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에서는 360도를 24개로 방위로 나눈다. 먼저 주역 팔괘에 따라 8개로 나눈다. 즉, 감(坎: 북쪽), 간(艮: 북동쪽), 진(震: 동쪽), 손(巽: 동남쪽), 이(離: 남쪽), 곤(坤: 남서쪽), 태(兌: 서쪽), 건(乾: 서북쪽) 8개 방위로 나운다.
1개 궁(宮)은 지원룡(地元龍), 천원룡(天元龍), 인원룡(人元龍)이라고 하여 다시 3개 방위로 나누어 총 24개 방위가 된다.
따라서 1개 궁(宮)은 각기 45도가 되고, 1개 좌(坐)는 각기 15도씩이 된다. 각궁에 3개의 좌는 아래와 같다.
1. 감궁(坎宮)에는「임(壬)」「자(子)」「계(癸)」
2. 간궁(艮宮)에는「축(丑)」「간(艮)」「인(寅)」
3. 진궁(震宮)에는「갑(甲)」「묘(卯)」「을(乙)」
4. 손궁(巽宮)에는「진(辰)」「손(巽)」「사(巳)」
5. 이궁(離宮)에는「병(丙)」「오(午)」「정(丁)」
6. 곤궁(坤宮)에는「미(未)」「곤(坤)」「신(申)」
7. 태궁(兌宮)에는「경(庚)」「유(酉)」「신(辛)」
8. 건궁(乾宮)에는「술(戌)」「건(乾)」「해(亥)」가 있다.
초학자는 나경(羅經: 일명 패철佩鐵, 윤도輪圖, 나침반羅針盤, 쇠)을 보면 이해가 쉽다.
따라서 24개의 坐는 「坎宮」에 「壬子癸」, 「艮宮」에 「丑艮寅」, 이렇게 1개의 宮에 3개 坐를 묶어서 암기해면 공부하는데 편리하다.
24개의 坐는 각기 음양이 있는데 1개의 宮안에서 「天元 과 人元」은 음음(陰陰)이 되거나 양양(陽陽)이 되어 음양(陰陽)이 향상 같고, 「地元과 天元」, 「地元 과 人元」은 음양이 서로 항상 다르다.
한편 포태법에는 2개의 좌를 하나로 묶어 「동궁(同宮)」이라고 하여 임자(壬子), 계축(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 정미(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 신술(辛戌), 건해(乾亥) 12개의 궁으로 나눈다.
예들 들어 삼합풍수에서는 ‘癸’와‘丑’은 동궁이 되어 동일한 좌로 보는 반면에 ‘-癸(人元)’와 ‘-丑(地元)’은 비록 음양은 같지만 ‘癸’는 坎宮에 속하고‘丑’은 艮宮에 속하여 八卦상으로 서로 다르게 때문에 원초적으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천원룡(天元龍)은 기본이 되어 일명 「부모괘(父母卦)」라고 하고 인원룡(人元龍)은 天元과 음양이 같으니까 일명「순자괘(順子卦)」라고 하고 지원룡(地元龍)은 天元과 음양이 항상 반대가 되기 때문에 일명「역자괘(逆子卦)」라고 한다.
이상의 설명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三元 24坐 陰陽 分類表 | |||
三元 |
陰 |
陽 | |
逆子卦 |
地元龍 |
(-)辰 戌 丑 未 |
(+)甲 庚 丙 壬 |
父母卦 |
天元龍 |
(-)子 午 卯 酉 |
(+)乾 坤 艮 巽 |
順子卦 |
人元龍 |
(-)乙 辛 丁 癸 |
(+)寅 申 巳 亥 |
24坐山의 陰陽과 順逆 | |||||||
分類 順 |
八卦 |
羅經 方位 |
三元 |
陰陽 |
順逆 |
方位 |
360周天度 右邊←中央→左邊 |
1 |
坎(감) |
壬(임) |
地 |
+ |
順 |
|
337.5←345→352.5 |
子(자) |
天 |
- |
逆 |
正北 |
352.5←360→007.5 | ||
癸(계) |
人 |
- |
逆 |
|
007.5←015→022.5 | ||
2 |
艮(간) |
丑(축) |
地 |
- |
逆 |
|
022.5←030→037.5 |
艮(간) |
天 |
+ |
順 |
北東 |
037.5←045→052.5 | ||
寅(인) |
人 |
+ |
順 |
|
052.5←060→067.5 | ||
3 |
震(진) |
甲(갑) |
地 |
+ |
順 |
|
067.5←075→082.5 |
卯(묘) |
天 |
- |
逆 |
東 |
082.5←090→097.5 | ||
乙(을) |
人 |
- |
逆 |
|
097.5←105→112.5 | ||
4 |
巽(손) |
辰(진) |
地 |
- |
逆 |
|
112.5←120→127.5 |
巽(손) |
天 |
+ |
順 |
東南 |
127.5←135→142.5 | ||
巳(사) |
人 |
+ |
順 |
|
142.5←150→157.5 | ||
5 |
離(이) |
丙(병) |
地 |
+ |
順 |
|
157.5←165→172.5 |
午(오) |
天 |
- |
逆 |
南 |
172.5←180→187.5 | ||
丁(정) |
人 |
- |
逆 |
|
187.5←195→202.5 | ||
6 |
坤(곤) |
未(미) |
地 |
- |
逆 |
|
202.5←210→217.5 |
坤(곤) |
天 |
+ |
順 |
南西 |
217.5←225→232.5 | ||
申(신) |
人 |
+ |
順 |
|
232.5←240→247.5 | ||
7 |
兌(태) |
庚(경) |
地 |
+ |
順 |
|
247.5←255→262.5 |
酉(유) |
天 |
- |
逆 |
西 |
262.5←270→277.5 | ||
辛(신) |
人 |
- |
逆 |
|
277.5←285→292.5 | ||
8 |
乾(건) |
戌(술) |
地 |
- |
逆 |
|
292.5←300→307.5 |
乾(건) |
天 |
+ |
順 |
北西 |
307.5←315→322.5 | ||
亥(해) |
人 |
+ |
順 |
|
322.5←330→337.5 |
24좌(坐)에서 좌(坐)의 반대편에 있는 향(向)도 같이 기억해두면 편리하다. 坐에 따른 向은 서로 반대편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절대로 변하지 않는다.
예들 들어 坐가 자좌(子坐)라면 向은 언제든지 오향(午向)이 되며 보통‘자자오향(子坐午向)’이라고 부른다.
1. 坎宮에 壬坐(丙向) 子坐(午向) 癸坐(丁向)
2. 艮宮에 丑坐(未向) 艮坐(坤向) 寅坐(申向)
3. 震宮에 甲坐(庚向) 卯坐(酉向) 乙坐(辛向)
4. 巽宮에 辰坐(戌向) 巽坐(乾向) 巳坐(亥向)
5. 離宮에 丙坐(壬向) 午坐(子向) 丁坐(癸向)
6. 坤宮에 未坐(丑向) 坤坐(艮向) 申坐(寅向)
7. 兌宮에 庚坐(甲向) 酉坐(卯向) 辛坐(乙向)
8. 乾宮에 戌坐(辰向) 乾坐(巽向) 亥坐(巳向)