酉 辛酉 壬午 丙午日.
②. 二月 : 丙寅 壬申 甲申 庚寅 丙申 壬寅 己未 庚申日.
③. 三月 : 庚午 壬申 癸酉 壬午 甲申 乙酉 丙申 丁酉 丙午 庚申 辛酉日.
④. 四月 : 癸酉 乙酉 己酉 丁酉 辛酉 乙丑 庚午 丁丑 己丑 甲午日.
⑤. 五月 : 壬申 甲寅 甲申 庚寅 丙申 壬寅 庚申 辛未 甲戌 庚辰 甲辰日.
⑥. 六月 : 癸酉 甲申 乙酉 丙申 庚申 辛酉 癸未 庚寅 辛卯 乙未 壬寅 丙午 壬申 戊申 甲寅日.
⑦. 七月: 癸酉 乙酉 丁酉 己酉 壬申 丙子 壬午 壬辰 丙申 丙午 壬子 丙辰日.
⑧. 八月 : 壬申 甲申 庚寅 丙申 壬寅 庚申 癸酉 乙酉 壬辰 丙辰 辛酉日.
⑨. 九月 : 丙寅 壬午 庚寅 壬寅 丙午 庚午 甲戌 戊午日.
⑩. 十月 : 庚午 甲辰 甲子 辛未 癸酉 甲午 乙未 庚子日.
⑪. 十一月 : 壬申 甲申 庚寅 丙申 壬寅 甲辰 甲寅 庚申 壬辰 壬子日.
⑫. 十二月 : 壬申 癸酉 甲申 乙酉 丙申 壬寅 甲寅 庚申 庚寅日.
天上天下大空亡日 天牛不守塚吉日 逐月安葬吉日은 다같이 긴요를 요할 때에 이용하는
擇日法이기는 하지만 다른 吉祥宮位와 合宮하여 사용하지 아니하면 약간의 制煞은
기대할 수는 있으나 별로 큰 효험은 없다. 凶神이 곁들어 오는 날은 用事할 수 없다.
3. 淸明 寒食日.
淸明 寒食日은 諸神이 上天하는 날이라 하여 옛날부터 이 날은 遷墓 혹은 莎草(잔디)하는 날로 慣習化 되어 왔다. 그러나 이 날이 무조건 좋은 날만은 아니다. 다만 비교적 약한 凶煞만이 침해할 수 없을 뿐 크게 이로운 점은 없다. 用事는 淸明 寒食 양일에 종료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후에 침해하는 凶煞을 막을 길이 없다.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葬擇 要領 및 葬事法 (0) | 2011.09.13 |
---|---|
[스크랩] 기타 吉凶日法-2 (0) | 2011.09.13 |
[스크랩] 擇日定局 -2(黃黑道吉凶定局 (0) | 2011.09.13 |
[스크랩] 擇日定局-1 (0) | 2011.09.13 |
[스크랩] 造葬 年月日時 定局法-走馬六壬定局 外4 (0) | 2011.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